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ARIA HARRIS’S EDUCATIONAL THEORY APPLIED TO THE KOREAN RELIGIOUS CONTEXT

        CHAE Hyeok-Su(채혁수)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5 장신논단 Vol.47 No.3

        이 연구논문을 쓴 목적은 마리아 해리스의 교육이론을 한국의 종교적 컨텍스트속에 적용시켜 보고 싶어서이다. 전통적으로 한국은 다양한 종교적 배경들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한국인들은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종교적 대립을 피하고자, 자신의 종교를 다른 종교인에게 강요하기 어려운 여건들을 지니고 살아간다. 이러한 점에서 “종교적 영성”은 다른 종교적 배경을 가진 이들과 소통할 수 있는 좋은 접촉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작금의 고도로 산업화된 한국사회라 할지라도 이와 비슷한 상황 속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영성은 현대한국사회의 큰 관심거리 중 하나이다. 기독교계에서도 아시시의 프란시스나 빙엔의 힐더가르트, 그리고 노르위치의 줄리안이 다시 주목 받고 있다. 이것은 현대인들의 영적 목마름이 종교의 영적인 측면들을 필요로 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이처럼, 다른 종교와 대화하고, 나눌 수 있는 이 영성은 그들, 타종교인들과의 중요한 공통분모가 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랜시간, 기독교교육의 가르침이라는 영역에 있어서는 이 영적인 요소들과 측면들이 간과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어떻게 우리의 영적인 메시지, 즉 복음을 다종교 다문화사회인 한국 속에서 기독교교육적 방법으로 전할 수 있을 것인가? 이 연구를 통해 나는 이 영적인 공통성과 접촉점을 찾는 방법을 서구의 마리아 해리스의 교육이론과 동양적인 한국의 종교적 컨텍스트라는 상이성 속에서 시도해보려고 한다. 마리아 해리스의 교육이론이 한국에서 적용내지는 응용된다면, 한국의 종교적 전통을 가진 도교와 불교의 종교적 상황 속에서 다름속의 유사성과 접촉점이 있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이 논문은 이 질문에 답해 보려고 하는 것이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over how to apply ideas of Maria Harris’s educational theory to the Korean context. The traditional, the Korean context has various religious backgrounds. Therefore, we cannot impose our religion on a person of another religion. In this situation, spirituality is a good contact point and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others. The same situation is found in industrialized Korean society. Also spirituality has become one of the larger issues for people in modern society. For Christianity, Francis of Assisi, Hildegard of Bingen, and Julian of Norwich have come into the spotlight again. It is because of the spiritual thirst that modern human beings needs the spiritual dimension of religion. Now, to share and communicate with other religions, spirituality is one of the important contact points. In spite of that, for many years, the spiritual aspect of teaching has been neglected in educational fields. Koreans have always had many spiritual elements in their traditional religions. In today’s situation, how do we Christians transfer our spiritual message to this multi-religious and multi-cultural society? In this study, I will find these spiritual contact points between the Korean religious context and Maria Harris’ ideas of educational theory. How do the assertions of Maria Harris’s educational theory and Taoism and Buddhism differ on the same problems and issues? And what similarities and common contact points are there? These questions will be explored in more detail.

