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동이 중년여성 말초단핵구세포의 reverse cholesterol transport pathway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조진경 ( Jin Kyung Cho ),김영민 ( Young Min Kim ),진영윤 ( Young Yoon Jin ),하창덕 ( Chang Duk Ha ),최규환 ( Kyu Hwan Choi ),홍혜련 ( Hye Ryun Hong ),이신호 ( Shin Ho Lee ),강현식 ( Hyun Sik Kang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2 운동과학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중년 여성(n=B)을 대상으로 급성운동과 지속적 인 운동 트레이닝을 통하여 운동이 혈중 지질 개선과 RCT pathway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급성운동은 모든 피험자가 운동처치와 통제기간을 모두 수행하도록 single-group cross-over design을 이용하여 최대산소섭취량의 65% 강도에서 l회 400 kcal, 총 3일간 1,200 kcal 운동 에너지 소모하도록 한 후 3일간의 통제기간을 가졌다. 급성운동과 4주 운동 트레이닝의 모든 측정은 공복상태에서 전체 피험자를 대상으로 신체구성측정(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 허리둘레), 혈액채취(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apolipoprotein A-1. RCT pathway 관련 mRNA 정량화(ABCAl mRNA. ABCGl mRNA. SR-Bl mRNA) 등을 실시하였다. 반복이 있는 일원변량분석과 대응표본 t-test를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실시한 결과 급성 운동은 혈중 중성지방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유도했지만 다른 혈액 변인이나 RCT pathway 유전자 발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4주 운동트레이닝은 혈중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과 apoA-l을 유의하게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RCT pathway 유전자 중에서 ABCGl mRNA 유전자 발현이 운동 트레이닝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ABGAl mRNA 유전자 발현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판단할 때, 급성운동과는 달리 지속적인 운동 트레이닝은 RCT pathway 유전자 발현과 혈중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및 apoA-l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llrJXl5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oth acute exercise and exercise training on blood lipids and mRNAs expression of RCT pathway in middle-aged women (n=8). In a single-group cross-over design, subjects performed a 3-day consecutive exercise at an intensity of 65% V02max targeting at energy expenditure of 1.200 kcal (400 kcal/day) and a 3-day control period. And they were further asked to participate in a 4-week exercise training at the same intensity of 65% VQ2max with a frequency of 3 days per week. The measured outcomes of the study inducted body composition (i.e., weight, body mass index. body fat. waist circumference), blood lipoprotein lipids (i.e.,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polipoprotein A-1) and RCT pathway mRNAs (i.e., ABCAI mRNA. ABCGl mRNA, SR-Bl mRNA) i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One-way RM ANOVA followed by LSD post-hoc and paired Hest were utilized to test any significant changes in the outcomes of the acute exercise and exercise training, respectively.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1) acute exercise induced a significant decrease in serum triglycerides, with no other significant changes in any of the measured variables and 2) unlike acute exercise, exercise training resulted in significant increases in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apolipoprotein A-l as well as a significant increase in PBMC ABCGl mRNA. In summary, the current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aerobic exercise training can contribute to improved RCT pathway functioning in middle-aged women as shown in increases in HDLC, apoA-l, and ABCGl mRNA.

