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권리와 로컬의 주체형성

        차윤정(Cha, Yun-J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한국민족문화 Vol.40 No.-

        이 연구는 로컬인의 언어권리 문제와 로컬어 부흥운동 사례를 통해 로컬의 주체형성 문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언어권리의 개념을 살피고, 로컬인의 언어권리를 자신의 삶의 터인 로컬의 언어를 자유롭게 사용하며, 이를 통해 불평등한 대우를 받지 않을 권리로 정의한다. 그리고 로컬인들이 언어권리를 보장받지 못하는 상황을 갈등 상황으로 보고, 그 원인을 표준어 제정, 교육, 방송규정 같은 국가적 차원의 제도와 개인적 차원의 욕망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핀다. 또한 로컬어에 대해 주체적으로 사유하려는 시도로, 제주로컬어 부흥운동의 사례를 살핀다. 특히 『제주어 보전 및 육성 조례』 제정을 중심으로 로컬어부흥운동의 과정과 참여자, 제주인들의 의식 전환 등을 살핌으로써, 로컬어를 통한 로컬의 주체형성의 의미를 찾아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subject of locality is formed, through cases of language rights of local people and the revival movement of local languages. Thus, the concept of language rights is examined most of all, and local people's language right is defined as a right through which local peoples use local languages freely, which are the ground of their lives, and they shouldn't be treated unfairly. Besides, on the premise that the circumstance of local people's language rights not being assured is a conflict circumstance, this study examines the causes by focusing on problems of individual-level desire as well as national-level institutions, such as standard language enactment, education and broadcasting regulations. Moreover, this study investigates some cases of revival movement of the Jeju local language are investigated as an attempt to subjectively possess local languages. Especially, mainly with the enactment of ?Ordinance for the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the Jeju Language?,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meaning of the formation of the subject of locality through local languages, by examining the process of the revival movement of local languages, participants and Jeju residents' converting their awareness.

      • KCI등재

        3.15 관련 기사의 비판적 담화분석과 사회적 의미

        차윤정(Cha, Yun-Jung),차철욱(Cha, Chul-Wook) 동남어문학회 2010 동남어문논집 Vol.1 No.29

        The purpose of the current paper is to analyze articles about the 3.15 movement appeared in Dong-A Ilbo, Seoul Sinmun, and Masan Ilbo from the viewpoint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More precisely, the paper analyzes how newspapers choose sources of information, what linguistic devices they use in order to express and interpret the information, and what their social meanings can be. We found that with respect to information picking-up, Dong-A Ilbo chose the information of the police's violent reaction to, and citizens'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incident, provided by the Korean Bar Association. Seoul Sinmun reported the incident from the stance of the Ministry of Home, while Masan Ilbo chose information from the stance of the police. Both papers eliminated any information that could be interpreted as the police's violent reaction against the movement. They rather chose the information that was more likely to be seen the movement as instigation of Democrats. With respect to word choice, Dong-A Ilbo employed unpolitical expressions that revealed the police's violent reaction and citizens' spontaneousness, while Seoul Sinmun used political expressions that depicted a negative image of the movement, such as Democrats' instigation. Masan Ilbo showed a mixed feeling about the movement reporting it more vividly than other newspapers. Thes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three papers appeared to reveal their stances. Dong-A Ilbo and Seoul Sinmun, both are national papers, reported the incident for the purpose of seizing power. Meanwhile Masan Ilbo as a local paper switched its content from a political approach to the incident to detailed information in the site.(Pusan University)

      • KCI등재

        비교과 활동으로서 비평문 쓰기의 교육적 의미 : ‘고전·명저 비평문 저자되기’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차윤정(Cha, Yun-jung)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코기토 Vol.- No.90

