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육의 성찰과제로서 인종주의와 장애인차별

        채희태(Heetae Chae) 한독교육학회 2014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9 No.3

        장애인 차별과 인종주의 문제는 몸에 이념을 투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닮았다.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개인의 몸의 손상을 무능력으로 규정하는데서 비롯된다면 인종주의는 인종에 따른 몸의 차이(생물학적 차이)가 인간의 능력을 결정한다는 믿음을 과학적으로 증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가 천착하는 것은 장애인 문제나 인종의 문제를 다룸에 있어 차별을 정당화하는, 인간의 의식에 구조화된 ‘타자에 대한 규정원리’가 어떻게 인종주의와 장애인 차별로 외현되는가를 이해하고 성찰의 과제로 삼고자 했다. 이 연구에서는 인종주의와 장애인 차별을 타자인 소수에 대한 사회적 주류의 ‘아주 오래된 의식의 장치’가 작동한 (상징)폭력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해석은 현대사회의 일상화된 인종주의와 장애인 차별을 해독 (decoding)하는 하나의 도구로써 유용하다. 해석의 정교화를 위해 Bourdieu의 아비투스와 상징폭력 개념을 차용함으로써 이러한 지배의 아비투스가 우리가 사는 사회(場) 구조에 의해 어떻게 개인에게 구조화 되는지, 그리고 이 구조화된 구조로서의 아비투스는 어떻게 행위로 발현되어 상징폭력이 되는지를 고찰하려고 하였다. Racism and discrimination of the disabled are similar in that both of them project certain kinds of ideologies into bodies. Racism is an ideology that tries to prove the belief that physical differences between races (biological differences) determine human abilities. Similarly, discrimination of the disabled is an ideology that defines a physical impairment as a disability. What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is an ‘apparatus of consciousness’ that operates racism and discrimination of the disabled. This study does not take a perspective that sees racism and discrimination of the disabled as historical events that occurred in certain historical points. Instead, this study focused on the explanation about how ‘definition principles of others’ structured in human consciousness are expressed into racism and discrimination of the disabled. The present researcher interpreted racism and discrimination of the disabled as violences that operated by ‘long-term apparatus of consciousness’ of hegemonic groups against minority groups. This interpretation is useful to decode racism and discrimination of the disabled, which are spreaded in our everyday life in modern society. Using the concept ‘habitus’ coined by Pierre Broudieu, the present researcher tried to demonstrate how the habitus of domination is structured into individuals by social structures, and how this habitus, as a structured structure, is expressed into human behaviors. Additionally, the present researcher interpreted the operational principle of habitus, as a continuously structured structure, as something can replace domination with fraternity, and separation with integration.

      • KCI등재

        범람하는 거버넌스에 관한 小考

        채희태(Heetae Chae) 한국NGO학회 2020 NGO연구 Vol.15 No.1

        Various stakeholders talk about ‘governance’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 different domain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education experts have squeezed in between the people and the government, the main stakeholders of traditional governance, and are participating as a confident entity. Also, in various areas of professional sociology including administration, politics, culture, and social welfare, people are searching for ways to define and apply governance. It is safe to say that governance has become an irresistible trend that beyond the values pursued by progressives and conservatives. It would be nice if governance that many people talked about would converge in one direction, regardless of the value of right and wrong, but unfortunately it doesn’t look that way. Every subject involved in governance talks about governance that is familiar to him, in the area where he is mainly active. Through the two World Wars, man has come to realize that he is a poor man himself, breaking away from the arrogance of seeking absolute reason and trying to replace God. There is no reason to look negatively at this situation that a group of imperfect people and the other imperfect who have developed each other’s respective expertise in different areas(mainly the state and the market) are talking about governance to address the problems of uncertainty. However, if governance that began with desperate needs are now on the verge of overflowing, we’d better stop and look back. This article is written to diagnose the overflowing governance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sociology, away from the positions of various professional sociology. It is hoped that this attempt will help governance, which is rolling without doubt and hesitation in various areas, and that governance will work to solve the problem at hand. 다양한 주체들이, 다양한 영역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거버넌스를 이야기한다. 교육 영역에선 전통적인 거버넌스의 주체인 민과 관 사이를 학이 비집고 들어와 당당한 주체로 참여하고 있고, 행정, 정치, 문화, 복지 등 다양한 전문사회학(professional sociology) 영역에서도 거버넌스를 어떻게 정의하고 적용할지 고심하고 있다. 거버넌스는 진보와 보수가 추구하는 가치를 넘어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되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옳고 그름의 가치를 떠나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거버넌스가 하나의 방향으로 수렴되면 좋겠지만, 불행하게도 그런 것 같지는 않다. 거버넌스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주체들이 자신의 입장을 담아, 자신이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영역에서, 자신에게 익숙한 거버넌스를 이야기한다. 인간은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통해 절대이성을 추구하며 신을 대체하려 했던 오만에서 벗어나 스스로 부실한 인간임을 깨닫게 되었다. 서로 다른 영역(주로는 국가와 시장)에서 전문성을 키워온 부실한 인간과 인간이 불확실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한 거버넌스를 부정적으로 볼 이유는 없다. 하지만, 절박한 필요성에 의해 시작한 거버넌스가 충분을 넘어 범람하는 지경에 이르렀다면 한 번쯤 멈춰 서서 지나온 길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 이 글의 목적은 다양한 전문사회학이 가지고 있는 입장에서 벗어나 공공사회학(public sociology)의 관점으로 범람하고 있는 거버넌스를 진단하는 것이다. 이 시도가 다양한 영역에서 의심과 주저함 없이 굴러가고 있는 거버넌스에, 그리고 거버넌스가 당면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작동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