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장실습중심 농업교육프로그램의 교육내용적 특성, 학습태도, 만족도 간의 구조 관계 분석

        차승봉(Seung Bong Cha),남민우(Min Woo Nam) 한국농촌지도학회 2015 농촌지도와 개발 Vol.22 No.4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and learning more properties in agricultural college education pro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del was accepted according to the some goodness of fit statistics such as ?撮? (84.28, p>.05), RMR(.036), RMSEA(.041), GFI(.927), NFI(.945), CFI(.985), IFI(985). seconds, Learning attitude(. 31) and content validity(.47)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s a direct impact on satisfaction. thirds, Perceived Usefulness(.34) and Content validity(.36) has direct effect of factor on learning attitude. Finally Perceived Usefulness was found to direct effect all Content validity(.64) and easy of use(.27). Finally, considering of duties required in the agriculture.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should have provide field learning based Learning materials, practices, instructional media. As a result, it will enhance the performance of field learning agricultural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대학에서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자 인식 사례 연구

        차승봉(Seung-bong Cha),박혜진(Hye-jin Par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3

        본 연구는 대학에서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플립러닝에 대한 내용과 플립러닝 수업으로 인한 경험적 효과를 분석한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소재 K대학의 188명의 학생들이 작성한 플립러닝에 대한 성찰일지를 분석하였다.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과 경험적 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살펴보면, 플립러닝의 구조인 사전 학습과 본 학습, 사후 학습에 대한 체계화된 교수 설계와 각 단계별 학습내용에 대한 연계성, 다양한 교수자료를 활용한 학습내용의 구조화가 계획적으로 제공되는 수업구성측면이 플립러닝의 가장 큰 특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대학에서 플립러닝 수업을 경험한 학습자들은 자신들이 주체가 되어 학습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에 있어서 학습내용과 교수자의 행동보다는 학습자의 책임과 활동이 강조되기 때문에 학습자의 능동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학습자들은 플립러닝을 통해 상호작용에 대한 효과성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플립러닝 수업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자유로운 질의 및 응답을 통해 사전 학습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본 수업에서 일어나는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동료학습을 통해 발생되는 상호작용을 긍정적으로 인식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플립러닝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수업전략이 요구되는데, 수업이 이루어지는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수업설계가 달라져야 되기 때문이다. 즉, 본 연구에서의 수업환경에 대한 맥락으로 학습자 중심 수업이 특징인 플립러닝은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사전 학습에 대한 환경설계와 학습자 활동이 이루어지는 본 수업에 대한 점검은 교수자가 플립러닝을 진행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되는 요소라고 볼 수 있다. This case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mpirical effects of learners’ perceptions of flipped learning. It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reflections of 188 students of K University in Chungcheongbuk-do.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flipped learning is that its instructional design, the connection to each stage of learning contents, the utiliza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the structuring of learning contents are provided. Second, flipped learning was positively perceived as a process of learner-centered learning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 learner’s responsibility and activity are emphasized in the learning, which can positively affect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s activity. Third, in the flipped learning lesson, the students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 improve their pre-learning comprehension through interactivity and to promote peer learning. Fourth, the learner recognizes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online and offline classroom environment provided by flipped learning. Designing and reviewing the specific instructional environment can be considered a necessary factor for the instructor to proceed with flipped learning.

      • KCI등재

        FGI 분석을 통한 학습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

        차승봉(Seung-bong Cha),박혜진(Hye-jin Par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7

        본 연구는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학습지원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자 충청북도 A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시행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프로그램 참여로 인한 경험적 효과 등을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입생의 경우 대학에서 과제를 해결하거나 시험을 볼 때 학습전략 활용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전략에 대한 이론 습득과 실습에 대한 학습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에서 요구하는 학습 활동이 생소하여 교양을 포함한 전공 교과목에서 어떻게 학습할 때 긍정적인 결과를 얻게 되는지에 대한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각 대학에서는 재학생들이 각자 설정한 학습목표 달성을 위해 학습 측면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에 초점을 맞춰 학습설계를 지속적으로 지원해 줄 필요가 있다. 셋째, 재학생의 요구에 기반한 양질의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학 내에서도 학습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첫 단계인 요구분석의 방법과 질을 높일 필요가 있다. 넷째,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뿐만 아니라 평가 및 사후관리 체계에 대해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대학에서는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자체 평가 등을 도입하여 프로그램의 질적 개선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ways to support and revitalize learners’ systematic learning based on an analysis of the status of learning program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4 students attending K University. The overall perception of the learning program and the empirical effect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eshmen were found to face difficulty in using learning strategies when performing tasks or taking exams. Second, the interviews’ results showed that the university’s learning activities were unfamiliar, and that students worried about the learning process and results regarding major subjects, including liberal art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ies to continuously support learning design by focus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students can help achieve their learning goals.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quality learning program based on students’ needs, and to improve the method and quality of demand analysis, which is the first step in operating a learning program within a university. Fourth, the evaluation and follow-up management system, as well as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learning programs should be considered. Thus,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ies to introduce the self-assessment of learning program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programs.

