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간 제약 상황에서 긍정적, 부정적 피드백이 과제 특성에 따라 중학생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

        진성조(Seongjo Jin) 한국교육심리학회 2020 敎育心理硏究 Vol.34 No.3

        피드백 효과에 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해보면, 긍정적 피드백이 더 나은 수행을 보이는 결과와 부정적 피드백이 더 나은 수행을 보이는 결과가 혼재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혼재된 결과가 나타나게 된 원인으로 과제 특성과 시간 변인에 주목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피드백 효과를 학습자가 문제를 풀기 위해 시도하는 정도, 문제 푸는 데 걸리는 시간, 제대로 문제를 풀지 않고 반응하는 임의 반응 행동 등 학습자의 과제 수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행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울 강동구와 전북 전주에 재학 중인 중학교 2학년 346명이 참여하였고, 컴퓨터를 통해 빈칸 채우기 과제와 문제해결 과제를 수행하였다. 조작 체크에 제대로 응답하지 않은 학생을 제외하고 총 323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긍정적 조건의 학습자들은 수행 시간이 길어지자 문제를 풀지 않고 빠르게 응답하는 임의응답 반응의 빈도가 부정적 조건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후, 다수의 임의 반응 행동을 보인 불성실 참여자 44명을 제외하고 분석한 결과, 긍정적 피드백 조건의 학습자들은 부정적 조건보다 시간이 제한된 수행 상황에서 문제를 푸는 평균 시간이 빠르고 문제를 풀기 위해 더 많은 시도를 했다. 또한 수행 후 더 높은 동기를 보고했으며, 수행 결과도 더 높게 나타났다. 한편, 과제 특성에 따라 피드백 효과가 달라지는 결과도 나타났다. 시간이 제한된 상황에서 과제 특성에 따라 정답을 응답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피드백 조건에 따라 달라졌는데, 단순한 빈칸 채우기 과제에서는 정답을 응답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피드백 조건 간 차이가 없었고 수행 결과의 차이도 유의하지 않았지만, 복잡한 문제해결 과제를 수행할 때는 긍정적 피드백 조건의 학습자들이 부정적 조건보다 정답을 응답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았으며, 제한된 시간에 수행 결과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논의가 제시되었다.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regarding feedback effects revealed confounding results, that is, positive feedback increased task performance in some studies, whereas negative feedback increased task performance in other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confounding results, focusing on time constraints and task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which may significantly influence feedback effects. Additionall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feedback effects on task performance with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following learner’s behaviors: numbers of trials, the response time for an item, and rapid-guessing behavior which reflects a decline in motivation level during task performance as well as in performance outcome. A total of 346 eighth-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fter performing the manipulation check, 323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data analysis. As a result, the types of feedback provided affected learners’ task performance behavior and actual performance outcomes differently when conducted under time-constraint conditions. Students who received positive feedback were shown to solve problems faster under time constraints, and were able to make more attempts in solving the problems, than the students who received negative feedback. Further, the students in the positive feedback reported higher motivation levels for test-taking and achieved higher performance outcomes compared with those in the negative feedback. However, the students in positive feedback showed higher frequency of rapid-guessing behavior than those in the negative feedback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long task, which reflected a decline in motivation level. Meanwhile, performance outcomes differed according to task characteristics under time constraint conditions. In a simple “fill-in-the-blank” task, no differences in reaction times for correct answers were seen,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erformance outcomes between the two feedback. In contrast, in a complex ‘problem solving task’, the students in the positive feedback responded with correct answers more quickly than those in the negative feedback, and the performance outcomes of those in the positive feedback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negative frame feedback under time-constraint condition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접근-회피 동기성향이 학업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진성조(Jin Seongjo),이진실(Lee Jins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pproach motivation and avoidance motivation on academic self-regulation and to examin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roach-avoidance motivation and academic self-regula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215 students, 107 male students and 108 female students, attending M University located in Seoul. The results indicated that mechanisms by which approach motivation and avoidance motivation influence academic self-regulation were different. First, approach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self-regulation. This means students whose approach motivation was high showed high academic self-regulation. The approach motivation was directly related to academic self-regulation,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was not significant. Second, avoidance motiv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self-regulation, which means students whose avoidance motivation was high showed low academic self-regulation.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ce motivation and academic self-regulation was significantly existed. In other words, the students whose avoidance motivation was high showed low self-efficacy, and low self-efficacy led to low academic self--regulation. The avoidance motivation influenced academic self-regulation only though self-efficacy, not direct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 was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접근. 회피 동기성향이 학업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때 자기효능감이 매개 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M대학에 재학 중인 남학생 107명, 여학생 108명의 총 21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접근, 회피 동기성향이 학업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기제가 다르게 나타났다. 먼저, 접근 동기성향은 학업적 자기조절에 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접근 동기성향이 높을수록 학업적 자기조절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접근 동기성향이 학업적 자기조절에 영향을 미칠 때,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존재하지 않았다. 둘째로, 회피 동기성향은 학업적 자기조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회피 동기가 높을수록 학업적 자기 조절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회피 동기의 경우에는 접근 동기와는 다르게 학업적 자기조절에 직접적으로는 영향을 주지 않았고, 자기효능감을 통해서만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회피 동기가 높아지면 자기효능감이 낮아지고, 이는 다시 학업적 자기조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논의가 제시되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이 학업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진성조(Jin Seongjo),이진실(Lee Jins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가지고 있는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이 학업적 자기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M대학에서 A수업을 듣고 있는 재학생 215명의 학생들이 설문을 통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 중 지능신념집단이 분류되지 못한 10명을 제외한 205명(남: 104명, 여자: 101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은 학업적 자기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지능의 실체 이론 집단에 비해 증가 이론 집단에서 학업적 자기조절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이 학업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이 자기효능감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 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에서는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이 학업적 자기조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실체 이론보다 증가 이론 집단에서 학업적 자기조절이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자기효능감이 낮은 집단에서는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이 학업적 자기조절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가 가지는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에 따라 학업적 자기조절이 달라짐을 보여주며, 이 때 개인의 자기효능감이 조절변인으로 작용함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belief about intelligence on academic self-regulation and to examin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analyze the data of 205 college students attending M University located in Seoul. Fri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belief about intelligence had a effect on academic self-regulation. The incremental theory showed higher academic self-regulation than the entity theory. Second, the effect of the belief about intelligence on academic self-determination varied according to student’s self-efficacy. In specific, when the self-efficacy was low, the effect of belief about intelligence on academic self-regulation was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However, when the self-efficacy was high, the effect of belief about intelligence on academic self-regul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incremental theory showed higher academic self-regulation than the entity theor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 was discussed.

