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루터의 마귀 이해

        천명원 베뢰아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한국교회의 중요한 관심사 중의 하나는 마귀나 귀신에 관한 것이다. 신유(神癒, divine healing)와 축사(逐邪, demon-expelling)는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의 공생애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특징임에도 불구하고 마귀론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신학적 시도가 미흡한 상태이며, 이는 주로 교회와 목회 차원에서 논의되고 다루어져 왔다. 여기에서 파생되는 문제는 적지 아니하여 무절제한 교리 논쟁과 감정적 대응이 무차별 이단성 논쟁으로까지 발전되는 상황에까지 이르렀다. 그러므로 우리는 성서적 마귀론의 정립이 시급하고 필수불가결함을 절감하지 않을 수 없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여느 신학자보다 마귀를 실감(實感)하였고, 그의 논문, 설교, 교리서, 주석 등 많은 저작물을 토아여 이를 설명하고 주장하였던 마틴 루터(Martin Luther)의 마귀 이해에 집중하였다. 루터 자신의 고백과 진술을 통해 루터가 이해한 마귀의 존재와 성격, 활동 등을 살피면서 마귀에 관한 그의 일관된 견해나 사상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루터의 영적 체험에서 보듯이 그는 마귀의 존재에 대하여 누구보다도 확신하였고, 적극적으로 대항하려는 의지를 보였다. 그는 마귀의 존재와 활동을 예민하게 느꼈고, 그 폐해를 지적하며 직선적으로 비판하기를 서슴지 않았다. 그의 마귀 이해는 이론적이거나 추상적인 요소가 배제되고, 생생하고 다양한 마귀 체험에 바탕을 두고 있다. 루터의 마귀 이해는 먼저 성경의 가르침에 근거하고 있다. 마귀의 기원에 관해서는 마귀론에 대하여 부정적 인식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이원론(dualism)을 분명히 배격하면서, 하나님의 선한 창조 속에 있는 영적 존재로서 천사가 자유의지를 가지고 범죄하여 타락하였음을 명백히 하고 있다. 마귀의 종말과 멸망에 대해서도 루터는 그리스도 예수와 함께 이 세상에 진격하는 하나님 나라에 의하여 마귀에 대한 심판이 이루어지고, 십자가에서의 위대한 승리로 말미암아 마귀가 패배한 사실을 성서적 증거에서 취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이 세상에서는 하나님의 왕국과 세상의 왕국 사이에 치열한 영적 전투가 진행되고 있음을 환기시키면서, 그리스도인들의 분발을 촉구하고 있다. 그리고 루터의 마귀 이해는 교리적 혹은 신학적인 마귀의 공격을 적극적으로 방어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사단과 마귀에 대한 개념의 혼동은 성서적인 마귀론을 정립하는 데 있어서 반드시 극복하고 해답되어야 할 부분이다. '마귀'를 '마귀들'이라 하여 수적(數的) 개념이 분명치 않은 것 또한 지적되어야 할 점이다. 더욱이 루터는 성경대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귀신을 쫓아본' 경험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나며, 오히려 마귀에 대항하는 태도에 있어서 그의 영적 체험은 차라리 미신적이라고 할 만큼 성경과 멀어져 있다. 루터가 마귀를 이해한 성격이 어둡고 소극적이었다는 생각을 하면서 성경이 가르치는 마귀에 대한 이해는 매우 적극적이고 생동적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따라서 성서적 마귀 이해는 마귀가 교회와 말씀을 파괴하도록 만드는 매우 위험한 존재로서 이를 방어하는 측면이 강조되는 것보다는 이를 멸하려고 오신 예수 그리스도의 뜻(요일3:8)을 깨닫게 하는 역동적 의미로 전환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승리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복음을 온 세상에 능력 있게 전하는 토대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 본 연구의 논지이다. One of the main issues currently occupied by Korean churches pertains to the Devil and demon. Dispite their important roles in the public life of Jesus Christ, the divine healing and demon-expelling have been dealt with only at pastoral concerns, and thus, there has not been enough of positive theological attempts on the issue of demonology. It gave rise to many problems. Uncontrollable disputes over differences on their own doctrines and irrational treatment have led to reckless condemnation concerning on a controversy of heresy. Therefore, we feel a strong need to establish the biblical demonology. In this regard,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demonology of Martin Luther who acknowledged the existence of the Devil in more realistic sense than any other theologians and also left behind a lot of works, including essays, sermons, doctrine books and annotations containing his views on this spiritual being, the Devil. I delved into Luther's own confessions and statements to figure out how he understood the existence, characters and activities of the Devil and tried to present his coherent viewpoints and conceptions in a systematic