      • KCI등재

        SNS 환경이 대학생의 무형식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 관계 분석

        차승봉 ( Seung Bong Cha ),박성열 ( Sung Youl Park ),구병두 ( Byung Doo Ku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0 No.4

        이 연구는 국내 4년제 대학생들의 SNS 사용이 무형식학습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혀내고, 그 요인들 간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무형식 학습의 학습성과 영향 요인에서 사회수용, SNS 참여를 내생변인으로 설정하였고, 지각된 SNS 태도, 주관적지식을 외생변인으로 하여 연구모델을 설정하였다.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소재 4년제 대학의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73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LISREL에 상관관계 매트릭스를 삽입하여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방정식 모델 적합도 검증 결과, RMR(.049), GFI(.928), AGFI(.887), NFI(.941), CFI(.950), IFI(.950) 등 총 9개의 적합도 지수 중 6개의 지수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델에서 요인 간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수용(.440), SNS 참여(.154), 지각된 SNS 태도(.118), 주관적지식(.218)의 모든 변인들이 무형식 학습의 학습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사용과 참여가 일상생활화 된 대학생들에게 SNS내의 타인과의 교류, 정보와 미디어의 생성과 제작, 공유, 확산 등의 활동은 보편화되었다. 그들의 문화와 가치, 신뢰, 생각과 관점의 수용은 SNS를 통해 더 강화되고 활발해지고 있다. SNS가 새로운 학습의 장으로써 무형식 학습의 체제로써 학습성과가 인식되고 나타나고 있음은 평생교육과 HRD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며, SNS가 교수-학습이 적용 가능한 환경을 제공하는 한다는 의미있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informal learning outcomes with the selected variables related to their SNS use. A general structural model that included social acceptance and SNS participation as endogenous variables and perceived attitude and subjective knowledge as exogenous variables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sample was 730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GyeoungGi-Do Province. The model was accepted according to the some goodness of fit statistics such as RMR(.049), GFI(.928), AGFI(.887), NFI(.941), CFI(.950) and IFI(.951). It was identified that all exogenous and endogenous variables had the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learning outcomes. University students` SNS use and participation are so popular that communication, creation, sharing and diffusion of information and media within SNS are accelerated. It could be implied that SNS provides new instructional environment for lifelong education and HRD which increases students` learning outcomes especially as an informal learning system.

      • KCI등재

        대학에서 학습자의 학습전략 활용 사례 연구

        박혜진(Hye-jin Park),차승봉(Seung-bong Ch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5

        본 연구는 대학에서 학습자들이 자신의 학습 과정에서 활용하는 학습전략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전략에 대한 영역을 시간 관리, 노트필기, 책 읽기, 기억전략, 시험 준비 전략의 영역으로 범주화하였으며, 185명의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과정에서 주도적으로 활용하는 학습전략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이 자신의 학습 과정에 활용하는 학습전략 중 노트필기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업 시간에 교수자가 전달하는 정보를 의미 있게 기억하기 위한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둘째, 학습자들은 주의집중, 반복학습, 기억술, 범주화 등의 기억전략을 학습 과정에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내용의 기억을 위한 범주화를 통해 학습 과정에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에서 학습자들이 활용하는 학습전략 중 시험 준비 전략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효과를 극대화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반복 학습 등을 통해 시험 준비 전략을 활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학습자들은 학업 생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달성하고자 하는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전략을 수립하는 등 구체적인 시간 관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능동적인 독해와 핵심적인 내용을 파악하는 등 구체적인 학습 활동에 책 읽기 전략이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학습자의 학습 과정 및 활동에 학습전략이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learning strategies that learners use in their learning process in university. The learning strategy areas were categorized as time management, note-taking, reading, memorization, and test preparation. The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strategies of 185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arners were most likely to use note-taking among their learning strategies, which was interpreted as the most popular way to memorize learning contents. Second, learners used memory strategies such as attention, repetition, memorization, and categorization in the learning process. Categorization of learning contents led to positive results. Third, learners used test preparation strategies through iterative learning, which may have had a positive effect by maximizing learning. Fourth, specific time management such as setting goals could improve learning efficiency. Finally, we confirmed that reading strategies were used in concrete learning activities such as active reading and understanding of core contents. This study confirms that learners use learning strategies in their learning process in university and presents meaningful concrete examples.