        본 연구의 목적은 비교과 활동으로서 독서 비평문 쓰기가 가진 교육적 의미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대학교 교양교육원에서 실시한 비교과 프로그램 ‘고전·명저 비평문 저자되기’에 참여하여 자기주도적 독서와 비평문 쓰기를 한 학생들의 경험을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참가 후, 참여자들은 독서와 관련하여 자신에게 맞는 독서 전략과 방법을 찾아내는 한편, 나를 중심에 둔 독서를 하는 변화를 보였다. 글쓰기에서는 비평문 형식에 대한 이해는 물론 자신만의 비평문 쓰기 방식을 찾아내고 글쓰기가 소통과 교류의 수단이라는 것을 이해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비평문 쓰는 방법에 대한 이해와 글의 내용 구성을 위해 자료를 찾고 글을 쓰는 과정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문제 해결력의 향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50권의 독서와 비평문 쓰기 과정에서 자기 성찰의 기회를 가졌으며, 프로그램이 끝난 후 자기 성장을 인식하고 성취감을 느낀 것으로도 나타났다. 또 공감과 소통능력, 공동체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그 외에도 삶의 가치로서 성실성, 독단의 경계, 다양한 관점의 중요성을 깨달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meaning of writing a critique as an extracurricular program.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f Pusan National University’s Institute of Liberal Arts, ‘Become an author of a critique for prestigious classic books’, read books as a self-directed way and wrote a critique of them. Their personal narratives of experiencing this program were used as data of this study. The results have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found a suitable strategy and method of reading and changed their way of reading to be centered on themselves. It has been shown that students were able to find their own way of writing a critique and understand a writing process as a means of communication and exchange as well as an understanding of form of critical texts. The study has also found that they improv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how to write critical texts, finding data to construct the contents of writings and writing a critique. In the process of reading 50 prestigious classic books and writing its critiques, students could hav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mselves. After the program was over, they have recognized their growth and felt a sense of accomplishment. In addition, the awareness of empathy, communication ability, and sense of community were increased, and it was also found that they realized the importance of sincerity, the boundary of dogma, and various perspectives as values of life.

      • KCI등재

        기호 ‘센텀’의 확산 현상에 반영된 사회문화적 의미 읽기

        차윤정(Cha, Yun-J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한국민족문화 Vol.63 No.-

        이 글에서는 부산 지역의 아파트 명칭에 나타나는 기호 ‘센텀’의 확산현상을 대상으로, ‘센텀’의 의미 변화를 살피는 한편, 이러한 확산 현상의 사회문화적 의미 읽기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호의 생산과 사용의 배경이 되는 현대사회의 특성에 대해 살피고, 공간과 인간의 관계맺기 방식과 그 변화, 공간의 금융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현대사회의 특성이 지역사회에서 나타나는 기호 ‘센텀’의 확산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기호 ‘센텀’의 확산 배경으로는, 첫째 아파트 명칭을 통한 개인의 사회적 정체성 형성과 과시 욕망이 자리한다는 것, 둘째 공간의 금융화 현상과 함께 아파트가 투자재로 인식되는 현상이 자리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센텀시티가 전문가에 의해 자본의 논리에 따라 기획된 추상공간으로, 공간의 위계화를 통해 주변 지역과의 차별화를 지속적으로 생산해 내고 있다는 점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공간의 위계화에 따라 센텀시티가 ‘중심, 상류층’과 관련하여 의미화 되는데 반해, 주변 지역은 ‘주변, 비상류층’과 관련하여 의미화 된다. 공간의 의미적 대립은, 주변 지역인들의 욕망을 자극하여, ‘센텀’이 주변 지역으로 확산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그 결과 지역사회에서 ‘센텀’은 원래 센텀시티라는 물리적 공간을 지시대상으로 갖는 기호였지만, 확산 현상을 통해 현실의 지시대상과 분리되면서 의미의 추상화가 진행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emantic change of ‘centum’ and read the sociocultural meaning in the diffusive proliferation of ‘centum’ in the names of apartments located in various parts of Busan. For this purpose, after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which provide a backdrop for the production and use of sign, this study looked at the ways in which human beings build a relationship with space, the changes in those ways, and the financialization of space.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uch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is related to the diffusion of the sign ‘centum’ emerging in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se investigations, it was confirmed that two aspects provided the backdrop for the diffusion of ‘centum’: one is the formation of an individual’s social identity and the reflection of his/her desire to show off through the name of the apartment, and the other is the phenomenon of recognizing apartments as an investment goods with the finacialization of space. This findings are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Centum City, as an abstract space planned by a specialist upon the logic of capitalism, is continuously generating its differentiated ualities from the surrounding areas through the hierarchization of space. Space hierarchization signifies Centum City in relation to ‘center, the upper class’, while signifying the surrounding areas in regards to ‘periphery, the non-upper class.’ Such opposition in the meaning of space aroused the desire of surrounding residents and became a major factor for the proliferation of ‘centum’ into surrounding areas. In local communities, ‘centum’ was originally a sign for the physical space of Centum City as its referent. Now a semantic abstraction is underway, as the sign of ‘centum’ is diffusing from its referent in reality.

