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사의 다문화 보육효능감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

        진향 서울신학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다문화 가정 영유아에 대한 보육 역량강화를 지원하기 위한 전략의 하나로 교사의 다문화 보육효능감이라고 하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동기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다문화 보육효능감의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에서 유의미한 영향인으로 검토되었던 요인 가운데 교사의 일반효능감, 보육 효능감 그리고 다문화 수용도의 영향력에 대해서 검토함과 동시에 교사의 직무관련 개인변인(다문화 보육경험, 근무기간, 교사의 연령, 보육아동의 연령)에 따른 교사의 다문화 보육효능감의 차이에 대해서 검토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2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탐색하였다. 하나는 보육교사의 일반효능감, 보육효능감, 다문화 수용도가 교사의 다문화 보육효능감 인지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떻게 나타나는가에 대한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교사의 직무관련 4가지 요인에 따른 교사의 다문화 보육효능감의 차이에 대한 검토이다. 연구 방법은 서울, 인천, 경기에 위치하고 있는 어린이집 교사 38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의 평균 연령은 36.76세(최저 21세~최고 57세)로 나타났다. 조사 시기는 2017년 6월~8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측정도구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①일반효능감에 대한 측정도구 ②보육효능감에 대한 측정도구 ③다문화 수용도에 대한 측정도구 ④다문화 보육효능감에 대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직무 관련 개인 변인으로는 교사의 다문화 보육경험의 유무, 교사의 근무기간, 교사의 연령, 교사가 조사 시점 현재 담당하고 있는 보육아동의 연령에 대해서 조사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보육교사의 일반효능감, 보육효능감, 다문화 수용도가 교사의 다문화 보육효능감 인지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 교사의 다문화 보육효능감의 인지에는 일반효능감, 보육효능감, 다문화 수용도가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그 다음으로 교사의 다문화 보육경험, 근무기간, 교사의 연령, 보육아동의 연령에 따른 다문화 보육효능감의 차이에 대해 검토한 결과, 다문화 보육경험의 유무, 교사의 연령, 교사의 담당 보육아동 연령에 따른 교사의 다문화 보육효능감의 인지에 있어서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교사의 근무기간의 차이에 따른 다문화 보육효능감의 인지에 대한 검토에 있어서는 장기 근무 교사가 단기 근무 교사보다 다문화 보육효능감의 인지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첫째, 교사의 다문화 보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 전략으로 교사의 일반효능감이나 보육효능감의 강화에 초점을 맞춘 교육이나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다문화 가정 아동보육(교육)에 대한 교사의 역량을 지원하기 위해서 타문화 및 다문화 가정 아동보육(교육)과 관련된 지식이나 정보의 제공 등 다문화 수용도를 높이기 위한 지원도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다문화 가정 영유아 보육(교육)의 문제 해결에 있어서 보육경력이 많은 교사의 배치가 보다 효과적임을 시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issue of multicultural childcare efficacy of teachers as one of strategies for supporting the strengthening of childcare capacity of daycare teachers for infants an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factors influence the perception of childcare teachers' multicultural childcare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teacher 's general efficacy, childcare efficacy, and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were investigated. Second, teachers' personal variables related to job(multicultural childcare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eachers' multicultural care efficacy according to ag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research, two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and explored as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the general efficacy, childcare efficacy, and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on the perception of teacher 's multicultural childcare efficacy are shown. Second, teachers' multicultural care efficacy It is a review of the differ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6 children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Bucheon, Incheon, and Gyeonggi (excluding Bucheon). Their average age was 36.76 years (21 ~ 57).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from June to August 2017.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① research tool for general efficacy ② measurement tool for childcare efficacy ③ measurement tool for multicultural acceptance ④ measurement tool for multicultural childcare efficacy, The teacher 's age, and the age of the child care that the teacher is currently in charge of.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general efficacy, childcare efficacy, and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on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care efficacy,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care efficacy of teachers has significant effects on general efficacy, childcare efficacy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ulticultural childcare experience, the working period, the age, and the age of the child caregi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caregiving efficacy was influenced by the difference of working hours of daycare teachers, but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caregiving efficacy was higher than that of short - term working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 and support programs that focus on strengthening the general efficacy and childcare 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as a support strategy to strengthen the multicultural childcare capacity of teachers. In order to support teachers' capacity for childcare(educ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to raise multicultural acceptance, such as provid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related to childcare(education) of other cultur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the placement of teachers with more careers in multi - cultural families is more effective in solving the problem of infant child care(education).