      • KCI등재

        대학에서 체계적 교수 활동을 위한 e-티칭 포트폴리오 활용 방안 연구

        박혜진(Hye-jin Park),차승봉(Seung-bong Ch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8

        본 연구에서는 e-티칭 포트폴리오에 대한 교수자들의 전반적인 인식 분석을 토대로 e-티칭 포트폴리오의 확산 방안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대학에서 사용 중인 e-티칭 포트폴리오 사용 경험이 있는 교수자 10명을 대상으로 e-티칭 포트폴리오 시스템의 화면구성, 상호작용, 내용구성, 기술지원, 교수평가 영역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또한 대학 내에서 e-티칭 포트폴리오의 활성화를 위해 e-티칭 포트폴리오의 기술적 측면과 지원 측면에서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티칭 포트폴리오는 지속적인 교수(teaching) 자극을 통해 수업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노력과 과정을 되돌아 볼 수 있는 체계를 지원하는데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e-티칭 포트폴리오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제작)을 위한 워크숍 등의 프로그램을 별도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e-티칭 포트폴리오 작성 가이드를 제공하여 교수자들이 쉽게 작성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넷째, 티칭 스타일 진단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도움을 요구할 수 있도록 e-티칭 포트폴리오 시스템 내에서 상호작용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e-티칭 포트폴리오를 교수평가 측면에서 강의 평가 결과와 연동하고 지속적 개선 및 환류를 위해 CQI 보고서 양식을 제공하여 수업 개선에 대한 성찰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diffusion methods based on an analysis of professors’ perceptions of e-teaching portfolio. The research analyzed the perceptions of screen composition, interactions, content composition, technical support, and pedagogical evaluation of the system. In addition, in order to activate the e-teaching portfolio, the university derived improvement measures in technical and support aspects of the e-teaching portfolio.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e-teaching portfolio is used as an effective tool to support the system to reflect the specific efforts and processes for class execution through continuous teaching stimulation. Second, to activate the e-teaching portfolio,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support programs such as workshops for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Third, an e-teaching portfolio preparation guide needs to be provided to help faculty write easily and use portfolios. Fourth, there is a need to increase interactions in the e-teaching portfolio system, so additional help may be requir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teaching style diagnosis. Finally, the e-teaching portfolio should be linked to the results of the lectures in terms of teaching evalu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QI report form for continuous improvement and feedback to support reflection on class improvement.

      • KCI등재

        대학생의 MOOC 사용의도에 대한 개인 혁신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MOOC 학업관련성, 지각된 유용성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박혜진 ( Park Hye-jin ),차승봉 ( Cha Seung-bong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논총 Vol.3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MOOC라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학습하고자 하는 사용의도에 어떤 변인들이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수행된 관련 선행연구로부터 개인 혁신성, 자기효능감, 학업관련성, 지각된 유용성, 사용의도 등의 변인을 도출하고, MOOC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58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각각의 변인 간의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유용성→MOOC 사용의도(7.46), 학업적 자기효능감→MOOC 사용의도(2.29), 개인 혁신성→MOOC 사용의도(6.97), 개인 혁신성→지각된 유용성(9.60), 개인 혁신성→학업관련성(8.29)에서 모두 직접효과가 있었으며, 해당 가설이 지지되었다. 둘째, MOOC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t값을 중심으로 확인한 결과, 지각된 유용성(.396)과 개인 혁신성(.438), 학업적 자기효능감(.107)으로 나타났으며, 학업관련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t값을 중심으로 확인한 결과, 개인 혁신성(.667)으로 나타났다. 학업관련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하지 않은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업관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t값을 중심으로 확인한 결과, 개인 혁신성(.476)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ntention to use MOOC and actual learning by using MOOC.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personal innovativeness, academic self-efficacy, major relevance, perceived usefulness, and students' intention to use MOOC were examined as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from 588 students at Chungcheongbuk-do University,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were verifi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usefulness→students' intention to use MOOC (7.46), academic self-efficacy→ students' intention to use MOOC (2.29), personal innovativeness→students' intention to use MOOC (6.97), personal innovativeness→ perceived usefulness (9.60), and individual innovativeness→major relevance (8.29) all had direct effects, and the hypothesis was supported. Second, the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s' intention to use MOOC were perceived usefulness, individual inno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Major relevance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variable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was personal innovation. Major releva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not significant. Fourth, the variable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ajor relevance was personal innovativeness (.476). Academic self-efficacy was not significant. Finally, innovative teaching methods such as mobile learning, and MOOC can affect students' intention to use content value and personal interest.