      • KCI등재

        로컬 서사를 통해 본 차이의 가능성-삼지내마을의 슬로시티 인증과 문화적 재구성을 중심으로-

        차윤정 ( Cha Yun-ju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1

        이 글은 획일화된 거대서사에 가려져 은폐되어왔던 로컬의 서사를 드러내고 이로부터 로컬의 가치와 역동성을 찾아내고자 하는 연구목적의 일환으로, 구체적 삶의 장소인 마을을 대상으로 글로벌화에 따른 문화적 재구성을 통해 로컬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남 담양군 창평면 삼지내마을의 슬로시티 인증을 둘러싼 마을 문화의 재구성을, ‘누가, 왜, 무엇을, 어떻게’의 관점에서 살폈다. 삼지내마을에서는 ‘슬로시티’ 표상 아래 글로벌, 지자체, 마을이 경합하면서,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 ‘전통’을 ‘느림’으로 재의미화하는 방식으로 문화가 재구성되고 있다. 마을의 슬로시티 인증은 글로컬화의 대표적 사례이다. 하지만 그 과정이 자연스러운 마을 문화의 발산이라기보다는, ‘관광’을 중심으로 현실의 다층적인 문화를 전후면에 조작적으로 배치시키고, 누락 혹은 가공하는 작업을 수반함으로써 문화의 동질화를 지향한다. 경제적 논리가 바탕이 된 문화의 조작적 배치와 재구성 방식은 문화적, 경제적 배제와 소외를 낳고 마을 내에서 동일화에 반하는 다른 목소리들은 배태시킨다. 그런데 동일화에 저항하는 다른 목소리들은 삼지내마을의 역사 속에서 반복적으로 확인되는 것으로 마을을 차이의 공간으로 생성해 왔다. 이런 점에서 슬로시티를 둘러싼 다른 목소리들은 마을을 차이의 공간으로 생성해낼 수 있는 가능성이자 동일화에 포획되지 않는 로컬 역동성의 기반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local possibilities through cultural reconstruction in accordance to globalization of villages, which are places of concrete lives, and in doing so, reveal local narratives which have been concealed beneath the unified macronarrativ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village cultural reconstruction surrounding the slow city certification of Samjinae village in Changpyong-myeon, Damyang-gun county, from the perspective of ‘who, why, what, and how’. At Samjinae village, culture is being restructured under the presentation of ‘slow city’ in the manner of resignifying ‘traditional’ to ‘slow’ with the world, local government and the village are competing with one another for the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However, this course of restructuring is less a natural radiation of village culture, but more aimed for cultural homogenization by way of accompanying works that manipulatively place in front and rear and omit or fabricate multi-layered culture of reality centering on ‘tourism’. Such manner of manipulative arrangement and restructuring of culture grounded on economic rationale engender economic exclusion and alienation and also impregnates different voices that oppose to homogenization within the village. Found repeatedly in the history of Samjinae village, these other voices that fend against homogenization have generated a space of difference from the village. In this regard, these difference voices surrounding slow city can be understood as the possibilities that enable the generation of space of difference from village and the foothold of local dynamics which will not be made prize of homogenization.