      • KCI등재

        걷기 운동이 비만 중년 여성의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이신호 ( Shin Ho Lee ),진영윤 ( Young Yoon Jin ),조진경 ( Jin Kyung Cho ),김태경 ( Tae Kyung Kim ),김태운 ( Tae Woon Kim ),김동현 ( Dong Hyun Kim ),안의수 ( Eue Soo Ann ),강현식 ( Hyun Sik Kang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0 운동과학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4주간의 유산소 걷기 운동 프로그램 참여가 비만 중년 여성의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저항성 유발 기전일 것으로 판단되는 에너지 대사 조절 네트워크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30-50세의 중년여성 총 32명으로 선정하였고 모든 피험자를 대상으로 BMI, 허리둘레, 경구당부하검사의 결과를 기준으로 정상 집단과 비만 인슐린 저항성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24주간의 최대산소섭취량의 65% 수준에서 실시한 걷기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정상 집단과 비만 인슐린 저항성 집단에 상관없이 비만지표(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율, 허리둘레), 심폐체력, 혈당의 항상성 조절 능력(Hba1c, MPG, FBG, FBI, HOMA-IR, AUC glucose)이 유의(p<.05)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24주간의 유산소 운동 중재 프로그램은 정상 집단과 비만 인슐린 저항성 집단에 상관없이 복부피하지방의 에너지 대사 조절 네트워크 중 AMPK pathway와 mTOR pathway를 통계적으로 유의(p<.015, p<.008)하게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insulin pathway와 hexosamine pathway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효과는 없었지만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최대산소섭취량 65%에서 실시한 24주 걷기 운동 프로그램은 처치 집단에 상관없이 비만 지표와 인슐린 저항성 지표들을 개선시키고 비만으로 인한 인슐린 저항성 기전일 것으로 판단되는 에너지 대사 조절 네트워크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erobic walking exercise on insulin resistance and energy metabolic regulatory networks in subcutaneous adipose tissues between non-obese(NO) and obese+insulin resistance(OI) groups. A total of 32 middle-aged women was classified as either NO group or OI group based on body mass index(BMI), waist circumference(WC), and oral glucose tolerance test, and they participated in a 24-week well-monitored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Both of the NO and OI groups had significant(p<.05) improvements in obese indices (weight, BMI, BF, waist), CRF, insulin resistance indices(HbA1c, MPG, FBI, HOMA-IR, AUC glucose) following the 24-week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with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ith respect to mRNA expressions, both groups had significant(p<.05) improvements in AMPK pathway(AMPK) and mTOR pathway(mTOR), with no significant changes in insulin pathway(i.e., IRS, PDK, GLUT4), hexosamine pathway(GFAT), S6K, PPAR, JNK, and MAPKKK.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 that aerobic walking is an effective means of improving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 KCI등재

        복합운동에 의한 체중감량 정도의 차이와 심폐체력 및 혈관신생인자 간의 연관성

        이신호 ( Shin Ho Lee ),진영윤 ( Young Yoon Jin ),강현식 ( Hyun Sik Kang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2 운동과학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중년여성의 대상으로 12주간의 복합운동 후 체중감량 정도의 차이와 심폐체력 및 혈관선생인자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는데 있다 모든 피험자들은 12주 동안 주당 3회의 써킷 웨이트 트레이닝과 주당 5회의 트레드밀 달리기의 유산소운동을 복합적으로 실시하였다. 12주간의 복합운동 후 피험자들의 체중감량 정도의 차이에 따라 체중감량이 많은 상위 25% 집단(n=ll)과 체중감량이 적은 하워 25%(n=ll)으로 집단을 구분하였다. 통계분석결과 12주 복합운동 트레이닝은 집단에 상관없이 심폐체력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혈관신생인자 중에서도 혈중 VGEF 수준은 상위 25% 집단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12주간의 복합운동 실시 후 1) 체중감량 정도의 차이와 심폐체력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 체중감량 정도의 차이와 혈중 혈판신생인자(VEGF, PAI-1)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of combined exercise-induced weight loss with cardiorespiratory fitness (CRF) and angiogenesis factors in middle-aged women.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circuit weight training and aerobic exercise) were provided at a frequency of 3 sessions and 5 sessions, respectively, per week for a duration of 12 weeks. Then,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either those whose weight loss belonged to low 25 percentile (high 25% group. n=ll) or those whose weight loss belonged to high 25 percentile (high 25% group, n=l1) based on the amount of weight loss induced by the exercise training. Statistical analyses showed that both groups ha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RF. On the other hand, the high 25% group had a significant reduction in serum VEGF and greater improvements in 00dy composition parameters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low 25% group.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D that the combined exercise-induced weight loss were not relate to CRF and 2) that the combined exercise-induced weight loss were positively relate to serum VEGF and PAI-1.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