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족관절 만성 외측 불안정증에서 관절경하 변형 Brostr$\ddot{o}$m 술식의 수술적 결과

        차민석,차승도,김응수,Cha, Min Seok,Cha, Seung Do,Kim, Eung-Soo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3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7 No.4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 of arthroscopic modified Brostrom procedure with suture anchor for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Fifty-two patients with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were analyzed, who underwent arthroscopic modified Brostrom procedure between December 2010 and May 2012. Clin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AOFAS scroring and Sefton grading system. Results: The average AOFAS hind foot score increased from preoperative 61.9 to 88.8 at the last follow up. There were 35 excellent, 9 good, 4 fair, 4 poor results according to Sefton grading system. For one patient, lateral ankle instability recurred. Conclusion: Arthroscopic modified Brostrom procedure is considered to be an effective and satisfactory technique.

      • KCI등재

        일반 논문 : 신생벤처의 지식기반 성장모델과 지식전략 유형

        차민석 ( Min Seok Cha ),배종태 ( Zong Tae Bae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2 中小企業硏究 Vol.34 No.1

        본 연구는 신생벤처의 성장과정을 성장단계별 조직학습을 유형화하여 지식기반 성장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성장단계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창업기, 성장기, 성숙기로 나눌 수 있다. 성장단계별로 당면문제 또는 경영초점, 조직운영의 특성 등의 조합이 달라진다고 보는 형태적 접근에 따라서 분류를 하였다. 각 성장단계에서 당면하는 주요문제가 다르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없던 역량을 구축하는 조직학습에 의한 성장모델을 구축하였다. 시장지식 및 기술지식 등 지식분야와 각 지식의 원천에 따라서 지식전략이 달라질 수 있다. 외부환경의 특성인 동태성과 복잡성에 따라서 환경의 변화와 구성요소의 복잡성에 따라서도 신생벤처의 조직학습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지식전략은 신생벤처가 당면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내부학습과 외부학습을 활용하는 정도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학습활동이 전반적으로 적은 외톨이형(Loner)은 보다 안정적이고 단순한 환경에서 나타난다. 외부학습이 상대적으로 많은 네트워커형(Networker type)은 변화가 많은 환경과 시장지식 분야에서 보다 많이 나타난다. 내부학습이 상대적으로 많은 엔지니어형(Engineer type)은 내부적으로 핵심기술역량을 구축해야 차별화할 수 있는 기술지식 분야에서 많이 나타난다. 내부창출과 외부학습을 동시에 추구하는 문지기형(Janus type)은 보다 동태적이고 복잡한 환경에서 나타났다. 벤처성장 단계별로 보다 유효한 지식전략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knowledge-based model of venture growth. In doing so, we try to understand the new venture growth process with knowledge strategy in a new venture context.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based on surveys of CEOs in representative ventures in Korea that received research funds from KTB. A knowledge-based venture-growth model consists of two kinds of growth processes : The first one is a macro-process perspective that explains the organizational changes of dominant problems and configuration along growth stages or organizational life cycle. We adopt the more common distinction of three growth stages : Startup, growth, and maturity. The second one is the micro-process perspective that explains the internal process of new venture growth. This research suggests a model of a RLR(Recognition of problems, Learning, and Resolution of problems) cycle to explain the internal mechanism of growth stage transition. Learning is the key to accumulate the necessary competence and capability to solve the confronted problems. We additionally suggest a typology of knowledge strategy according to levels of internal and external learning. There seems to be four types of knowledge strategy in knowledge domains of market and technology. The loner type is just exploiting the existing knowledge base with lesser learning. They appear in a more stable and simple environment. The networker type learns actively from external sources of knowledge like institutions, universities, and other companies. The networker type is more active in the dynamic and complex market and market knowledge domain. The engineer type creates new knowledge mostly based on their internal knowledge base. This type is more prevalent in the technology domain. The Janus type uses both methods of internal and external learning and is more prevalent in dynamic and complex environments. Effective knowledge strategies are different in two knowledge domains along three growth stages. In the market knowledge domain, the Janus type grows seven times faster than loner type in the growth stage. The Janus type grows three times faster than networker type in the maturity stage. Obviously firms grow slower in the maturity stage than those in earlier stages. In the technological knowledge domain, the engineer type grows faster than the loner type in the startup stage. The growth rate is 90 percent higher than that of the loner type. In the growth stage, the networker type grows three times faster than the loner type. Interestingly the loner type grows almost twice as fast as the networker and engineer type in the maturity stage. On average, new ventures in the startup stage grow faster than those in the maturity stage. Some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with some limitations are discussed. Also, this paper provides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to understand new venture growth based on knowledge-based perspectives.