way. As Luther's own spiritual experiences showed, Luther was convinced about the existence of the Devil and was resolute in actively resisting it. He was sensitive about the existence and activities of the Devil. He pointed out the afflictions caused by the Devil and made no hesitation in criticizing it. His demonology excludes theoretical and abstract elements and is based on vivid and various personal experiences about the Devil. Luther's demonology is first based on the teachings of the Bible. Concerning the origin of the Devil, Luther denounced the dualism which might have brought about the negative conception on the demonology. Instead, Luther clearly stated that an angel, which had been created by God, committed a sin against God with his own free will and thus was corrupted. Concerning the end and destruction of the Devil, he presented the biblically-grounded fact that the Devil was condemned by the Kingdom of God which was advanced into the world the coming of Jesus Christ and the Devil was defeated by the great victory of Jesus Christ on the Cross. Yet, he drew our attention to the ongoing spiritual struggle between the Kingdom of God and the worldly kingdom, and proceeded to call for strenuous efforts of Christians in the fight against the Devil. The primary goal of Luther's demonolgy is to actively defend the truth against the Devil's attacks related with doctrines and theology. However, Luther's confusion in the conception of Satan and Devil must be overcome for the establishment of biblical demonology. Failure to properly define numerical conception shown in his mixed-up usages of "Devil" and "Devils" needs to be corrected. Luther was in lack of esperiance of " casting out demons in the name of Jesus as in the Bible. His spiritual experiences in dealing with the Devil were rather superstitious and a far cry to the Bible. In this thesis, I'd like to emphasize the fact that, whereas Luther showed very dark and passive attitude in his understanding of the Devil, the Bible approaches this issue on the Devil with a very active and dynamic manner. Therefore, I assert that the biblical demonology should shift its emphasis from the danger of the Devil as a attacker of the church and the word of God to the dynamic message enlightening about the purpose of Jesus' coming as the destroyer of the Devil(1 John 3:8). Furthermore, on the basis of this, in the victorious name of Jesus, we should proclaim the Gospel to the world.

      • 김기동의 그리스도교 본질 이해 연구 : 슐라이에르마허, 칼 바르트, 위르겐 몰트만과의 비교 연구

        천명원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김기동의 그리스도교 본질 이해는 단선적이지 않고 다층적이고 다면적이다. 즉, 그리스도교 본질 이해를 다양하게 이해하고 제시한다는 것이다. 그는 크게 그리스도교 본질을 네 가지로 본다. 첫째로 그리스도교 본질로서의 삼위일체 신론이다. 그는 삼위일체 신론을 담보하는 것이 그리스도교가 그리스도교 되게 하는 것으로 파악한다. 둘째, 그리스도교 본질로서의 그리스도다.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고백이 확보되지 않은 것은 결코 그리스도교가 될 수 없다. 최근 종교다원주의는 ‘신론 중심적 신학’을 지향하고, ‘그리스도 중심적 신학’을 포기하려는 입장에 서 있다. 여기에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칼 라너(Karl Rahner)의 ‘익명의 그리스도인 개념’을 수납한 가톨릭 교회 역시 이 입장에 서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김기동은 이러한 흐름에 반대하며, 그리스도교가 참된 자기의 정체성을 가지기 위해선 절대적으로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고백이 담보되어야 한다고 본다. 셋째, 그리스도교 본질로서의 성령의 현재적 역사로 말미암아 나타나는 이적의 현재성이다. 김기동은 아무리 그리스도교가 삼위일체와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고백과 선명한 신학적 이해가 있다 할지라도, 성령의 현재적 역사로 말미암은 이적의 현재성이 부인된다면, ‘그리스도교의 종교화’는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본다. 