      • 진도 지역어의 종결어미 연구

        진향 전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고에서는 진도 지역어를 고찰하여 통사론적 특징을 밝혀 이 지역어의 종결어미의 공시적 체계를 세우는 데에 목적을 둔다. 먼저 문장의 종결법에 따라 진도 지역어의 종결어미를 평서법, 의문법, 명령법, 청유법 네 가지만으로 나누었다. 문체법의 범주에 감탄법, 약속법, 허락법, 경계법 등이 더 포함되지만 본고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다. 그 이유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 진도 지역어에서 감탄법, 약속법, 허락법, 경계법 등을 실현하는 형태가 불완전하다. 둘째, 진도 지역어에서 약속법을 실현하는 ‘-께’는 평서법으로 실현되므로 평서법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감탄법을 실현하는 ‘-더만’는 화자가 어떤 사실을 처음에 알게 되는 것에 대해 서술하므로 평서법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경계법을 실현하는 ‘-불라’는 화자가 청자에게 어떤 행동을 하고 나면 안 좋은 결과가 나타날 수도 있는 것을 제시하므로 평서법으로 실현될 수도 있다. 그래서 본고는 내용이 중복되지 않도록 더 이상 번거롭게 세분화하지 않았다. 제 2 장에서는 제 3장부터 기술할 진도 지역어의 종결어미를 도입하기 위하여 ‘종결어미란 무엇인가’, ‘종결어미는 어떻게 분류하는 것인가’, ‘현대국어의 종결어미는 어떤 형태들이 존재하느냐’ 등의 문제에 대해 간명히 살펴보았다. 제 3~6 장에서는 제보자들이 사용하는 진도 지역어를 녹취한 후 그 자료를 분석하여 진도 지역어의 종결어미의 양상을 정리했다. 먼저 진도 지역어의 종결어미를 문체법의 분류 기준에 따라 나누고 나서 존비법에 의하여 세분화하였다. 그리고 각각 형태에 관련된 예시를 들고 통사론적 특징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에는 위에 제시한 내용을 다시 정리하고 표를 만들었다. 표에서 부호 ‘+’, ‘-’ 등을 사용했다. 또한 ‘+’는 통합이 가능한 것이고 ‘-’는 통합이 불가능한 것이다. 진도 지역어의 종결어미는 모두 아래와 같이 분류했다. 본 연구에는 주로 이런 종결어미의 형태를 재분석하고 통사론적 특징을 밝혔다. 평서법에는 해체는 ‘-아/어’와 ‘-제’ 등이 있고 하오체는 ‘-소’이 있고 해요체는 ‘-응께요’, ‘-거든요’, ‘-디요’, ‘-요’, ‘-지라’, ‘-네라’ 등이 있고 해라체 ‘-다’, ‘-응께’, ‘-라’, ‘-불라’, ‘-음시로’, ‘-께’ 등이 있고 하게체는 ‘-네’, ‘-ㄴ/는디’, ‘-ㄹ/을건디‘, ’-여‘, ’-더만‘ 등이 있고 합쇼체는 ‘-습니다’, ‘-습디다’, ‘-람다’ 등이 있다. 의문법에는 해체는 ‘-아/어’, ‘-제’ 등이 있고 하오체 ‘-소’가 있고 해요체 ‘-아/어요’, ‘-랑가요’, ‘-당가요’, ‘-ㄹ/을까요’, ‘-ㄹ/을까라’ ‘-다고라’ 등이 있고 해라체는 ‘-디’, ‘-등가’, ‘-라디’, ‘-응께’, ‘-불라고’ 등이 있고 하게체 ‘-ㅇ가’, ‘-ㄴ/는다고’, ‘-ㄹ/을랑가’, ‘-ㄹ/을까이’ 등이 있고 합쇼체 ‘-습닌자’, ‘-습딘자’ 등이 있다. 명령법에는 해체는 ‘-아/어’, ‘-제’ 등이 있고 하오체는 ‘-소’, ‘-오’ 등이 있고 해요체는 ‘-아/어요’가 있고 해라체는 ‘-그라’, ‘-자고’, ‘-(으)라고’ 등이 있고 하게체는 ‘-게’가 있고 합쇼체는 ‘-읍시오’가 있다. 청유법에는 해체는 ‘-아/어’, ‘-제’ 등이 있고 하오체는 ‘-소’가 있고, 해요체는 ‘-아/어요’, ‘-지요’ 등이 있고 해라체는 ‘-응께’가 있고 하게체는 ‘-세’가 있고 마지막 합쇼체는 ‘-습시다’가 있다. 마지막 7장에는 앞에 논의해 온 내용을 간명히 정리하였으며 그 동안에 연구한 내용에 대한 주요 요지를 말하였다.