      • KCI등재

        코로나19 관련 방송 공익광고의 주제 변화와 텍스트 분석

        차윤정(Cha Yun-Jung) 우리말학회 2021 우리말연구 Vol.64 No.-

        본 연구는 코로나19 관련 방송 공익광고의 주제 변화와 텍스트 구조, 텍스트에 사용된 표현 기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코로나19 관련 방송 공익광고의 주제를 살펴본 결과, 코로나19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변화나 그에 따라 요구되는 행동 변화, 지향해야 할 의식 등을 주제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텍스트 내용구조 분석결과는 ‘문제제기-상황설명-해결책-주제강조’라는 인쇄 공익광고의 일반적인 내용구조에 비해 훨씬 다양한 구조를 보였다. 이는 지면의 제한을 받는 인쇄 공익광고가 텍스트 구조의 다양화를 추구하기가 쉽지 않은 반면, 방송 공익광고는 언어적‧비언어적 요소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고 지면의 제한 같은 제약이 덜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방송 공익광고에서는 광고내용을 국민들에게 널리 알리고 설득하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표현 기제들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유사음 같은 음운적 기제를 활용한 것, 수사적 기제로서 문장구조의 반복을 활용한 것, 문체적 특성으로 관용표현의 구조를 활용한 것, 의고적 표현을 활용한 것 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표현 기제들은 텍스트를 결속하는 결속 장치로 기능하기도 하고 주제를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me change, text structure, and expression mechanism used in text of Corona19 related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heme of Corona19 related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it was found that the themes were social changes that appeared in the situation where Corona19 continued, behavioral changes accordingly, and consciousness to be directed. The analysis results of text structure showed various structures compared to the general contents structure of the printed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called ‘problem-explanation-solution-themed steelmaking . This is because the printed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which is restricted by the ground, is difficult to pursue diversification of text structure, while the broadcast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can utilize linguistic and nonverbal elements and has few restrictions such as restriction of the ground. In addition, in th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various expression mechanisms were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publicizing and persuading the contents of the advertisement to the public. Typically, there were the use of phonological mechanisms such as similar notes, the repetition of sentence structure as rhetorical mechanisms, the structure of idiomatic expressions as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the use of old expressions. These expression mechanisms function as a binding device of text and also helped to realize the theme.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부산 지역 방언 의문형 어미의 교육 방안 - ‘-가/-나’, ‘-고/-노’를 중심으로-

        차윤정(Cha Yun-Jung) 우리말학회 2018 우리말연구 Vol.53 No.-

        이 글은 한국어 교육에서의 지역 방언 교육의 필요성과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부산 지역 방언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 방언의 해라체 의문형 어미 ‘-가/-나’와 ‘- 고/-노’를 대상으로 입력 강화 교수법을 적용하여 교육 방안을 구성하였 다. 이를 위해 먼저 방언 문법 교육의 특수성을 파악하여, 교육 방안 구성 과정에 방언 교육이 갖는 특수성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표준어 교육과 달 리, 방언 교육에서는 듣기 능력의 개발이 우선적으로 요구되므로, 교육 방안 구성 과정에 듣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전략들을 사용하였다. 또한 방언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교수법으로 입력 강화 교수법을 활용하 였다. 이를 위해 ‘입력 홍수’, ‘텍스트 강화’, ‘구조화된 입력 활동’, ‘문법 의식 고양 과제’ 등의 구체적인 기법들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부산 지역 방언의 해라체 의문형 어미 ‘-가/-나’와 ‘-고/-노’의 교육에 이들 네 가지 기법을 적용하여 교육 방안을 구성하였다. 특히 입력 강화 교수 법은 의사소통 상호과정 속에서 목표 형태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다는 점, 그리고 정확한 표현 능력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표현 능력보다 는 듣기 능력의 신장을 목표로 하는 방언 문법 교육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teaching methods of dialect in Busan in order to meet the needs and demands of local dialect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input enhancement teaching method was applied to the ‘-ka/-na , ‘-ko/-no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pecificity of the teaching of dialect grammar and to reflect the specificity of the teaching of dialect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education plan. Unlike the standard language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listening ability is a priority in the dialect education. Therefore, the strategies that can enhance the listening ability in the course of the education method are used. In addition, the method of input enhancement teaching was used as a teaching method which can be used for teaching of local dialect. In addition, the method of input enhancement teaching was utilized as a Input Flood, Textual Enhancement, Structured InputActivities, Grammar Consciousness-Raising Tasks. Finally, I applied these four techniques to the education of ‘-ka/-na , ’-ko /-no in the questioning type of dialect of Busan area. In particular, input enhancement pedagogy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the target form in communication process and does not aim at accurate expression ability. In this respect, i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teaching spoken grammar aiming to enhance listening ability rather than expressive ability.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지역 자료를 활용한 역사문화 교육 방안 - 부산 지역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차윤정(Cha Yun-Jung) 우리말학회 2019 우리말연구 Vol.59 No.-

