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정책 대안

        진원형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2005 地理學論究 Vol.- No.24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개발 패러다임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지속가능한 도시 정책으로서 콤팩트 시티와 분산적 집중 개발의 논리를 이론적으로 고찰함과 아울러 스마트 성장 정책을 지속가능성의 측면에서 해석함으로써, 향후 한국의 도시개발 정책의 전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콤팩트 시티란 주거, 직장, 상업 · 서비스 등 일상적인 도시기능들을 가급적 기성시가지 내부로 수용하여 상대적으로 밀집된 개발을 추구하는 방식의 도시형태이다. 이론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에 적합하나, 대도시의 분산추세로 미루어 현실성이 부족하다. 이 경우 분산지역을 일정 신도시 범위 내에 한정시켜 고밀로 개발함으로써 콤팩트 시티의 장점을 받아들이고자 하는 분산적 집중 개발 정책이 적실하다. 스마트 성장은 교외화가 가져온 문제들을 치유하고자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새로운 도시 성장관리정책으로, 기 개발된 지역 안에서의 신규주택 건설과 상업적 개발을 강조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개발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많은 목표들이 스마트 성장의 원리에도 반영되어 있으며, 특히 콤팩트 시티 정책이 스마트 성장 정책과 유사한 형태라 할 수 있다. 대도시의 집적의 불경제가 어느 정도 완화되면, 침체한 도심지역을 부흥시키고, 대도시 확산의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성장을 스마트하게 제한하고, 도심 중심의 콤팩트한 개발을 시행하는 것이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에 보다 효율적일 것이다. As the problems of global environment become more and more serious, the concept of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ESSD)' has been discussed extensively in recent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in the frameworks of compact city, decentralized concentration structure and smart growth.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mpact city policy as the opposite concept of urban decentralization is criticized because of its feasibility. The sustainability of compact city is appeared differently among different urban areas. But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ompact city can be applied effectively to operational strategy for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2. It is considered that the urban policy suitable to sustainable development of a metropolis is the type of decentralized concentration. This policy is to develop a few suburban centers on the outskirts of a metropolis to decentralize urban activities of the central city, and to conserve the remaining. 3. Smart growth is about finding ways to manage urban sprawl and rejuvenating decaying central cities. It meets the key goals of the compact city policy in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 중심시가지 재생을 위한 문화 선도 프로젝트에 관한 연구

        진원형 경북대학교사회과학대학지리학과 2008 地理學論究 Vol.- No.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oretically the strategies, effects and problematic issues of cultural flagship projects in advanced industrial countries and derive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regenerating the city center. As many older industrial cities in the US and Europe have suffered inner city decline problems after the decen- tralization of economic activity and population, they have become more conscious of the need to regenerate city center, in the late 1980s. Urban regeneration is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vision and action which seeks to bring about a lasting improvement in the economic, phys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derelict urban areas. Cultural flagship projects for regenerating the city center are central to promotional strategies that seek to transform the image of declining older industrial cities. We define cultural flagship projects as cultural development focusing attention on the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facilities which play an influential role in urban regeneration. Many European cities implemented regeneration strategies based upon flagship projects that have been strongly influenced by the experience of US origins. The primary functions of flagship projects seems to produce beneficial impact such as creating physical regeneration, attracting investment and skilled workforce and increasing tourism and employment. And, Cultural strategies form the cornerstones of city's place marketing strategy. However, in the cases of Baltimore, Pittsburgh and Manchester, flagship projects have drawn many controversial issues. Flagship projects generate issues of redistribution such as spatial separation between business, cultural, entertainment center and the decaying neighborhoods of poor inhabitants. There is little evidence that the economic benefits flowing from investment in flagship projects will trickle down to local communities. They contribute, in some cases, to displacement and spatial segregation by social class. The cost of maintaining flagships can constitute a long term drain on public finances. It is also clear that imitation effects resulting in the proliferation of standardized models which do not tak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ity, can contribute to the cultural standardization. City center regeneration policy is reasonable in term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mart growth. But, it is necessary to adopt foreign experience after careful consideration. 본 연구는 선진 산업국가에서 시행되어온 도시재생 및 문화 선도 프로젝트의 전략,효과,문제점 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중심시가지 재생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산업화를 일찍 경험한 서구의 대도시들은 도시 중심부의 인구 및 경제활동이 분산되는 도시쇠퇴가 시작되었으며,1980년대 후반부터 도시재생을 위한 개발 전략들이 추진되기 시작하였다. 재생이란 쇠퇴지역의 경제적,물적,사회적,환경적 조건을 종합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이다. 전통적인 공업도시들 은 쇠퇴하고,낡은 이미지를 변화시키기 위해서,중심시가지 재생 수단으로 문화 선도 프로젝트를 활용하게 된다. 문화 선도 프로젝트는 문화유산을 보전하고,문화시설을 건립하는 등 문화적 요소를 중심으로 도시를 재생하는 전략으로서 처음 미국 도시들에서 시행되었으며,후에 많은 유럽도시들이 채택했다. 문화 선도 프로젝트는 물적 재생, 기업 투자와 숙련된 노동력의 유입,관광과 고용증대 등의 효과가 있다. 문화전략은 도시마케팅의 주요 수단으로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Baltimore,Pittsburgh,Manchester 등의 사례연구에서,선도 프로젝트의 결과 사업,문화,유흥이 있는 중심지와 이를 둘러싼 빈곤지역이 발생하는 등 재분배 문제가 나타났다. 경제적 편익이 자동적으로 지역사회로 파급될 것이라는 증거는 거의 찾아볼 수 없으며, 또한 사회계층에 따른 배제나 분리를 가져왔다. 선도 프로젝트를 계속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공공재정의 고갈을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모방효과로 인해,지역성을 고려하지 않은 모델을 채택하여 문화표준화의 위험도 있다. 중심시가지의 재생은 지속가능한 개발 이념과 스마트 성장 운동의 측면에서도 당위성이 있다. 그러나 문화 선도 재생프로젝트의 이러한 문제점음 심사숙고하여 외국의 경험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구시의 도시성장과 신시가지 지역 특성에 관한 연구 (1)