이적의 현재성을 통해 하나님의 실체를 보여줄 수 없는 그리스도교는 ‘지적이고 문화적 그리스도교’이지 ‘능력 있는 그리스도교’는 아닌 것이다. 16세기부터 20세기 후반까지 서구 그리스도교회의 모습은 교리만 앙상하게 남은 ‘무능한 그리스도교’를 단적으로 보여주었고, 그로 인해 그리스도교는 더 이상 ‘서구의 종교’로도 인정받지 못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그는 이적의 현재성을 그리스도교의 본질로 이해한다. 넷째, 그리스도교 본질로서의 계시 신앙이다. 그는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하지 않는 그리스도교는 자연종교 혹은 신비주의로 취급한다. 그는 시종일관 그리스도교가 하나님의 말씀, 즉 계시에 근거한 신앙과 신학이어야 한다고 본다. 더욱이 그는 성경과 계시를 기계적으로 등치시키는 근본주의적 성경이해를 넘어, 오늘 지금 나에게 말씀이 사건이 되게 하시는 성령의 감동을 더 의지한다. 즉, 그는 계시의 사건으로서 말씀을 더 중요시한다. 이러한 그의 이해는 성경을 통해 먼저 체득된 것이요 그가 처한 한국적 삶의 정황과 교회의 자리에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사실, 그리스도교 본질에 대한 이해는 그가 처한 삶의 정황(Sitz im Leben)과 시대정신(zeitgeist)을 논외하고 다루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더욱이 그리스도교 본질을 어떻게 이해하는가에 따라 한 개인의 신앙과 신학의 유형이 결정되며, 그가 속한 공동체의 신앙과 신학의 유형이 달라진다. 소위 ‘현대 신학의 아버지’로 불리 우는 슐라이에르마허는 그리스도교의 본질을 하나님에 대한 ‘절대의존감정’과 ‘유일신론적 신관’으로 보았다. 하지만 이러한 그의 이해는 자유주의 신학이 생성되도록 유도하여 전 세계 교회의 침체를 가져왔다. 이에 반대하여 그리스도교의 본질을 하나님의 말씀과 삼위일체론, 그리스도 중심으로 이해하여, 신정통주의를 주창했던 바르트는 비록 그리스도교의 본류로 회귀했지만, 이적의 현재성을 부인 혹은 배제한 결과로 지금의 ‘종교화된 독일교회’만이 남아있을 뿐이다. 이를 넘어서고자 등장한 20세기 후반의 최고의 신학자인 몰트만은 그리스도교의 본질을 종말론과 삼위일체론으로 보고, 종말론과 삼위일체론의 부흥을 일으켰지만 여전히 독일을 중심으로 한 유럽의 그리스도교는 앙상한 건물과 노인들만의 집으로만 남아 있을 뿐이다. 우리는 아무리 신학적으로 자유주의를 넘어서고(바르트), 신정통주의를 넘어선다하여(몰트만) 그리스도교의 본질을 회복했다고 볼 수 없음을 교회사를 통해 인식하게 된다. 생명력, 그리스도교가 이것을 상실할 때는 참된 그리스도교가 될 수 없음을 보았다. 성경에 기초한 신학과 성령의 현재성에 기반한 능력이 같이 갈 때, 그리스도교는 참된 그리스도교로 우뚝 설 것이다. 연구자는 그 가능성을 김기동의 그리스도교 본질 이해에서 찾고자 한다. 이는 이미 그의 목회와 신학을 통해 증명된 바다. 신앙과 신학이 같이 가고, 이론과 실천이 어우러지며, 신학교와 목회현장이 조화를 이루는 이러한 그리스도교의 꿈을 김기동에게서 찾고자 하며 찾을 수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논지이며 주장이다. Ki-Dong Kim's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Christianity is not uni-linear but multi-layered and many-sided. In other words, he understands and suggests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in a diverse manner. He presents mainly four aspects of the essence of Christianity. The first is the Trinitarian theology. He thinks the ultimate goal of the Trinitarian theology is to make sure the Christianity retains its true nature. The second is the Christ as the essence of Christianity. Without the confession of faith in Jesus Christ, the Christianity cannot become true Christianity. The religious pluralism of current days moves toward 'the theism-centered theology' departing from 'Christ-centered theology.' This position is shared with the Catholic church which accepted 'the concept of an anonymous Christian' introduced by Karl Rahner at the 2nd Vatican Council. However, Ki-Dong Kim opposes this trend and asserts that the Christianity ought to be established on the confession of faith in Christ in order to possess its true identity. The third is the now-ness of occurrences of signs and wonders which accompany the on-going work of the Holy Spirit. With this being denied, Ki-Dong Kim anticipates a rapid mutation of the Christianity into an institution of religion regardless of the confession of faith in the Trinity and Christ, and a clear theological understanding. The Christianity which cannot show the reality of living God through the now-ness of signs and wonders may be considered as 'an intellectual and cultural Christianity' but not 'the Christianity with power.' Since 16th century until the latter half of 20th century, the Western church has been seen as 'a powerless Christianity' which holds on only to doctrines. For this reason, the