      • 비판적 역사 읽기를 위한 영화 활용 수업모형 연구 : KWL Chart를 중심으로

        진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스파르타와 페르시아 간의 전쟁을 주제로 하는 영화 ‘300’ 을 활용한 역사 수업에서 KWL Chart를 이용한 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KWL Chart (K-what I KNOW, W-what I WANT to know, L-what I LEARNED)는 학생이 새로운 정보를 접하기 전 ‘K' 과정에서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활성화 시키고 'W' 과정에서 알고 싶은 것을 생각하며 ’L' 과정에서 새롭게 알게 된 것이 무엇인지 알도록 하는 활동이다. 기존의 KWL Chart는 읽기 수업에 활용되었던 학습 전략 이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영화 속 역사를 이해하는데 활용하였다. 학생들은 교사의 주된 설명 없이도 KWL Chart 학습지를 이용하여 영화 속에 표현된 역사적 사건과 인물에 대해 이미 알고 있는 것(K)과 알고 싶은 것(W), 알게 된 것(L)에 대해 이해하고 영화 속 역사에 대해 비판적인 안목을 기르게 된다. 본 연구는 국내외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학생들에게 맞는 영화 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이것이 실제 학교 수업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인지를 검정하는데 그 중점을 두고 있다. 먼저 해당 주제와 관련된 영화 ‘300’ 을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편집하였다. 다음으로 KWL Chart 학습지의 K, W, L 각 단계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그 과정에서 학생들 수준에 맞는 사료를 선정하여 KWL Chart 학습지 작성에 이용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수업 모형이 실제 수업에서 활용이 가능하고 학생들이 KWL Chart를 이용해서 영화 속에 나타난 역사를 비판적으로 볼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수업을 진행해보았다. 현재 중학교에서 세계사를 배우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1차시에 걸친 수업을 진행해 본 후 학생들의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해 KWL Chart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수업의 난이도 여부, 학습 주제의 성취도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학생들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기존의 영화를 활용한 학습에 비해 본 연구자가 개발한 영화 활용 학습 모형을 이용한 수업은 학생들이 영화에 대해 가지고 있던 단점을 줄여주어 학습의 흥미를 높이고 능동적 참여를 유발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KWL Chart의 K, W, L 각 단계에 따라 학습지를 작성해 봄으로써 역사적 사실에 대한 단순 암기의 한계에서 벗어나 영화 속에 나타난 역사를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학습 태도를 가질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객관식 문항을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풀어보게 한 결과 학생들이 영화를 통해 객관적인 역사적 사실을 이해하는데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가 개발한 영화를 활용한 학습 모형은 기존의 영화를 이용한 학습과 차별화 되어 KWL Chart를 접목시켜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단계적으로 제시하였기 때문에 학생들이 영화 속 역사를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단계에 도달할 수 있는 태도를 길러줄 수 있고, 나아가 학습 주제를 이해하여 객관적인 역사적 사실 이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history teaching models through a movie '300' describing the war between Sparta and Persia and to use KWL Chart learning model in which students can understand the subject easily and then verify the reasonability of this learning model. KWL Chart(K-what I KNOW, W-what I WANT to know, L-what I LEARNED)is before the students' new information 'K' in the process of the knowledge already known to activate the ' W' in the process of thinking that you need to know the ' L' in the process know what happened to find a new activity. The primary teachers, students are represented in the film without any explanation about the historical events and figures have questions, with answers to questions that feed on themselves and resolve. This research is history teaching models through films with students learning through a critical perspective, watching a movie that you want to validate that the kidney had been preceded, rather than study abroad students based on learning models to develop sensitive film and it is effective in the class can be leveraged to determine whether to concentrate on. The utilization of existing KWL Chart, which was reading study in class the students are learning how to understand the utilization of film history. Firstly, those topics associated with the movie '300' to make it easier for students to understand editing. Secondly, KWL Chart of the K, W, L each step in the process students had to write to the appropriate level of historical material-based selection in the use of KWL Chart writing. Finally in order to evaluate whether this history teaching models through films we developed could be applied to real classes and the students could analyze the KWL Chart, we conducted classes in actual school situations. After conducting 1-hour classes to students who are studying world history in middle schools, we investigated about the degree of students' interest in the question items and the difficulty of the class and the accomplishment of students' learning the subject matter presented in the class. And after analyzation of the results, we have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compared to the traditional history teaching models through films the students in the classes using our using film learning model showed higher interest in learning. because this learning method could reduce the difficulty and dislike students have in learning history films and could induce students to participate actively. Secondly, KWL Chart of the K, W, L, while the historical facts about each step to answer a simple escape from the limitations of memorizing the history appeared in a movie critical of learning to understand the attitude could have. Finally, the students who attended the classes could have deeper study compared to traditional lecture method classes and could develop a positive learning attitude that help them to understand the whole process and the result of the Sparta and the Persian while learning the history films instead of just memorizing subjects that are difficult to understand. Consequently, we could verify that our using history films learning model whi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other models could help students to develop an attitude that enables them to understand and analyze historical materials, and also could have a possitive effect on accomplishment of students' learning by enabling students to understand subject matters.