        본 연구는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지역 자료를 활용한 한국과 지역의 역사문화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과 부산 지역의 역사문화를 연계해서 교육할 수 있도록 교수모형과 15주의 교수계획,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수업의 예를 제시하였다. 체험 후 활동을 중심으로 제시한 교육 방안에서는 부산의 아미동 지역을 배경으로 한 동화를 자료로 활용하였다. 읽기 전, 읽기, 읽기 후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이 동화 내용을 한국, 지역의 역사문화와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읽기 후 활동에서는 한국과 부산의 역사문화를 이해하고, 이를 자신의 문화와 비교하여 이해함으로써 상호문화 이해 능력을 높이도록 하였다. 또한 역사문화 교육과 언어 교육을 통합하는 교육 방안을 통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In this paper, based on the survey of international student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methods of education in history and culture in Korea and the region using regional data. For this purpose, the teaching model, 15-week teaching plan,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Korean War class were presented for the educ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Busan and Korea. In the educational plan presented after the experience, the fairy tale set in the Ami-dong area of ​​Busan was used as the material. Pre-reading, reading and post-reading activities helped learners understand fairy tales in relation to Korean and local historical culture. Particularly, in the post-reading activities, students were able to understand Korean and Busan s historical cultures and compare them with their own cultures to enhance their intercultural understanding. In addition, through the educational plan that integrates historical and cultural education and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on skills can be enhanced.

      • KCI등재

        〈자갈치 아지매〉를 통해 본 로컬의 경계 허물기 방식에 대한 고찰

        차윤정(Cha Yun-J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한국민족문화 Vol.36 No.-