      • 마리아 해리스(Maria Harris)의 이론에 근거한 기독교 평생교육을 위한 제언 -노년여성 영성교육을 중심으로-

        채혁수(Hyeok-Su Chae) 영남신학대학교 2019 신학과 목회 Vol.52 No.-

        The graying society has come by aging. And this situation calls for a drastic and emergency measure of humankind. The education for the rich and happy old age is one of the alternatives which is means for solving problems. The scope of the education will extend from the age of pedagogy which focuses on teaching children and youth and let them obtain their jobs and sustain society’s frame to the age of andragogy for whole human life journey. Now, the education for old age is a demand of the times. On this point, the divorce rate for elderly couples is growing these days in Korean society. What’s that problem? Korean Church is no excep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because Korean Church also faces aging era. How does the Korean Church to respond the era of lifelong education? For Korean elder, specifically, for Korean elderly women, any ideas what Korean Church could be? According to Yong-gil Maeng, the elderly education has two meanings: situational adaptive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However, how does the Korean Church respond to those educations? Thus, in this study, remind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Korean church for the meaning of the educational sociology of situational adaptive education and the task of the lifelong education for the Korean elder, I will offer several suggestions for the spiritual education to serve the Korean elderly women based on Maria Harris’s educational theory and her spiritual theology on the Jubilee time thought. The structu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II, I will introduce two analyses for Korean elderly women: one is the interpretation of educational sociology through historical and social speciality of Korean elderly women. Another is the introduction of lifelong education which is a basic frame of the elderly education. In chapter III, I will examine the response of the Korean Church to the problem of the aged and absence of education for the elderly female as a null curriculum. For the alternative of that, in chapter IV, I will explore Maria Harris’s spiritual theology on the Jubilee time thought as a spiritual education for the elderly women. As the climax of the study, in chapter V, offering summary of the study, several suggestions for the education for the Korean elderly women in the futur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I will close this study.

      • KCI등재

        예수기도의 영성교육적 적용에 관한 연구

        채혁수(Hyeok Su Chae)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6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1

        오늘을 사는 현대인들은 그 어느 때보다 영성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자신의 삶의 의미 등의 실존적 문제의 해답을 얻기 위해 영성수련에 매진한다. 이름도 알 수 없는 수많은 종류의 기수련과 뉴에이지의 영성음악과 명상들이 이를 대변한다. 그러나 정작 이러한 실존적 고민들에 답해 주어야 할 교회는 현대인들의 영적갈증에 해갈을 제시해주지 못하고 있다. 이들의 요구에 응답해 줄 기독교가 가진 영성의 전승이 있다면 어떤 것이 있을까? 예수님께서 세우신 하나였던 교회는 지금 수도 헤아릴 수 없는 교단과 교파로 나뉘어져 있다. 그들은 각각의 영성을 정의하고, 또 그것을 교육하고 있다. 한국과 동양은 그리스도교와 토착신앙의 융합과 대결의 구도 속에 고민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 우리는 영성요구의 시대, 교단간의 공통분모, 그리고 타종교와의 대화를 가능케 하는 대안으로 ‘예수기도’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정작 기독교 내에서 마저도 교파의 선입견 가운데 아직, 예수기도를 동방교회의 상징적 요소정도로만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4세기경 시작된 예수기도는 더 깊은 전통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것은 예수기도는 초대교회의 전승이며, 또한 구약과 신약을 아우르는 성호(聖號)에 대한 경외 속에 삼위일체 되신 하나님에 대한 기도의 부름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견해이다. 14세기 러시아에서 각광 받았던 이 예수기도는 오늘날 서방교회의 로만 가톨릭과 개신교회에서 다시 한번 주목 받는 관상기도의 주요방법이 되었다. 단순, 기억과 반복, 그리고 무념, 호흡 등의 방법들이 영적인 훈련의 주를 이루는 이 기도를 본고에서는 영성교육의 눈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영성신학 내지는 교회사에서 다룰 수 있는 예수기도를 실천적 장으로 적용시키기 위해 먼저 이론적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고는 II 장에서 먼저 예수기도를 신학적으로 고찰 할 것이다. 역사신학적, 성서신학적, 조직신학적, 그리고 실천신학적 토대를 살펴보며 예수기도에 대한 개론적 이해를 삼으려 한다. III 장에서는 좀 더 구체적인 접근으로 예수기도에 대한 교육학적 분석을 시도해 보려 한다. 그리고 마지막 IV 장에서는 예수기도에 대한 한국 상황속의 실천적 적용으로서의 영성 교육에 대한 몇 가지 제안을 하려 한다. Today, people look to quench spiritual thirst, perhaps more than at any other time in history. The reason is that people in a modern society, those who are facing existential problems, are seeking their existential solution in spirituality. Korea is no exception. There are many spiritual methodological streams to find spiritual rest such as meditation with new age music, yoga, or nameless energy training. However, the Church does not give them, seekers, enough spiritual answer. If we Christians have spiritual traditions for this answer, what are they? Unfortunately, today, the One Church, which was established by Jesus Christ, has divided into countless denominations and sects. Each denomination and sect defines their own definition of spirituality and educates for each spiritual formation. How about relations with other religions in Korea? Korea and Oriental countries have come into conflict between Christianity and indigenous religions. In this age, which has many spiritual needs,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Jesus Prayer as an answer which can be a common denominator and bridge of dialogue with other religions. Unfortunately, many people think that the Jesus Prayer is just a symbol of the Eastern Orthodox Church because of their denominational and theological limitations. However, the Jesus Prayer, which comes from 5th century, would have older traditional background than we imagine. It may be an early Church"s tradition and comes from calling awesome God"s holy name in biblical bases. As a method of meditation prayer, the Jesus Prayer, which was rediscovered by the Russian Church in 14the century, was brought into the spotlight again by Today"s Roman Catholic Church and the Protestant Church. Therefore, in this study, I will explore this Prayer which has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iritual exercise such as simple, remember, repetition, freedom from distraction, and breathing by the spiritual educational perspective. In order to apply the Jesus Prayer, which deals with spiritual theology and church history, to the practical context, it first needs theoretical exploration. Thus, in chapter II, I will conduct a theological study about the Jesus Prayer. Examining historical, biblical, systematic, and practical theological bases, I will explore introductory understanding of the Jesus Prayer. In chapter III, in a more detailed approach, I will try to deal with educational analysis of the Jesus Prayer. In chapter IV, the final chapter, I will offer suggestions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Jesus Prayer in a Korean Context.