        진원형(Won Hyung Jin) 한국지역지리학회 200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8 No.3

        대구시의 성장은 토지구획정리사업, 공영개발사업, 도로망의 건설 등 공공정책을 통해 선도되었다. 반면, 산, 하천, 철도 등의 제약요인으로 대구시 성장패턴이 결정되었다. 대구는 조선시대 도시 발생기, 일제강점기 이후 도시기반 형성기, 1960년대 이후 산업화 시기의 도시성장기를 거쳐, 1980년 이후, 대규모 신시가지가 조성되어 현재 대구 도시공간구조의 기본골격을 형성함으로써, 도시의 팽창·성숙기에 들어서게 된다. 특히 1981년 대구직할시 승격에 따라 편입된 성서, 월배, 고산, 안심 및 칠곡 등 지역이 공영개발사업 방식을 통하여 고층아파트 중심의 고밀도 주거 신시가지로 조성되었다. 신시가지는 대구시 중심에서 대체로 6km∼7km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구시 외곽 방향의 방사선 도로와 인접하여 개발되었다. 또한 대구시 제4차 순환도로의 계획노선이 통과하는 지점이 된다. 상인, 성서 및 지산·범물 신시가지는 기성시가지와 연속적으로 개발된 반면 시지는 개발제한구역, 칠곡은 금호강에 의해 분리 개발되었다. While the growth of Taegu has occurred through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the public sector development project and the construction of roads, its growth pattern has been shaped by physical constraints such as mountains, streams and rail roads. The processes of urban growth of Taegu are classified into four stages: the stage of urban embryo in the Chosun Era; the formation stage of the basic urban system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up to 1960; the stage of urban growth in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from 1960s to 1980; and lastly, the stage of urban expansion and maturation, with construction of extensive newly developed districts, after the 1980s. Since its promotion to a metropolitan city with the inclusion of Seongseo, Wolbae, Gosan, Ansim and Chilgok in 1981, those regions have grown into newly developed residential districts, with its accompanying high density and high rise apartments complexes, through the public sector development project. These newly developed districts are located about six to seven kilometers away from CBD of the city along with main radial roads. The sites are also located on the route of the fourth belt way of the city. While the Sangin, Seongseo and Jisan·Beommul newly developed districts have developed contiguously with the existing built-up areas, the Siji and Chilgok districts have developed separately by the green belt and the Geumho River,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