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순임 교수 정년퇴임기념 강연 : 요산요수(樂山樂水)의 산수화미학(山水畵美學)

        지순임 한국미학예술학회 2011 美學·藝術學硏究 Vol.34 No.-

        山水畵란 山水自然 그 자체의 표현인 동시에 인간 스스로가 자연에 대하여 보고 느낀 감상을 예술적으로 표현한 것이기에, 화가에게는 산수에 대한 관조정신과 더불어 표현을 통해 자신의 인격을 수양하게 하고, 감상자에게는 산수자연의 그림형상을 통해 정신적인 위안과 활력을 돋우는 작용을 하여 우리 인간에게는 좋은 정서를 함양하게 하는 회화장르이다. 이러한 산수화가 산수자연의 어떠한 미적 관조정신이 작용하여 우리만의 독자적 특수성이 드러난 한국산수화를 그리게 되었는지 미학적 시각에서 밝힌 내용이다. 산수는 누구나 좋아하는 美的觀照의 대상이다. 특히 君子의 소양을 지닌 德行을 갖춘 사람일수록 산수자연을 좋아하고 즐긴다. 왜냐하면 산수자연에 내재한 이치가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는 이치와 일맥상통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군자적 소양을 지닌 사람들이 자연의 道를 따르기 위해 관조한 내용이 養性之資(善), 窮理盡性(眞), 幽情美趣(美)의 정신이다. 養性之資(善)는 자기의 天性을 길러 잘 자라게 돕는다는 뜻으로 산수자연에 내재된 이치를 통해 자신의 인격을 수양하는 자연관조적 태도를 말한다. 산수자연을 표현하는 산수화가 동양회화의 핵심적 장르가 된 것도 사실은 정신세계의 수양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고상한 예술품을 제작하는 화가는 정신 수양이 선행되어 정중한 표현, 물질의 타당한 운용이 성취될 때에 비로소 좋은 작품을 제작할 수 있다. 이 때 화가의 내적 정신수양은 산수자연의 관조를 통해 그 섭리를 깨달음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고, 외적 표현의 수양은 많은 필묵연습을 통하여 기법을 이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수양이 善한 인간의 자연관조적 실천이고 또한 자신의 天性을 길러 잘 자라게 돕는 養性之資인 것이다. 窮理盡性(眞)은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고 타고난 본성을 다해 天理에 이른다는 뜻이다. 조선 후기의 眞景山水畵는 朝鮮性理學的 자연관이 작용하여 단순한 산수자연의 形似的 묘사뿐만 아니라 산수자연에 내재된 본질적 이치를 중요시하는 窮理盡性의 미적 내용이 傳神 가치를 지키면서 사실성을 구현한 산수화이다. 그리하여 진경산수화는 우리나라 산수자연을 직접 체험하고 느낀 산천 형상을 사실성에 근거하면서 산수자연의 이치를 궁구하고 자연의 본질적 眞面目을 신운神韻이 느껴지게 그려낸 窮理盡性의 眞理가 표현된 회화이다. 幽情美趣(美)는 그윽한 정서를 느끼는 조용한 기분과 뛰어난 맛이다. 幽情은 깊은 생각, 조용한 마음의 적막한 감정을 의미하며, 美趣는 좋은 뜻과 아름다운 형세를 의미한다. 이 산수화는 實景을 대상으로 그리기는 하였지만, 새로운 문인화풍의 부드러운 정서로 詩的인 정취와 맑고 깨끗한 분위기를 특색으로 하는 남종산수화풍의 그림이 되었다. 이 남종산수화풍은 대부분 주관적인 寫意를 드러내었기 때문에, 자기 양식의 형성보다 작가의 내적 인품이나 탈속적 경지를 주로 강조했다. 바로 「幽情美趣」의 정서가 느껴지는 작품이다. 산수화의 미학적 의미는 자연을 예술 창조하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될 기초와 원천으로 하여 화가의 주관적 창조성과 필묵의 정묘함을 통해 새로운 자연의 세계를 가시적으로 보여주는데 있다. 