      • KCI등재

        경험학습모델(LEAPS)의 개발적 사례연구와 통합교과 설계: 몰입 수업의 설계공간에서의 교수-학습 활동 구성

        차민석(Min-Seok Cha)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1

        교육에는 늘 혁신의 가능성이 있고, 새로운 시대적 요구들과 본원적인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교육자는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 관계와 체계를 개발하고 실현하는 혁신여정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과 혁신에 관한 융합적 교양수업과 경영학 전공수업에서 통합적 경험학습(LEAPS)모델을 통한 학습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수업에서 가용한 학습자원들과 교육경험들을 활용하여 주어진 환경에서 최상의 학습환결을 조성하는 시도를 하였다. 가상강좌의 자원(SPOC, MOOC, TED 등)과 교수자의 교육자원, 캠퍼스와 학과의 교육연계 가능성 탐구 및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학습자 중심의 학습여정(Learning Journey)을 설계하였다. 완전한 도약학습(LEAPS)은 Kolb 교수가 종합한 경험적 학습이론에 기반하여 경험적 차원과 개념적 차원, 성찰적 차원과 실천적 차원을 각각 심화하면서 통합해가는 학습여정을 촉진하였다. 외부학습자원의 활용, 탐구적 토론, 사례조사, 팀워크와 문제기반 학습의 순환적 결합을 통해 태도, 관점, 역량의 도약(LEAPS)을 가능하게 하는 선순환의 전환학습을 실제 개발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지식과 정보전달의 교과수업에서 보다 가능성과 몰입을 확장하고 심화하는 수업의 학습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였다. 교수-학습활동으로 이루어진 설계공간에서 새로운 요소들을 도입하고, 시스템적으로 제안할 뿐 아니라, 이를 지속적 학습과정의 순차성(Sequentiality: eg. LEAPS)을 통해서 도약적으로 학습의 효과를 입체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포착하였다. 특히, 지식에 대한 기억보다 실제적 기술집합을 역량으로 익히고 적용하는 학습전이가 중요한 교과와 학습자의 실질적 성장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교수-학습법으로 제안하였다. 단일 사례조사 연구 및 개발프로그램이지만, 학습과정의 복합적인 측면의 설계공간을 학습자 관점을 도입하여 활성화하고 실질적이고 활용가능한 아이디어 집합들을 제공하는데 연구개발의 의미를 가진다. There are innovative opportunities in the education and the educator should embark the innovation journey to meet the new challeng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generic purpose of higher education bette by designing and developing more effective teaching-learning relations and systems. In this study, the integrative experiential learning model, that is called as ‘LEAPS’. 0The appropriately designed learning environment could maximize or optimize the learning effects of the engaged students who could embard the learning journey in and outside of classroom and the campus. LEAPS model is based on the integrative seminal work of Kolb that reflect the perspective of Piaget and Dewey that integrate the elements of experiential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process. The cyclic integration of LEAPS cycle could meet most of the student needs holistically. So the five learning modes inspires different approaches and programs all along the learning weeks and the semester: L type, E type, A type, P type, and S type learning activities like lecturing and listening to open educational resource(OER), exploring and examining the possibilities, acting and apprehending concretely, perceiving and building perspective, synthesis of senses, stories and scripts. This study aims to design and develop theory and practices in a new program to expand the possibilities of growth and deepening the learners’ engagement rather than transmit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After all, it suggests an active design space to accommodate new elements for the better teaching-learning system and captures the cubical learning effects stemming from the sequentiality of LEAPS learning cycle. This model could be more relevant in the context of developing skillsets and realizing the growth potency of learners. Although this is a single case study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there are meaningful implication to invigorate the complicated design space of learning process from learners’ perspective and effective practices as idea sets. This case study research and design of coursework provide the meaningful models and programs for the management education.