Christianity can no longer be taken as a 'Western religion.' On this account, he understands the now-ness of signs and wonders as an essence of the Christianity. The fourth is the faith of revelation. He regards the Christianity which is not based on the words of God only as a natural religion or as mysticism. Quite consistently, he thinks that the Christianity should be faith and theology based on the words of God, namely the revelation. Furthermore, his understandings goes beyond the fundamentalist-type biblical understanding which mechanically equates the Bible with the revelation in order to rely more on the inspiration of the Holy Spirit who makes sure an individual Christian has a lively encountering experience in the words of God. He appreciates the words of God as an incident of revelation. This understanding seems to have been acquired through his personal experience related with Bible reading and placed in Sitz-im-Leben of a Korean and in the every-day field of the church. Actually,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treat his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without taking into consideration his Sitz-im-Leben and zeitgest. In fact, one's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determines his or her patterns of faith and theology and even those of the community one belongs to. F.D.E. Schleiermacher, the so-called 'father of modern theology,' understands that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is 'feeling of the absolute-dependence on God' and 'theology with monotheistic view of God.' However, this position has led to the formation of liberalistic theology which resulted in stagnation of the churches worldwide. In opposition to this, Karl Barth regarded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as the words of God, the Trinitarianism, and Christ-centeredness and promoted the Neo-orthodoxy. His work succeeded in bringing back the Christianity to the main current of the Christianity, but his rejection or exclusion of the now-ness of signs and wonders has influenced the German church to become a mere religious institution. The greatest theologian in 21st century, who appeared in the latter of the 20th century in order to overcome this, pointed to the eschatology and the Trinitarianism as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His view has revived the eschatology and the Trinitarianism, but even now the churches in Germany and other European countries are left with a few of old members only. From this teaching of church history, we have come to a recognition that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is yet to be recovered despite all the theological efforts to overcome the liberalism (Barth) and neo-orthodoxy (Moltmann). Vitality, without this, the Christianity has lost its true identity. Only when the biblically-based theology and the now-ness of the Holy Spirit go hand in hand, the Christianity will be established formidably. The author of this study intends to find its possibility in Ki-Dong Kim's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It has been already proven through his ministry and theology. The thesis of this article is to seek, with an assurance of success, the fulfillment of the dream of the Christianity in Ki-Dong Kim- the cooperation between faith and theology, the harmony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the balance between the seminary and the ministrial field.