그런데 이 화가가 보여주는 세계는 곧 자신의 인격수양을 통한 인문적 교양세계로 養性之資(善) 窮理盡性(眞) 幽情美趣(美)의 관조정신을 드러낸 한국적 산수화이기에 그 의미가 크다. 결국 산수화는 화가가 산수자연의 정신을 도덕적이고 자율적으로 펼칠 때, 인격 수양된 잠재력까지 동원하여 暢神하는 자유의지로 표출한 작품이기에, 인간에게 그 형상을 통해 정신을 유쾌하게 해주는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인간은 자신을 다스리는 데 있어 자연이치와 美德을 반영한 산수화작품이 자신의 철학과 예술 사이에서 사유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것이 바로 미학적 작용이다. 현대는 자연도 많이 개발되어 변화되었고 인간의 가치관도 많이 달라졌지만 그래도 오늘날의 자연을 樂山樂水하는 마음으로 보아 현실적 자연에 내재 되어있는 이치를 현대적 시각으로 파악하고 善이 바탕이 되는 미덕을 실천하면서 국제적으로 보편적이고 한국적 독자성이 잘 드러나는 이 시대가 요구하는 작품을 창조해야만 진정한 한국적 예술문화를 구축하리라 생각한다. 這本是在北宋繪畵,關於文人畵論的作用和其意味硏究考察了.從而意在多經過反省所過去文人畵論硏究的認識不足,試圖把樣方面的接.所謂山水畵旣是山水自然本身的表現,同時也是人面對自然時的感覺之藝術性表現。因此,山水畵使畵家涵養對山水的觀照精神,幷通過其表現修養人格,而山水畵讓鑒賞者通過自然山水的繪畵形象感受精神的慰藉與活力。由此可知,山水畵是一種可以涵養良好情緖的繪畵題材。本文旨在從美學角度闡明是山水自然的何種美的觀照精神作用到上述的山水畵中致使我們創作出了獨具特色的韓國山水畵的。山水是人皆愛之的美的觀照對象.。尤其具備君子素養德行兼備的人更對山水自然喜愛有加。因爲山水自然的內在之理與爲人之道是相通的。有君子素養的人爲了遵循自然之道所觀照的正是養性之資(善)、窮理盡性(眞)、幽情美趣(美)的精神。養性之資(善)是指養人之天性而助其長之意,?通過山水自然的內在之理來修養自身人格的自然觀照的態度。表現山水自然的山水畵之所以成爲東洋繪畵的核心體裁,也是因爲强調精神世界的修養所致。而創作高雅的藝術品的畵家只有在成就了精神修養的前提下,再完成表現的鄭重其事及物質的妥當運用,才可以製作出好的作品。此時,畵家的內在精神素養可通過山水自然的觀照悟得其理而實現;外在表現的修養則可通過筆墨練習的錘煉,理解其技法而實現。這樣的修養就是善人的自然關照之實現,也是養己天性而助其長的養性之資。窮理盡性(眞)是指徹底推究事物的道理,盡人之天性而至天理。朝鮮後期的眞景山水畵受到了朝鮮性理學自然觀的影響,是旣强調山水自然的形似的描寫、也注重山水自然內在的本質之理的窮理盡性的美的內容的,旣守了傳神的價値,也體現了寫實性的山水畵。因此,眞景山水畵是將親身體會到的我國山水自然的形象遵循寫實性原則幷探究山水自然之理,同時將自然的本質性眞面目畵得可以感覺出神韻,表現出窮理盡性之眞理的繪畵。幽情美趣(美)是指感受幽靜情趣的寧靜感與超然之味。幽情意指深遠的情思,靜謐心境的寂靜感,美趣指美好之意與秀麗之形勢。此山水畵雖以實景爲對象作畵,但新文人風格的委婉使之成爲了以詩般情趣及淸淨之분圍爲特色的南宗山水畵。因此類南宗山水畵風大多體現主觀的寫意性,所以比起個人樣式的形成,則更注重强調作者的內在品性或脫俗的境界。就是讓人感到"幽情美趣"的作品。山水畵的美學意義在於將自然視爲藝術創作不可或缺的基礎與源泉,通過畵家的主管創造性與筆墨的精妙把新的自然世界可視性地展現出來。而其意義之大在於此時畵家展現的世界是通過自身的人格修養的敎養世界來體現養性之資(善)、窮理盡性(眞)、幽情美趣(美)的觀照精神的韓國式山水畵。歸根結底因山水畵是在畵家道德地,自覺地展現山水自然的精神之時,將自己人格修養成就的潛力發揮得淋리盡致而表露出暢神的自由意志的作品,所以山水畵通過其形象給人以精神愉悅的感受。因此,反映了自然之道及美德的山水畵在人調節自我的方面,起到了使人思索自身的哲學與藝術的作用。這就是美學作用。筆者認爲:而今,自然被開發變了흔多,人的價値觀也改變了不少,但今天的自然也需要我們以樂山樂水的心態去觀察,讓我們用現代的視角去掌握現實的自然中包含的道理,幷實踐以善爲基礎的美德的同時,創造出符合時代要求的、國際上普遍且韓國獨有特點突出的作品才能構建眞正富有韓國特色的藝術文化。