      • KCI등재

        학습몰입의 교육혁신 여정에 관한 종단적 사례연구

        차민석(Min-Seok Cha)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7

        고등교육에서 교수-학습 체계상의 주도성은 전통적으로 교수자에게 있었지만, 학습자의 몰입도를 높이고 학습전이를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성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기존 강의식 수업의 한계 (예: 학습자의 낮은 관여도)와 멀티미어어 매체와 외부교육자료에 대한 활용 등 기회를 통해 전공수업에서 전문가적 사용자혁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교육혁신의 일환으로 수업과정에서 학습자 중심성을 높이는 마인드셋과 전문가로서 교육과정을 새롭게 설계하고 개발해왔다. 전문가가 자신의 지식과 실험의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가는 현상이다. 본 사례연구는 수업의 내용의 적용과 새로운 교수법을 개발 및 도입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한 분석이다. 역할연기, 자율경영팀, 문제기반학습, 사례기반학습, 프로젝트기반학습, 멀티미디어활용, 온라인강의, 블렌디드 학습, MOOC, 동표평가, 워크숍 등을 다년간(2007-2017) 복합적으로 도입하여 왔다. 또한 조직론 수업내용을 수업 자체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습공동체를 구성하고 운영하고, 다양성, 팀경영, 창의성, 조직구조, 조직문화, 리더십의 원리 등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이는 명시적인 지식이기보다는 수업운영방식에 내포된 암묵지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 진행한 수업들에서 도입한 다양한 수업방법의 도입계기, 도입내용, 적용 및 효과, 평가들을 살펴보았다. The learning centricity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system could be reconsidered to enahance the learners’ engagement. We need to address the challenge of the lower engagement of traditional toward the teaching method of higher learning transfer and engagement. The educator can learn the new teaching methods as well as innovate the process by applying professional user innovation. There have been new desgin and development from the learner centered mindset. The educator could innovate the educational process as the professional. The professional user innovation in education occurs when the educator transform one s educational process. It is the problem solving of one s problems using one s knowledge and experimental process. I have applied two kinds of innovation (new to the class): new teaching method and the managerial practice. I have used the various approach to the organizational behavior course with the self-managed team, role play, problem-based learning, case-based learning, project-based learning, multimedia, e-learning (SPOC & MOOC), and blended learning in addition to the lecture and discussion for many years (2007-2017). Moreover, I organize the community of learning to apply the practice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team leadership, creativity method, and culture. These are embedded implicitly in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There could be changes of evaluations and learner s anonymous feedback at the end of each semester to be analyzed. The reason why the new teaching methods are developed and applied, the design of new class, the implementation, the situations,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As a result and the process, the class evolves to the community of learning for the artistic skills in the management as well as the conceptual knowledge. The engagement and performance are mostly exceed the expectation. The relations among the team members are maintained after the class projects. This is the educational journey searching for the more complete learning experience for the students. And it will continue to evolve in every classroo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원형 기업가성과 농업 기업가정신 : 근거이론적 오션(OCEAN) 기업가성 모델 개발