      • Berea movement and divine healing : a basic research for berean healing theology

        천명원 Canada Christian College 1998 해외박사

        RANK : 247615

        예수 그리스도의 공생애 중 제일 인상적인 사역 중의 하나가 바로 신유(神癒) 부분이며 (눅13:33) 오늘날 기독교회의 가장 혼란스러운 영역이자 새롭게 관심이 집중되는 분야 역시 신유이다. 필자는 신유에 대해 아직까지도 반발과 저항 일색인 부정적 견해와 21세기에 각광받는 새 분야로 대접하는 긍정적 견해가 충돌하고 있는 바로 이 때에 우리에게 가장 절실한 성서적 신유론의 필요성을 실감, 연구 의지를 갖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가 몸담고 있는 베뢰아 운동과 신유 사역 속에서 성서적 신유론의 모델을 찾고 베뢰아 운동에 나타난 신유의 원리(이하 '베뢰아 신유론'이라 칭함)를 미약하나마 연구하게 되었다. 신유는 하나님의 성품으로서 신·구약시대를 통하여 하나님이 행하신 그의 능력이요 오늘날에도 반드시 나타나야 할 하늘의 은사이다. 그러나 인간들의 철학과 교리 그리고 하나님을 부정하는 관념들에 의하여 쉴새없이 무수한 저항을 받아온 것이 확인되었다. 이사야의 신유복음으로 요약되는 구약신유신학은 물론 예수 그리스도에 의하여 완성되고 실현된 하나님의 전인적 신유학은 온갖 신학적 장애물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제 이론과 실제, 합리론과 경험론이 통전된 신유론으로 자리잡아야 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필자가 성서적 신유론의 모델로 삼은 '베뢰아 신유론'은 김기동 목사의 하나님의 의도 신학을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그의 하나님의 의도는, 첫째 하나님은 아들을 후사로 세웠고(빌2:9-11), 둘째 아들이 고난의 죽음으로 사단을 멸하려 하셨으며(요일3:8), 셋째 하나님의 아들 예수는 하늘 보좌에 오르셔서 성도들의 처소를 예비하시고, 성령도 보내시고, 인류를 구원하신다.(요3:16)는 삼중구조로 되어있다. 베뢰아 신유론은 이와같은 하나님의 의도에 뿌리를 두고 시작되었으며, 이것이 이론적 측면이라면 그 실천적 측면은 김기동 목사 개인의 신앙과 초기 신유 사역-신유복음전도회와 전도집회-에서 시작, 그가 설립한 베뢰아아카데미를 통하여 조직화·체계화되었다. 뿐만 아니라 많은 제자들이 동일한 사역에 동참, 베뢰아 신유론의 실천적 측면들을 보다 풍성하게 증거하고 있다. 김기동 목사가 주장하는 7가지 신유원리와 그의 신유신학 사상을 요약하면, 죄로부터 자유케 하는 신유론, 병으로부터 자유케 하는 신유론, 영적 존재를 실감케 하는 신유론, 통전적(統全的)인 신유론, 21세기의 성서적 신유론 등 5가지 특징으로 정리할 수 있다. 한편 오늘날 신유에 대해 제기되는 신학적 장애물은 병을 통한 성화, 신적운명론, 믿음의 공식, 세속적인 세계관 등인데 베뢰아 신유론은 이와같은 장애물들을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과학과 현상이 절정을 이루는 21세기에 영적 존재를 실감케함으로서 하나님의 말씀을 확실히 증거하는 능력 목회, 능력 전도, 능력 선교에 필수 불가결한 신유론이 될 것이다. 나아가 베뢰아 신유론이 나타내는 초자연적인 하나님의 능력과 그로 말미암은 이적의 현장은 21세기에서 더욱 절대적인 지지를 받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베뢰아 운동 내에서 신유신학에 대한 최초의 논의였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베뢰아 신유론은 영적 존재를 실감케하는 신유론으로서 처음부터 영적이니 병의 원인도, 종류도, 병을 치료하는 원리도, 영적 승리의 비결 등도 다 영적인 요소로 설명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영적 존재를 알면 누구나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원리가 제시되고 있다. 이와같은 접근 방법은 신유에 관한 연구들 가운데서 새롭게 시도되는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계기로 베뢰아신유신학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활발한 저술활동이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