      • 人格美 형성을 위한 美術敎育의 方法論的 硏究 : curriculum을 중심으로

        智順任 상명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984 敎育硏究 Vol.5 No.-

        Beauty is not an abstract idea fallen apart with human life, but a concrete phenomenon. Also it penetrate our mind deeply and bring us delight and pleasure of life from our life-circumference. Taking a personal firm, sound view of beauty education. According to this basis formation, the index of a desirous Art education is determitided. Our country has fallen behind other countries in industrial technology due to being backward in scientific technique civilization. However, in our country the spirit of personality worship has gone ahead much than in any other country. The judgement of value is losing by emptiness and lawlessness derived from the estrangement between material civilization oriented development and moral civilization to such a extent that new scientific term "Dehumanism of Education"is born recently. At this time, we must say Art education is necessary to exist for the formation of a desirous human a s Art education can be begun by self-expression of free spirt. "The formation of the human beauty through Art education": as said by H. Reab, requires an Art teacher's strong conciousness responsibility and endeavour. Under this current circumstance of the times, 19years have passed since the Art education dept. in our University had been established, of which the objective is to bring up a competent teacher who will be in charge of Art education in the middle-high school. Now, it is significant for us to see whether it is operated well to the effect of the establishment or not as a study on the method in Art education for the formation of Human-beauty, as espected. Pre-questionnnarie which was made from the students of Art education dept. who just came from teaching-practice results in analyzing the current curriculum of Art education so I come to select this subject. As the blueprint which is to achieve the object in education is a curriculum used in education. We can classify the current Art education course into both the fine Art education in the liberal arts and science college and the art education in teacher's college. Despite the obvious difference between two depts in the view points of prospect and objective of the establishment. Any difference can't be found in two depts which are contradictory to the establishment. If we take the introduction order of two depts in our university, the fine art education dept has a priority over the other dept. that imitated the curriculum of the fine art education dept. Therefore, we can find out the problem on the curriculum management of the Art education dept. in the teacher's college, which objective is to bring up a good art teacher who will be in charge of middle-high education. To rectify these problems I want to recommend 4 points: 1. to make the students of the art education dept in teacher's college establish a firm faith required in teacher-quality 2. to make them gain a skill in knowledge and function of how and what they should teach their students, 3. to adapt the adequate theory and the skill of art education allocated the curriculum to the students for the purpose of being good teachers. 4. to make oneself unique, creative methods in more art-creating course than the result of it. The art education of teacher's college will be on right track as intended, only when the above points mentioned are executed rightl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山水畵 준법의 造形性 硏究