      • 청소년 영성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연구

        채혁수(Hyeok-Su Chae) 영남신학대학교 2021 신학과 목회 Vol.55 No.-

        In this study, I emphasize the needs of youth ministry, especially spiritual education for youth.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offer several suggestions for the spiritual educational curriculum of the Korean context. In more detail, through Kenda Creasy Dean’s theory, I will check the three stages of spiritual growth and apply them to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for youth. The structu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After the introductory part of chapter Ⅰ, chapter Ⅱ describes the developmental psychological theories of Sigmund Freud, Erik H. Erikson, Jean Piaget, and Lawrence Kohlberg and their limitations. In chapter Ⅲ, I will examine the Christian theory of James W. Fowler’s faith developmental theory and James E. Loder’s spiritual approaches through the logic of the spirit, which goes beyond these kinds of limitations. Chapter Ⅳ deals with Kenda Creasy Dean’s theory about youth spiritual ministry, focusing on her book, Practicing Passion. In chapter Ⅴ, the central part of this study, I will apply Dean’s spiritual curriculum for youth based on three stages of the traditional spiritual growth: “Purification, Illumination, and Union” to the Korean youth context. In chapter Ⅵ, I will conclude the thesis with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hope the further research.

      • KCI등재

        Spiritual Education toward Wholeness

        Hyeok Su Chae(채혁수)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5 신학논단 Vol.82 No.-