        차민석(Cha, Min-Seok) 기업가정신학회 2022 기업가정신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원형적인 기업가정신의 섹터로서 농업에 주목하고, 5가지 차원에서 2개의 속성들의 대비를 통해 OCEAN 모델을 개발하였다. 농업에서의 기업가적 정신을 실현하는 사람인 농업적 기업가(Agricultural entrepreneur)는 오랫동안 전통적인 농가의 농업이나 사육법의 루틴에서 벗어나는 과감한 실험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공동체적 가치추구와 경제적 가치추구가 결합되었지만, 자신이 가진 신념과 가치를 지켜가고 사업적인 적응과정을 통해 그마다의 독특한 복합경영 방식으로 농업 기업가정신이 발현한다. 전통적인 가치와 양립할 수 없거나 교환적인(trade-off)관계에 있는 실험적인 신규의 기술적 가치를 결합해서 추구하는 혁신경영으로 볼 수 있다. 지역의 자원을 활용하고 공동체적 가치를 기반으로 보다 확대하는 양상(Scale-up)을 통해 사업적 성공을 보여준다. 사례의 창업자는 양계업을 통해 사업경험을 축적하고, 양돈업을 시작하여 수입육과 품질면에서 우월한 제품개발을 목표로 사료기술 개발에 9년간 노력하였다. 생태를 지켜보는 과정에서 사료 혼합물로서 기능성 물질을 발견하여, 돈육의 냄새를 줄이고, 식감을 향상시키는 사료개발에 성공하였다. 실제 현장에 방문하여 농장과 식당을 관찰, 점검하였고, 기존 돈육과의 차별화된 품질을 인지할 수 있었다. 조사 당시 사료를 사용하여 사육하는 작목반과 체인점에 안정적으로 배급하였다. 성공적으로 시장에 정착하는 성과를 보여주었고, 축산업에 기여한 바를 인정받아 산업훈장을 받은 축산업의 성공모델이다. 기업가적 성과는 발현적 현상으로서 기업가정신의 토대가 되는 기업가성을 제안하고, 이론적으로 개발하였다. 고유성, 개방성, 창의성, 호기심, 몰입, 공감, 진정성, 적응성, 부정성, 연결성 등의 10가지 상호 대치되는 인간성들로 구성된 OCEAN 기업가성 모델을 근거이론적으로 제시하였다. 사례조사 이후 축코딩까지는 상당한 시간을 두고 개념이 명확해질 때까지 기다리면서 사례기반의 지식창출을 진행하였다. 기업가로서의 혁신 및 사업화 과정을 살펴봄으로서, 초심의 가치와 신념을 지켜가면서, 본업 이외의 사업적인 확장을 통해서 농업의 복합경영의 효과적인 방향과 실천방안들을 실무적인 시사점을 줄 수 있다. 농업의 가치실현과 다양한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기업가성 발현사례들을 발굴하고 농업혁신을 위한 교육적 지점들을 제안한다. The current changes in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 are posing threat to the agriculture industry in Korea. In order to overcome such a crisis, this study proposes that entrepreneurship is need even in the agricultural arena. The essence of the entrepreneurial process is interaction between the entrepreneur and opportunity. Authenticity of the entrepreneur is hard to be kept through the process because of the environmental and market changes. To adapt to the environment, the paradox management are required to meet the diverse stakeholders and effectiveness. Entrepreneurity is archetypical in the agriculture where the 1st industrial revolution occurred. It is potential source of entrepreneurship so that the attitude, attributes, and abilities to recognize and resolve the problems in the field with learning efforts. The agricultural entrepreneurs are those who implement entrepreneurial spirit in the agriculture and combines the traditional agricultural practice with the entrepreneurial spirit. The agricultural entrepreneurs combine these two aspects have been considered contradictory or incompatible. This study reviews various alternative approaches to the traditional agriculture, and introduces a case study on successful entrepreneurship in the field of livestock industry. A Farm started the poultry farming and has accumulated experience for over 20 years before he started pig farming in 1989. After nine-years research, he invented novel assorted feedstuff. In the five cooperative units, A Farm raise pigs with the invented feedstuff and supplies the pork through over 50 chain distributors. Due to efforts and contribution to the livestock industry, the farm received awards and recognitions from Korean government. The case study of A Farm shows how the traditional way of livestock industry can be transformed into a new business model with archetypical entrepreneurity. In the agricultural entrepreneurship, archetypical OCEAN entrepreneurity model is developed composed of 10 characteristics in 5 dimensions: Originality, Openness, Curiosity, Creativity, Empathy, Engagement, Authenticity, Adaptability, Negativity to the negatives, and Nexus. Based on the discussion,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several research directions for the future are proposed.