        이 연구에서는 라디오 프로그램 〈자갈치 아지매〉를 사례로, 중앙에 의해 구획된 경계를 허물기 위한 로컬의 시도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로컬을 타자화 시켜 중앙의 질서에 따라 배치하는 방식과 로컬이 새로운 주체로서 거듭나기 위해 구사하는 위반의 방식을 방송의 형식적 측면과 내용 구성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중앙방송의 동일화 방식의 한 양상은 모든 방송은 원칙적으로 표준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방송규범을 통해 방송언어를 동일화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동일화의 추구에는 로컬어의 소통과 품위에 대한 중앙의 편견이 깔려있다. 〈자갈치 아지매〉에서는 로컬어를 방송어로 사용함으로써 동일화를 위반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위반의 방식은 로컬인들의 호응을 끌어내는 것은 물론, 〈자갈치아지매〉를 최장수 로컬방송 프로그램으로 만들었고, 유사한 로컬방송 프로그램의 등장에도 영향을 끼쳤다. 차별화 방식은 중앙의 시선에서 중앙과 로컬의 차이를 극대화하고, 이것을 로컬의 일반적 특성으로 치환시킴으로써 탈맥락화 된 로컬들을 재현해 낸다. 이에 반해 〈자갈치 아지매〉에서는 로컬의 사회적 문제, 일상생활 등을 내용으로 담아 로컬인들의 일상의 맥락을 살려냄으로써, 개별적이고 주체적인 가치를 지닌 로컬을 재현해 내고 있다. 〈자갈치 아지매〉에서는 중앙이 만들어 놓은 경계 허물기를 시도함으로써, 중앙방송의 담론을 일방적으로 따르지 않고 로컬 입장에서 로컬을 재현해 내는 주체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The present article aims to gauge an attempt that demolishes the boundary built by the central broadcasting via analyzing a radio program, Jagalchi Ajimae. In doing so, the study investigates two methods: one is to allocate local broadcasting according to the rules of the central broadcasting, and the other is to relocate local broadcasting as a potential agent. The central broadcasting assimilates and discriminates local broadcasting by the assimilation and differentiation way. Assimilation way intends to assimilate broadcasting language by the regulation that in principle, all broadcastings use a standard language. Persuading the assimilation way seems to be affected by a prejudice of the influence and dignity of local language. Jagalchi Ajimae uses a local language (dialect) that violates the assimilation way. This violation has made the program to receive more attention from local people and contributed to making the program to be on air forever. It has further effected on the advent of similar programs. differentiation way is to maximize the differences between central and local broadcasting. By doing so, it represents decontextualized local broadcasting. Jagalchi Ajimae has represented individual, self-centered local broadcasting by dealing with social issues and everyday life of local people. With the violation, Jagalchi Ajimae shows a potential to be a new agent not a shadow of the central broadcasting. In other words, local broadcasting can become a new agent in the broadcasting world.

      • KCI등재

        로컬 언어 다시보기

        차윤정(Cha Yun-J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한국민족문화 Vol.33 No.-

        이 연구는 로컬 언어의 올바른 가치 인식과 이해를 위한 언어 연구방법과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학의 과학화를 위해 노력했던 구조주의 언어 이론 속에 다양성과 특수성을 배제하는 근대적 특징-객관성 추구, 보편성 추구, 거대담론 추구-이 깔려있다는 것을 살피고, 이러한 구조주의의 근대성이 로컬 언어 연구를 배제하고 로컬 언어의 가치를 정당하게 평가받지 못하게 만든 하나의 원인이 되었음을 밝힌다. 그리고 로컬 언어의 정당한 가치를 인식하고 로컬 언어의 특징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연구대상에 인간과 실세계를 포함시켜야 한다는 점, 연구대상이 문장을 너머 시공간적 상황에서 만들어진 담화로 확대되어야 한다는 점을 밝힌다. 로컬 언어를 분석하는 연구방법론 역시 로컬 언어의 체계를 밝히는 구조주의뿐만 아니라 언어와 인간, 사회, 문화를 함께 연구할 수 있는 사회언어학 같은 연구방법이 적용되어야 함을 밝힌다. 끝으로 울릉도 로컬 언어의 어휘를 대상으로 앞에서 제안한 로컬 언어 연구방법을 부분적으로 적용해, 로컬 언어 어휘에는 로컬의 자연환경, 생산물, 문화, 로컬인들의 체험 등이 반영되어 있다는 사실과 이들 어휘를 분석해 보면 로컬인들이 공유하고 있는 문화모형을 추론해 볼 수 있다는 것을 살펴본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argue about research methods and approaches to language in order to understand the value of local language. Modern society is featured by rationalism, objectivity, self-centrism, and macro-discourse. These ideologies discriminate variety and specialty. This paper argues first that the structural linguistic theory that aimed to build linguistics as a science entails some modern characteristics, such as searching for objectivity, universality, and macro-discourse, which exclude variety and specialty. And then, the paper argues that because of these modern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ism, the study on local languages did not get attention, and naturally their value was not properly assessed. Further more, this paper calls for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of local language, and more over, asserts that in order to do so, human beings and the real world should be included in the study, and the object of analysis should be discourse in the real world going beyond sentences. The present paper also suggests that there are other methods besides structuralism that can analyze local languages, such as linguistic ethnography and social linguistics. Finally, with the above method suggested, the paper analyzes the local language of Ulleong-d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