        오늘날 생태계는 피조물에 불과한 인간이 만든 지배자와 피지배의 이분법적 도식으로 말미암은 무분별한 파괴 속에 신음하고 있다. 9 · 11 테러 이후, 어쩌면 종교와 문화로 인해 분리된 두 세계(동양과 서양), 아스팔트와 시멘트 속의 단절된 외로움 그리고 무엇보다 인터넷웹 공간에 갇힌 고갈된 영성의 사람들의 실존적(實存的) 문제 속에서 이 파괴적 본능이 나타났는지도 모르겠다. 이 실존적이고, 영적(靈的)인 갈증을 채워줄 해갈(解渴)은 무엇인가? 보다 근본적으로 추구해야 할 영성이란 무엇인가? 인간이 청지기로서 보전해야 할 피조 세계 속의 생태란 무엇인가? 그리고 영성과 생태, 이 둘 사이의 관계는 어떻게 정립될 수 있을 것인가? 한국을 포함한 동양은 근대에 있었던 서양의 제국주의적 침략을 통한 역사적 상흔(傷痕)을 가지고 있으며, 서양의 분석적이고 이원론적 사고에 근거한 서구적 영성은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그렇다면 동양적 영성에 근거한 통전적 영성, 피조 세계 속에 창조적 생태 영성을 포함하는 기독교적 접근은 무엇일까? 생태와 영성의 온전한 관계 재정립을 통한 통전적 영성, 그리고 동양적 창조 영성에 근거한 기독교 교육이 있다면, 그것은 오늘날의 한국적 상황에 잘 접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요구들이 이 연구의 동기를 고취시켰다. 본 연구는 먼저 영성과 생태에 관한 인간 내면과 외면의 실존적 문제의 관계정립을 시도 할 것이다. 두 번째, 학제간(interdisciplinary)연구와 학문적 앎과 삶의 현장(praxis)의 불가분리성(不可分離性)을 살펴보며, 서양 중심의 생태와 영성에 대한 이분법적 도식을 교회사를 통하여 비판적으로 알아 볼 것이다. 그리고 그 대안적 제시로 동양의, 생태와 영성을 통전적으로 바라보는 도교적(Taoistic)이며 통전적(holistic) 접근과 이에 근거한 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 도르트 죌레(Dorothee Soelle), 곽퓨란(Kwok, Pui-lan), 메리 무어(Mary Moore)등의 신학자들의 통전적 창조 영성을 살펴 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생태와 영성의 재정립을 통한 통전적 사고를 가지고, 한국 기독교적 상황, 특히 한국교회에 필요한 친환경적(eco-friendly) 교육으로써의 적용 가능성을 찾아보려 한다. 오늘날 생태계는 피조물에 불과한 인간이 만든 지배자와 피지배의 이분법적 도식으로 말미암은 무분별한 파괴 속에 신음하고 있다. 9 · 11 테러 이후, 어쩌면 종교와 문화로 인해 분리된 두 세계(동양과 서양), 아스팔트와 시멘트 속의 단절된 외로움 그리고 무엇보다 인터넷웹 공간에 갇힌 고갈된 영성의 사람들의 실존적(實存的) 문제 속에서 이 파괴적 본능이 나타났는지도 모르겠다. 이 실존적이고, 영적(靈的)인 갈증을 채워줄 해갈(解渴)은 무엇인가? 보다 근본적으로 추구해야 할 영성이란 무엇인가? 인간이 청지기로서 보전해야 할 피조 세계 속의 생태란 무엇인가? 그리고 영성과 생태, 이 둘 사이의 관계는 어떻게 정립될 수 있을 것인가? 한국을 포함한 동양은 근대에 있었던 서양의 제국주의적 침략을 통한 역사적 상흔(傷痕)을 가지고 있으며, 서양의 분석적이고 이원론적 사고에 근거한 서구적 영성은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그렇다면 동양적 영성에 근거한 통전적 영성, 피조 세계 속에 창조적 생태 영성을 포함하는 기독교적 접근은 무엇일까? 생태와 영성의 온전한 관계 재정립을 통한 통전적 영성, 그리고 동양적 창조 영성에 근거한 기독교 교육이 있다면, 그것은 오늘날의 한국적 상황에 잘 접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요구들이 이 연구의 동기를 고취시켰다. 본 연구는 먼저 영성과 생태에 관한 인간 내면과 외면의 실존적 문제의 관계정립을 시도 할 것이다. 두 번째, 학제간(interdisciplinary)연구와 학문적 앎과 삶의 현장(praxis)의 불가분리성(不可分離性)을 살펴보며, 서양 중심의 생태와 영성에 대한 이분법적 도식을 교회사를 통하여 비판적으로 알아 볼 것이다. 그리고 그 대안적 제시로 동양의, 생태와 영성을 통전적으로 바라보는 도교적(Taoistic)이며 통전적(holistic) 접근과 이에 근거한 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 도르트 죌레(Dorothee Soelle), 곽퓨란(Kwok, Pui-lan), 메리 무어(Mary Moore)등의 신학자들의 통전적 창조 영성을 살펴 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생태와 영성의 재정립을 통한 통전적 사고를 가지고, 한국 기독교적 상황, 특히 한국교회에 필요한 친환경적(eco-friendly) 교육으로써의 적용 가능성을 찾아보려 한다.