      • KCI등재

        신생벤처의 지식기반 성장과 기업가적 여정: 조직학습의 지식 적합성과 내적 추동력의 근거

        차민석 ( Min-seok Cha ),배종태 ( Zong-tae Bae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7 中小企業硏究 Vol.39 No.1

        본 연구에서는 지식기반 성장모델을 바탕으로 신생벤처의 성장을 문제인식, 조직학습, 문제해결의 반복적 과정이라고 보았다. 성장단계별로 순차적인 당면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기존의 모델을 포함하며, 보다 상황적인 문제해결의 조직 학습과 불확실한 사건에 대응하는 기업가적 여정을 제시하고 실증적 근거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단계적으로 등장할 뿐 아니라, 수시로 등장하여 발현하는 다양한 성장문제(growth problem)에 대한 문제인식과 인재채용을 통한 조직학습이 상호부합하는 해결 가능성을 내포하는 지식 적합성(knowledge fit)이 신생벤처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당면한 문제인식의 수준과 조직학습의 수준이 모두 적절하게 높을 때 성장을 견인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지식기반 성장모델에서 제안한 RLR(Recognition-Learning-Resolution) 과정을 통한 당면문제의 해결 메커니즘을 보다 일반화한 모델이론(model theory)으로 세밀화(elaboration)하고 검증 가능하도록 가설로 수립하고 있다. 순차적이거나 동시적인 성장문제의 인식, 적합한 조직학습, 문제해결로 구성된 지식기반 모델과 상호보완적인 기업가적 여정(Entrepreneurial Journey)의 관점을 통합하였다. 기업가적 여정은 신생벤처의 성장과정의 불확실성을 강조한 것으로 위험하고 불확실한 상황들과 불리한 여건을 제약된 자원으로 즉흥적으로 해결해야만 하는 발현적 과정(emergent process)에서 경쟁과 같은 외적 압력(external forces)을 견디고 극복하는 성장현상은 내부 추동력(internal driving force)을 가늠하게 한다. 성취동기와 성장비전이 모두 높을 때 기업가적 의지로 작용하여 성장을 추동한다고 예상하였다. 국내 벤처기업 설문조사를 통해서 1,119개의 표본에 대한 종단적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신생벤처의 지식기반 성장이론을 진전시켰으며, 인재채용 등의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기업가정신 분야의 연구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New venture growth is the process of problem recognitio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problem resolution.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the sequential process of new venture growth.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understanding into more situational and uncertain context of entrepreneurial process. It is the overcoming of restrained resource by organizational learning and internal driving process to recognize and realize new business opportunity. New venture learns new knowledge to solve the emerging problems in the context. The knowledge fit seems crucial when the learning addresses the problems at hand. Moreover, entrepreneurs have to stand against all odds including market forces like competition and disruptive innovation. Some of them have higher level of the achievement needs without audacious vision so that they might wander around and exhaust time and energy fruitlessly. Some of them have a vaguely stated vision without high level of drive. To realize the business opportunity along the emergent process, there seems to be the internal driving force, that is, entrepreneurial intent or volition. There are countless predictable as well as random and accidental pitfalls. The new venture should grow out of the `liability of newness` situations. There needs the `internal` force to drive the entre preneurial process against adverse conditions and negative market forces though it cannot be the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growth without relevent learning and resolution of emergent problems in the entrepreneurial journey. The sample was constructed from a list of firms registered in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SMBA) in Korea. Authors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for surveyed data collected by SMBA. The sample ventures consist of 1,119 firms that have been established less than 8 years. The longitudinal 3-year lagged impacts of knowledge fit, organizational learning and entrepreneurial intent on the problem resolution are tested. The triple (RLR) process equation of the entrepreneurial journey are mathematically formulated as an exponential form of significant factors: Organizational learning of essential knowledge, knowledge fit of managerial human resource, and entrepreneurial intent. The results lead to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ere are some discussions on the theory building and further research in the field of entrepreneurship and related field of organizational learning.