        智順任 상명대학교 논문집 1985 상명대학교논문집 Vol.16 No.-

        Ts'un-fa (준법 is a painting technique employed by the landscape painter to express, in brush and Chinese ink, the shape and the principle of the rocks or mountains that he or she has studied analytically. While Western painting depends on volume and quantitative sense for shading, Oriental painting adopts a plastic style to express ideographical setups, adding quantitative sense to the suggested outlines by means of ts'un. Thus, ts'un-fa constitutes ku-fa (骨法), an essential element in Oriental painting, and expresses the creativity of the painter. To put it another way, ku-fa in landscape painting is a structural style that makes possible the understanding of the deciding structures of a mountain with its rhythm and its shady and concave parts. Being, in modern terms, a deciding factor in the shapes and shading in landscape expression, ts'un clearly plays an important part in painting. This makes a Chinese scholar (Professor Sang-chan Li, The Ancient Palace Museum) call ts'un-fa the "spirit of landscape painting", which I think is not an exaggeration. The ts'un-fa is express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form and quality of Nature, and at the same time the same form and the same quality can be express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 and personality of the artist. It is something built up through the artist's unceasing observation of nature and his experiential impressions. Hence the fruit of the landscape painter's wisdom. Despite ts'un-fa is essential role to play in painting few theoretical papers have been published, except one by Havard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And yet gradual development of its technique can be seen through the remaining paintings of the last 1,OOO years from the crude landscape paintings of T'ang Dynasty to the present. In this paper the author seeks, therefore, to present a working guide not only for actual painters but for researchers in painting theory in Korea. In section 1, the concept of the term ts'un-fa' is introduced as a fundamental plastic language of landscape painting; ts'un-fa adds qualitative sense to the outline of landscape. In section 2, I argue by adducing to the evidence of the remains that the origin of ts'un-fa is to be traced as far back as the 10th century, the last period of Five Dynasties and Northern Sung. The development of ts'un-fa is also clarified by comparing the ts'un-fa and its concomitant Chinese painting theories. Next, in an attempt to analyze tsun-fa as a plastic language, I classify ts'un under three plastic elements: point, line, and face. After extracting various (tpes for each ts'un, I analyze the remains, the expression effect and the moving of the pen, as illustrated in kai tzu yuan hua chu´an (芥子園畵傳). The concluding section reviews the literature, presenting the direction in which modern painters should proce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등 미술 1급 정교사 자격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지순임,이주연,김은경,박만용 한국조형교육학회 2006 造形敎育 Vol.0 No.28

        본 연구는 국내 중등 미술교사 연수에 대한 관계기관의 지속적인 관심과 운영 마인드 부족으로 해당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대부분의 연수 프로그램이 교육과정의 개편 내용과 상관없이 실기 위주의 교육에 중점을 두고 편성, 운영되어 온 것에 문제를 두고, 시대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면서도 현장과 긴밀하게 연계된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의 인식에서 출발된 것이다. 그 중에서도 자격 연수1)는 타 연수와 달리 교사가 한 번 받는 것이기 때문에, 그 내용 및 방법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더 이상 강조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이와 같은 필요성 및 중요성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시행되어 온 국내외 중등 미술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분석을 통해 중등 미술 1급 정교사 자격 연수의 실제적 실행을 위한 바람직한 프로그램을 개발,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This study examined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secondary art education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USA, England, Taiwan and Japan), and suggested an ideal and practical program model for teacher education. In Korea an in-service teacher training to get the first-degree certificate is specified in the law, and it is required for all the regular teachers with more than 3-year teaching experience to get i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and compared programs for art teachers in Korea with those in four different countries in order to develop desirable and prospective programs for art teachers in secondary education. The very basic and fundamental principles were discussed and presented with a goal(objective), content organization, methods and assessment in general. An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a program model was developed and presented with three different suggestions(the first, the very ideal one; the second, emphasized with special issues, for exampl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or ‘ICT in art education’, etc. the last, very reasonable and easy at application). Also, a practical example was presented, which was implemented at 2005 secondary art teacher training by Sangmyung University. The recommendations for program development for art-teacher education were the followings: 1) philosophy, features, goal(objective), content organization, methods, assessment, program management should be clearly stated and planned in advance; 2) the distinct criterion to divide a specific teacher training and other general teacher training should be reflected and selected; 3) all the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be planned and programed in the developm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all the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be based on the school setting at its planning and programm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