      • 프로이트와 기독교 영성교육

        채혁수(Hyeok-Su Chae) 영남신학대학교 2020 신학과 목회 Vol.53 No.-

        This study deals with Freud’s understanding to religion and its evaluations. The study also explores the interpreta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with Freud’s understanding of religion and its applications in the practical context. What are the nature and the origin of religion that Freud found? Is our faith simple confidence and obsessional religious rituals or is that pure faith seeking the kingdom of God? With rising of the Covid-19, world citizen are facing the crisis of the era of the virus infection. In Korea, the 31th patient, who is a member of cult group, Shincheonji(new heaven and new earth), brought the rapid spreading of virus in Daegu city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How could this kind of blind belief of religious cult group be seen? As answering this question, this study examines Freud’s understanding to religion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context.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Ⅱ deals with Freud"s understanding to religion and its limitations and benefits. In chapter Ⅲ, I will find the connecting point between Christianity and Freud’s understanding to religion from spiritual educational perspectives. In chapter Ⅳ, I will explore Freud’s understanding of religion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s in Christian context.

      • KCI등재

        헨리 나우웬(Henri J. M. Nouwen)의 영성과 영성교육적 적용

        채혁수(CHAE Hyeok-Su)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0 장신논단 Vol.52 No.2

        이 연구는 헨리 나우웬(Henri J. M. Nouwen)의 생애와 영성을 살펴보며 영성교육적 적용점을 찾아보고자 한 시도이다. 그는 죽었지만, 여전히 그와 동시대를 살았고 또 살아가는 우리에게 그가 던지는 깨달음의 가르침과 메세지,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 자신이 살았던 거룩한 삶의 모습들은, 불의와 적절히 타협하며 빛과 소금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은 채 살아가는 오늘날의 우리, 그리스도인들에게 대답하기 불편한 질문이 되고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생애와 영성을 다시 살펴보는 것은 예수의 성육신과 자기 비우심처럼, 미련없이 미동부의 명문대학 교수직을 버리고, 약하고 소외된 사람들과 공동체를 이루고 그들과 목회하며 살다 간 그의, 아는 것을 실천했고, 글이 아닌 삶으로 복음을 전했던 모습이 영성교육을 시도하는 우리에게 큰 울림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Ⅰ장의 논문의 서론을 거쳐, Ⅱ장에서 헨리 나우웬의 생애를 단계별로 살펴 볼 것이다. 그의 삶의 객관적 궤적, 또 그 자신이 평가하는 그의 삶, 그리고 학계의 평가 속 그의 삶의 분기들을 중심으로 그의 생애를 따라가 보려한다. Ⅲ장에서는 그의 영성을 살펴볼 것인데, 그의 영성의 특징들, 한계점들, 그 근본동기, 그리고 시사점들을 중심으로 알아볼 것이다. 그러면, 이렇게 알아본 그의 생애와 영성을 우리는 어떻게 우리 삶에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인가? Ⅳ장은 그의 생애와 영성의 현장화로 영성교육의 적용점들을 찾아보려고 한다. This study is a trial to seek spiritual educational application by searching Henri J. M. Nouwen’s life and his spirituality. Although he passed away, he is still giving uncomfortable and hard questions for those who has lost their Christian identity by compromising injustice. Due to Nouwen’s life and spirituality to serve powerless and lonely people and to live by his message, teaching and living method, we can imagine that he likes Jesus’s kenosis and incarnation. Nouwen, however, gives some kind of challenge and warning for those who attempt to do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The structu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 is an introduction part. Chapter II describes Nouwen’s life following stage by stage. With an objective trajectory of his life, a self evaluation for himself, and an evaluation for him from academic fields, I will track course of his life. In chapter III, I will examine his spirituality such as characteristics, limitations, and basic motivations of his spirituality and implications for us who live in a modern society. Then, how do we apply his life and spirituality to our fields of life? In chapter IV as a research-to-practice of his spirituality, I will find application points of his life and spirituality to our spiritual educational fields.