      • KCI등재후보

        학술연구 : 벤처기업 성장단계와 지식활동 간의 관계 분석

        차민석 ( Min Seok Cha ),배종태 ( Zong Tae Bae ) 한국중소기업학회 2002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5 No.3

        This study builds a knowledge-based venture growth model and shows the empirical evidence by analyzing the surveyed dats. Venture growth model consists of confrontation of dominant problem. Knowledge activity reacting on it, and market response to the reconfiguration of the organization. Researhces on venture growth stage propose the sequential confrontation fo the dominant problem along the organizational life cycle. Advancing the proposition, this study suggests several hypotheses on the venture growth and knowledge activities. Based on the surveyed data of the KTB-backed ventures, hypotheses are tested and mostly supported. It provides and integrative theory to explain the core part of the entrepreneurial process. With the growth model, we can consult the struggling entrepreneurs to anticipate and realize the long-term growth and equip nasecent entrepreneurs, educators and policy-makers.

      • KCI등재후보

        기업가정신 이론과 연구 프로그램

        차민석(Min-Seok Cha) 기업가정신학회 2024 기업가정신연구 Vol.5 No.1

        기업가정신 이론은 기업가적 지향성과 기업가적 기회, 효과화(Effectuation), 기업가적 과정, 기업가적 생태계 연구로 정당성을 확대하고 있다. 기업가정신 현상은 개인, 창업팀, 스타트업, 대기업, 국가, 지역 수준으로 다층적인 창발성(Emergence) 현상이므로, 통합적인 이론개발이 도전적이다. 기업가정신에 대한 실증적 연구들이 활발해지고, 다양한 배경에서 이뤄지는 다원적 학문분야의 성장에서 이론개발과 통합의 필요성도 커졌다. 기업가정신 분야는 전략경영 분과와 비교가능한 진척을이뤘다. 학문진척 체계(APT: Academic Progress Taxonomy)를 구성하는 4가지 이론(Theory), 연구방법(Research methods), 사례조사와 예시(Exemplar), 실증적 증거(Empirical evidence)를 기준으로 연구흐름들을 정리하였다. 택소노미(TREE)로 연구기회를 체계적으로 발굴하고, 분류하여 연구프로그램들을 제안하였다. 기업가정신 이론들을 연결하는 메타이론(Meta theory)으로 창발성기반 모델(OCEANS)을 제안하고, 세부적인 연구기회들을 제시하였다. 스타트업과 스케일업 기업가정신 층위에서 작용하는 변수들의 프레임워크이다: 기업가적 지향성과 기업가적 기회, 효과화와 역량, 기업가성과 기업가적 생태계, 기업가적 행동과 혁신, 신규 솔루션과 네트웍 등 핵심변수들의 연구방안들을정리하였다. 창발성기반 기업가정신 연구들로 학문공동체의 발전과 교육, 창업, 정책적 시사를 기대한다. 이론, 방법론, 사례, 증거와 학문이 봉착한 도전을 해결하는 연구 프로그램들과 연구기반 교육프로그램들로 분야가 더욱 발전해갈 수 있을 것이다. Entrepreneurship has been attained the legitimacy and growth for the proactive engagement of diverse fields. Entrepreneurship theories encompass various aspects of complex phenomenon. However, the theoretical development is weak to explain the complex phenomenon to use in the field(Who cares?). Startup and Scale entrepreneurship are distinctive from ordinary administration for the uncertainty, innovation, and unknown market. The entrepreneurial process has ‘emerged’ from complex and particular reality and human conditions. So we have research opportunities for further theoretical development including meta theorizing according to the Academic Progress Taxonomy(APT). The APT has TREE category(Theory building, Research methods, Exemplar, Evidence). Entrepreneurship inherited multi-disciplinary theoretical resources and challenges to figure out the meta-theory. With more integrative and extendable meta-theory, we could taste salt of ocean is emergence based on entrepreneurity. An integrative multi-layered framework is an emergence-based meta-theory: COSANE (Customer, Organizational, Social, Natural, Economic) value layer above the Scale-up layer(Opportunities, Competence, Ecosystem, Advancement, and Network) and Startup layer(Orientation, Cognition, Entrepreneurity, Action, Novelty) layer. Research programs are proposed according to the OCEANS framework with vertical(upward/downard) and horizontal causation and new combinations of research methods. More research agendas are discussed.