      • PSC용 쉬스 시험규격 조사 및 개선방안

        진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15

        쉬스는 강철 띠를 맞물림 하거나 용접하여 관 형태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PSC 부속자재로 공사에서 쉬스의 비용부담은 전체공사비에 비해 미미한 정도지만, 전체 구조물의 품질확보와 사용수명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PSC 공사에서 쉬스는 긴장력이 가해지기 전의 긴장재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긴장재의 수분접촉을 방지하여 강재의 부식을 막아주고, 긴장력 도입 후에는 그라우트 주입을 통하여 긴장재와 구조물 사이의 결합력을 제공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PSC 공사에 적용되는 쉬스에 대한 국내 산업규격은 현재까지 제대로 규정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국내외 시험방법을 조사한 결과 가장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유럽공동체기구규격(EN)』의 6가지 시험항목 1) 형상 및 규격 결정과 2)휨 저항성 결정시험, 3) 전후 휨시험, 4) 횡 하중 저항성 결정 시험, 5) 인장하중 저항성 결정과 6) 방수능력의 결정 시험에 대해 각각의 시험방법으로 실증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증시험 결과 시험방법 및 기준에 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이를 국내 실정에 적합하도록 개선된 시험방법으로 제안하였다. EN규격을 토대로 현장에서 쉽고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시험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실증시험결과를 분석하여 기준평가항목을 추가하거나, 평가방법을 개선하였다. 전후 휨시험의과 휨 저항성 결정시험을 통합하여 단순재하시험으로 대체하였으며 그에 따라 휨강성, 유연성, 탄성하중에 대한 허용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쉬스 시험규격보다 더욱 구체적이고 체계적이며 용이한 PSC 쉬스 시험방법 및 기준을 국내 실정에 맞도록 제안하여 표준화된 쉬스 시험규격 제정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부적응 증상과 아동의 애착과의 관계연구

