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전통사회의 임신금기(姙娠禁忌) 고찰

        진애라(Jin, Ae-La)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52

        예로부터 임신한 여성은 보기 좋은 것을 먹고 바른 것만을 보고 듣도록 하며 모서리에 앉지 않는 등 임신기간을 전후하여 여러 가지 금기의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금기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널리 동아시아를 비롯한 전통사회의 중국 여성들에게도 전승되어 왔다. 동아시아 전통사회에서는 인간의 생명을 창조하는 임신, 출산, 양육 등 자식을 낳아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잘 길러내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동아시아지역을 대표하여 한․중 양국의 임신에 따른 금기를 살펴보았다. 임신금기는 크게 행위금기와 음식금기로 나눌 수 있다. 한․중 양국에서 공통적인 행위금기와 음식금기가 나타나는 것은 임신이라는 개인적 현상에 대해 양국이 시공을 초월하여 보편적으로 동일한 사고를 하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한국에서의 임신금기는 임부의 언행과 관련된 금기를 강조하고 있는 바, 이는 한국 전통사회의 유교적 특성을 잘 나타내주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음식금기에 나타나는 상한 음식에 대한 경계 등은 저장형 음식문화를 이루고 있는 한국 고유의 문화적 특성이 드러나는 부분이다. 중국의 임신금기 중 행위금기는 태신과 관련한 금기가 많으며, 이를 통해 신적 존재에 대한 중국 전통사회의 뿌리 깊은 믿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산과학에 관한 의서가 많은 것으로 보아 산과학 분야의 꾸준한 발달이 있어왔다고 하겠다. 일반적으로 사회질서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금기는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하기 이전에 개인적 구속력으로 한․중 양국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며 이는 크게 보아 사회재생산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taboos associated with pregnancy in traditional Korean and Chinese societies. These taboos, particularly related to being nursed by a woman during infancy, are the same in different regions of China. These taboos are based on various superstitions, including having sympathy toward persons of the same ethnicity and a relativistic preference for the pronunciation affinity betwee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However, we should also take note of the scientific and rational basis of some of these taboos that have been passed down through the wisdom of the ancestors. These taboos are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by word of mouth based on the experiences accumulated from time immemorial with a view to protecting mothers and babies.

      • KCI등재

        시대적 가치관에 따른 주방 및 주방 디자인 변화

        진애리 ( Jin Ae Ri ),최경란 ( Choi Kyunf Ra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2 No.-

        본 연구에서는 사회문화적 변화에 따른 가치변화와 주거공간의 변화가 주방디자인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분석을 통해 생활문화를 가족관, 직업관, 주거관, 생활관으로 분류하여 주거공간의 변화를 파악하였으며, 앞의 내용을 토대로 한 분석의 틀로 주방디자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주방디자인 변화의 연구 결과는 첫째, 주방의 평면유형이 점차 주방과 거실이 통합된 개방형 유형으로 변화하였고, 주방배치 또한 이에 맞게 거실을 바라보고 일할 수 있는 대면형의 배치가 증가하고 있었다. 둘째, 주방가구 디자인 변화에 있어서는 상당수가 가족의 커뮤니케이션을 유도하는 가족관에 따른 디자인 변화였으며 이 제품들의 다수는 합리적 동선설계 및 수납장의 대형화로 직업관에도 부합되는 제품들이었다. 주거관에 따른 디자인 변화로는 소재의 고급화, 다양화가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생활관에 따른 디자인 변화에는 독서를 위한 여가형 주방이 많이 조사되었다. 이에 앞으로의 주방가구 디자인 방향에 있어서 가족 중심형, 여가적 주방 같은 요소는 더 이상 필요조건이 아닌 필수조건이 되어 새로운 방향제시가 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되며 아직까지 디자인 적용에 있어 미흡한 고령자, 독신, 아이를 위한 주방 그리고 Green kitchen의 개념의 적극적 적용을 기대해 본다. This study seeks to analyze how the changes of living space and value systems in accordance with sociocultural changes would influence the kitchen design. Firstly through the literature analysis, it identified the changes of housing space by dividing lifestyle culture into four categories: views on family, views on occupation, views on housing, and views on life. Based on this category, this paper interprets the changes in kitchen design. Firstly, the kitchen design changed into an open style that integrated the kitchen and the living room on the same level. The arrangement of the kitchen that allows users to face the living room while working in the kitchen reflects the changing social values. The second point in kitchen design change is that many changes in the kitchen design reflected the new view on family that facilitated the communication within the family. Also, many among these changes also agreed with the new view on occupation with the large-scale storage space and the rationalized work-flow. The changes by the new view on housing were diversified materials. Finally, the changes by the new lifestyle expressed in the leisurely kitchen design for reading. Accordingly, the elements like family centered and leisurely kitchen would not be just necessary but prerequisite conditions Therefore, these can hard to become a new direction for kitchen design any more. Instead, the paper proposes the bold application of the less utilized design concepts for the aged, the single, the children, and the Green kitchen.