      • KCI등재

        일터학습에서 학습자 특성과 교수학습 체계의 설계 및 과업환경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차민석(Min-Seok Cha),송달영(Dal young So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0

        본 연구는 고등교육의 일환으로 직업교육의 효과성을 높이는 일터학습의 일종인 일학습병행제를 도입한 국내 중소기업들에 관한 근거이론적 사례연구이다. 사례연구는 비교분석을 위한 최소 단위인 2개의 제조업 중소기업의 실무 교수자와 학습자의 심층 인터뷰를 통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인터뷰한 사실적 근거를 바탕으로 일학습병행제와 같은 정책적 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 어떤 요인들이 실제 학습에 효과적이고, 학습한 내용을 직무에 적용하는 훈련전이(Transfer of Training)를 통해 실제의도한 직무역량 습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근거기반(Grounded theoretic) 사례조연구는 예측적인 목적보다는 현상의 심층적인 이해를 위한 서술과 가설수립을 목적으로 한다. 사실에 기반하여 도출된 새로운 변수와 변수간의 잠정적인 인과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현장에서 학습 성과에 영향을 주는 학습자, 교수체계와 과정, 과업환경 등의 범주에서 기존의 변수와 차별화되는 신규 변수들을 현장사례를 바탕으로 도출하였다. 새롭게 확장 도출된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설문조사 연구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최고경영자의 참여의지가 중요하였는데, 이를 따라 우수한 교수자-실무자의 배정과 인적자원개발투자가 이뤄지기 때문이다. 일터학습을 통해 전문가로서 교수자의 역량과 직업윤리 의식을 배우며 전문가적 자세와 인성을 함양할 수 있었다. 기존 기술을 습득하는 차원을 넘어서 현장개선과 혁신을 촉진하는 직업교육 개선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grounded theoretical case research on the phenomenon of workplace learning to discover new plausible variables and hypothesis. Practitioner-teachers and worker-learners of two Korean SM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re interview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adoptions of workplace learning programs. The categories of learner’s characteristics, instructional characteristics, task environment, and learning performance are the basis of the constructing protocol and the constructs of the emergent variables and the causal relationships. The activated and effective variables in each setting are slightly different so that the research model are built from axial coding based on two data sets. There are several novel variables in the four construct that influence on the learning performance. Some of them are genuine to be tested in the further survey researches. The CEO’s participatory intent was the very keystone of the program success, because of the following allocation of key talents as the teacher and the HRD investments. They have the critical effects on the learner and learning outcomes. More empirical research could be conducted on the workplace learning to make budget spending effective and the impact on the firm and the vocational eduction ecosystem healthily sustainable. The learners could attain the work ethics and humanities in workplace from the professional practitioner-teacher in addition to the task competences. They could also contribute ideas and catalyze innovations for the betterment of the firms and the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