        진향 大田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아동기 애착유형을 알아보고 아동의 성별·연령 및 가정환경변인,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애착유형과의 관계를 알아보며 어머니의 부적응 증상과 아동의 애착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대전 광역시 소재 유아 교육기관 5,6,7세 아동, 어머니 각 146명이었다. 아동의 애착과 어머니에 대한 양육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직접 면접법이 실시되었으며 어머니의 부적응 증상과 가정환경변인은 질문지법으로 수집하였다. 결과 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포,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일원변량분석, Scheffe검증, Pearson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애착 유형은 어머니와 격리될 때 나타나는 감정반응과 행동반응간에는 장기간 어머니와 격리되는 상황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어머니와 아동이 격리상황에서 아동이 긍정적인 감정반응을 보이게 될 때 행동반응도 긍정적인 반응이 나오게 된다. 어머니와 격리되는 상황에서 여아는 남아에 비해 감정반응에서 긍정반응으로 나타나는 불안반응을 보였으나 행동반응에서는 여아와 남아간의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며 오히려 여아의 대처행동이 제한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령에서도 7세 아동의 경우 5-6세 아동보다 감정반응에서 긍정반응인 불안반응이 높게 나타났으나 행동반응에서는 7세와 5-6세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며 감정반응에서보다 표현에 제한되었다. 아동의 가정환경변인에서는 아버지의 연령, 부모의 직업, 학력 등의 경제적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른 아동의 애착유형은 어머니와 격리되는 상황에서 신뢰로운 관계가 적절히 유지되고 있는 경우 안정애착 반응이 나타났으며 짧은 기간동안 격리되는 상황에서는 애정적인 지지를 많이 받고 있다고 지각하는 아동에게서 안정애착 반응이 나타났다. 즉, 애정적인 지지와 신뢰로운 관계형성이 아동의 애착유형에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성별·연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가정환경변인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가정환경변인 중 부모의 학력, 직업, 어머니와의 분리경험이 아동의 애착유형과 유의미한 관계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부적응 증상은 전반적으로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가정·사회 생활 및 기타 영역을 부정적인 상황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자기 자신 내면에도 적응상의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부적응 증상과 가정환경변인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어머니의 부적응 증상과 아동의 애착유형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부적응 증상이 높아질수록 아동과의 상호작용을 방해하고 아동에게 애정적 지지나 신뢰감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아동은 어머니와의 적절한 관계형성이 어려워지고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아동의 애착유형에 부정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아동의 성별·연령, 가정환경변인이 아동의 애착유형과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며,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육행동도 아동의 애착유형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줄 뿐 아니라 어머니의 부적응 증상 역시 아동의 애착유형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attachment styles and parenting behaviors which child recognized with mother's maladjustment. Subject were 146 children, either 5,6 or 7 years of age, in kindergarten. Attachment styles and parenting behaviors were measured by interview survey questionnaires. Mother's maladjustment and demographic datd were gather by use of questionnaires. In order to analyze data SAS was utilized program for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and correlation. Result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attachment styles of childre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s except for the case when children because isolated mothers a long time. Namely, when children showed positive emotional response when isolated their behavioral response was also positive. when isolated from the mothers, girls showed anxious emotional response which were positive, but less positive then boys in their behavioral response. Seven-year-old children's emotional response were anxious emotional response which were more positive than 5 or 6-year-old children. Second, children showed stabile attachment response if they felt trustful relationship with the mothers. Thir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arenting behaviors when isolated, for children's sex and age. of home environment variables, parents' education, occupation, and isolated experience from mother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ren's attachment styles. Fourth, mother's maladjustment was related with recognizing stress living environment as negative . they had difficulties in maladjustment. The higher the mothers' maladjustment scored the more difficult the affective support and trust become. Thus, children could not make a proper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 and they had negative interactions. Children's attachment styles showed more negatively. As a result, children's sex, age, home environment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children's attachment styles. Mothers' parenting behaviors which children recognized also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children's attachment styles. Mother's maladjustment showed a significantly relationship with children's attachment sty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