      • KCI등재

        교수자의 자기성찰 분석을 통한 티칭 포트폴리오 효과 사례 연구

        박혜진 ( Park Hye-jin ),차승봉 ( Cha Seung-bong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구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8 No.1

        본 연구는 티칭 포트폴리오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과 효과성을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2018학년도에 충청북도 소재 A대학의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운영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수자 10명을 대상으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을 진행하면서 작성한 자기성찰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에 참여한 교수들은 자신의 수업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교수방법 및 전략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자는 학습자의 능동적인 수업 참여를 촉진할 수 있도록 교수자료 개발 및 수업환경 구축에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티칭 포트폴리오는 개발 과정 중에 지속적 성찰이 가능한 구조로 주차별 수업이 종료되고 난 뒤, 학습자의 반응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교수자의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을 통한 지속적인 자기성찰과 수업개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plore the instructor’s perception and effectiveness on teaching portfolios. This study analyzed the introspection contents created by the instructor in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portfoli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or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portfolio have been concerned about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es to improve their teaching. Second, the instructor developed the educational materials and constructe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o that learners could construct knowledge actively. Third, the teaching portfolio is structured to enable continuous reflection of instructors. The instructor confirmed that the learner’s reaction is analyzed every week. This study is meaningful to confirm that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self-reflection and improvement of teach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aching portfolio of instructors.

      • KCI등재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한 농업 마이스터 대학 교육프로그램 교육효과성 연구

        박성열(Sung-Youl Park),최승철(Seung-Churl Choi),차승봉(Seung-Bong Cha),정승화(Seung-Hwa Jung),김기주(Ki-Ju Kim) 한국농식품정책학회 2012 농업경영정책연구 Vol.39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educational effect of Agriculture Meister College education programs with the sample of Agriculture Meister College students. The study set up a general structural model which included accessibility, self-efficacy, and social norm as exogenous variables and perceived easiness, perceived usefulness, attitude, and educational effect as endogenous variables. The result proved the model to be a good enough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effect of Agricultural Meister Program based on the goodness fit statist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arameter estimates and significance, easiness and usefulness among the endogenous variables were identified having direct effects on the educational effect, key endogenous variable. Meanwhile, only accessibility was found having direct effect on the educational effect. In addition, accessibility and self-efficacy were determined having indirect effects on the educational effect through easiness as an intervening variable. Further, self-efficacy and social norm were identified having indirect effects on the educational effect via usefulness. To sum up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easiness and usefulness are important variables compared to attitude as endogenous variables in the model.

      • KCI등재

        기술수용모델(TAM)을 이용한 농업교육프로그램 참여의향도 분석과 향상 방안

        박성열 ( Sung-youl Park ),최승철 ( Seung-churl Choi ),차승봉 ( Seung-bong Cha ),김재선 ( Jae-seon Kim ),송민영 ( Min-young Song ) 한국농업정책학회 2011 농업경영정책연구 Vol.38 No.3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that affect farmers participation intention in agricultural education programs and to propos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lso, determined were some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factors. The study sample was 219. For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ies, means and correlation coefficient, SAS version 9.1 was used. In addition, LISREL version 8.30 was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e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general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TAM include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ttitude, and participation intention as endogenous variables and accessibility, self-efficacy and social norm as exogenous variables.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e acceptability of the model to understand farmers` participation intention in agricultural education programs. Attitude, perceived ease of use, and self-efficacy were identified having direct effect on participation intention in agricultural programs. In terms of the magnitude of the parameter estimates, attitude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related to participation intention. It was revealed that accessibility had not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any endogenous variab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