      • KCI등재

        익숙하지 않은 과제 수행 상황에서 학습자의 동기 성향과 피드백 유형이 학습자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진성조(Seongjo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2

        연구는 익숙하지 않은 과제 수행 상황에서 학습자의 접근, 회피 동기 성향과 긍정적, 부정적 피드백이 학습자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중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157명의 학생들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의 동기 성향이 익숙하지 않은 과제에 대한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즉, 접근 동기 성향의 학습자는 회피 동기 성향의 학습자보다 과제 수행 전 과제에 대한 효능감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드백과 동기 성향이 과제 수행 이후 학습자의 지각된 유능감, 과제 부담감 및 시험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원 다변량분석(Two-way MANOVA)을 시행한 결과, 피드백의 주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동기 성향의 주효과는 유의했다. 즉, 접근 성향 동기를 가진 학습자들이 회피 성향의 학습자들보다 과제 수행 후 지각된 유능감이 더 높았고, 과제 부담감 및 시험 불안 수준은 더 낮게 나타났다. 결국, 이들의 과제 수행 수준의 차이는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자의 동기 성향이 과제 수행 전 효능감, 수행 후 지각된 유능감, 과제 부담감과 시험 불안 등 학습자의 정서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학습자의 동기 성향과 피드백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논의가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arners’ motivational dispositions (i.e., approach vs. avoidance motivation) and feedback types (i.e., positive vs. negative) on leaners’ emotion and motivation in performing the unfamiliar tasks. For this, 157 students enrolled in the second grade middle school of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as for an unfamiliar task, learners’ motivational disposition influenced their perceived task efficacy. That is, the learner with the approach motivation revealed higher efficacy about the unfamiliar task than the learner with the avoidance motivation. Second, after completing task, the effect of motivational dispositions and feedback types on learners posterior perceived competence, task load, and test anxiety was examined. With the analysis of the Two-way MANOVA, the main effect of feedback was not significant but the main effect of the motivational disposition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motivational disposi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ceived competence, task load and test anxiety. In other words, after completing task, learners with the approach motivation reported higher perceived competence, lower task load and test anxiety than learners with avoidance motivation did. Thir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feedback types and motivational dispositions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the important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despite learners’ similar task performance levels, the motivational dispositions resulted in significantly different effects on learners’ emotions such as self-efficacy, perceived competence, task load and test anxiety. Finally,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results was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귀인 방식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진성조 ( Seongjo Jin ),이진실 ( Jinsil Lee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귀인 방식이 학업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귀인 방식과 학업적 자기조절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서울 소재 A대학에 다니는 21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귀인 방식, 자기효능감, 자기조절을 측정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한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내용: 귀인 방식이 학업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고, 귀인 방식과 학업적 자기조절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성공에 대한 노력 귀인과 공부 방법 귀인은 학업적 자기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지능 귀인과 운 귀인은 학업적 자기조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에 대한 노력, 운, 지능 귀인은 자기효능감을 통한 매개효과도 유의했다. 한편, 실패에 대한 교수자 귀인과 공부 방법 귀인이 학업적 자기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운 귀인은 학업적 자기조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 학습자의 귀인 방식에 따라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및 학업적 자기조절이 달라지며, 귀인 방식에 따라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attribution type on academic self-regulation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 survey was conducted on 211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in Seoul, and attribution types, self-efficacy, and self-regulation were measured. Statistical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In the success attribution, the effort attribution and study strategy attribu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self-regulation, while the intelligence and luck attributions had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self-regulation. Effort, luck, and intelligence attributions for success also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through self-efficacy. On the other hand, in the attribution of failure,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 attribution and the study strategy attribu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self-regulation, while the luck attribution had a negative effect. As a result, learners’ self-efficacy and academic self-regulation differ depending on the learner’s attribution type, and that the attribution type has a different effect on academic self-regulation through self-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