      • KCI등재

        호연재 시 세계에 나타난 공간 인식의 변화

        진애라(Jin, Ae La) 우리문학회 2015 우리文學硏究 Vol.0 No.48

        김호연재(金浩然齋)는 조선조 가부장적 사회 분위기와 폐쇄적인 교육여건이라는 제한적인 여성문학의 입지 속에서, 자기 내면의 목소리를 진솔하게 형상화 했던 여성이었다. 그는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 200여 편에 달하는 적지 않은 수의 한시를 창작하였으며 문학의 작품성과 가치를 인정받음으로써 여성문학사에 큰 자취를 남긴 인물이다. 작품을 분석할 때 작가가 생활하던 공간의 변화에 따른 심리 변화를 추적하며 인물의 정신적 성장 과정을 지켜보는 것은 인물의 평가를 온전히 하기 위한 작업이 될 것이다. 호연재는 오두에서 자랐으며, 결혼 후 송촌에서 지내게 되었다. 부모 형제들과 어울려 시를 지으며 문학적 소양을 키워갔던 고향은 언제나 그리움의 공간이었다. 출가 후에도 잊지 못하는 형제애에 대한 갈증을 꿈속에서나마 해소하고자 했던 까닭은 현실에서의 고달픔에 대한 반증으로 볼 수 있다. 인정받지 못했기에 외롭고 고독했던 송촌에서의 시집살이는 작가의 주체성을 확립하게 하는 공간으로 작용하였다. 규방의 여인에 머물기를 거부하고 호연한 기개로써 세상을 굽어보는 호연재의 시선은 남성들을 뛰어넘는 기개가 있었다. 친정인 오두에서 시집인 송촌까지, 호연재 삶의 궤적은 그리움과 깨달음의 공간이라는 단어로 압축할 수 있다. 전근대를 살아간 여성들을 예속하였던 유교적 도리에도 불구하고, 천품이었던 자유로운 정신과 남성과 대등하고자 했던 의식은 호연재의 작품곳곳에서 기상을 뿜어내고 있다. 가정이라는 울타리에 안주하기보다 적극적인 시작 활동을 택했던 것은 호연재가 치열하게 살아갔다는 증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Kim Hoyeonjae was an intelligent woman who expressed honestly her inner voice in the situations of restrictive female literature with the patriarchal society and the exclusive education in the Joseon Dynasty. She wrote 200 great Korean poems the last 18th century and the early 19th, has made great achievement in the history of female literature by being recognized for her literary value and merit. When we analyze literary work, we evaluate authors mental change by the space change that they lived through and observe their mental growth process. She grew up in Odu but lived in Songchon after her marriage. Her hometown where she composed poems with her family and developed her talent for literature was always the space she missed. The reason to solve the problem even in having her dream she was really missing her brothers even after her marriage was the reflection of her harsh reality. She was lonely on the farm because she was not appreciated by her parents-in-laws served as the space to establish independence of a poet. She had spirit to surpass men rejecting staying indoors as a woman and looking at the world with great spirit. From Odu, her hometown, to Songchon, her parents-in-laws, the trace of her life can be summed up in a word, the space of longing and enlightenment. Even though there was Confucian culture, which was brought under complete control women who had lived in pre-modern period, her natural personality, the liberal spirit and her consciousness to try for equality with men was well expressed throughout her poems. It is a evidence that she made desperate efforts to choose her aggressive writing activities rather than staying women’s quar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