      • 마리아 해리스(Maria Harris)의 교육이론에 근거한 한국적 상황을 위한 교육적 제언

        채혁수(Hyeok-Su Chae) 영남신학대학교 2015 신학과 목회 Vol.44 No.-

        This study will review Maria Harris’s educational theories, which were used by the design team of the present PCK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curriculum to create the framework of the curriculum, The Kingdom of God. In 2001, facing the new millennium, the PCK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published the current curriculum, “The Kingdom of God: Calling and Responding.” This curriculum was based on the theories of Maria Harris. It used broad concepts of curriculum developed by Yong-Soo Koh based on the educational theory of Maria Harris. In this study, I will go back Maria Harris’s theory as the foundational theory of educational department of the design team of the present PCK curriculum. In addition, I will make suggestions based on Harris’ theories to create the basic of a future curriculum. Why do I offer suggestions for the future PCK curriculum based on Harris’s theory? I feel a sense of frustration because if this curriculum had well applied Harris’s original intentions and theories, it would have been more successful. I think that, even though the present PCK curriculum, the Kingdom of God, employs Harris’s theories, the curriculum has lost important concepts from Harris. The structu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 will find Maria Harris"s place in the curriculum. Second, I will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Maria Harris"s educational theory. Third. I will try to apply Maria Harris"s educational theory to the Korean Context. In conclusion,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study, considering the Korean context, I will attempt to offer suggestions for the future PCK curriculum.

      • 장애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에 대한 기독교 교육적 제언

        채혁수(Hyeok-Su Chae) 영남신학대학교 2016 신학과 목회 Vol.4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suggestions for the effect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from a Christian education perspective. If the connection between knowing and living is one of the important tasks of Christian education, then the healing and caring of Jesus Christ for a blind man, Bartimaeus, on the road (Mark 10: 46-52) is the responsibility that requires urgent attention of the Korean churches. Thus, in this study, I explore the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hristian educational suggestions for that. The structu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I describes the introduc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for exceptional children in order to find the effective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How do we effectively deliver and teach the precious Gospel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Educational specialists offer proper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special educational technology and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disabled children and children who have no disabilities based on the transition education for the socialization. Chapter III introduces recent issues regarding disability rights and the reality of church education of disabled person in Korea. As an alternative to Christian education, chapter IV explores Maria Harris’s education for “the outsiders” including “the power to receive” and “the power to act.” Chapter V applies Harris’s education to the effective education of disabled children through four tools of practical theology by Richard R. Osmer. This includes Christian values “to serve” and “to share” which goes beyond “to have” and “to be.” This study explores the strategic and practical task of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Maria Harris’s education for outsiders. Even though it is a small step for the reformation or change of Korean churches’ view of the disabled person, I hope that my study will be in continuous cooperation with the Creator God who created, creates, and will forever perfectly create the disabled person. Soli Deo glor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