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다큐멘터리 연극과 감정모델 연극치료 - <연극의 3요소>를 중심으로

        주현식(Ju Hyun Shik)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9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0

        본 논문의 목적은 <연극의 3요소>를 중심으로 감정모델 연극치료의 한 사례로서 자전적 다큐멘터리 연극을 분석해 봄으로써, 자전적 다큐멘터리 연극과 감정모델 연극치료가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지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자전적 공연과 다큐멘터리 연극, 그리고 연극치료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응용연극의 연구 관점에서 생산적일 수 있다. <연극의 3요소> 같은 자전적 다큐멘터리극에 내재한 치료적 속성의 규명은 연극치료의 광범위한 효과를 확인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연극의 3요소>에서는 상대방의 독백 연기하기를 통해 극적 투사의 무대가 의도적으로 가시화된다. ‘너’ 속의 ‘나’가 실현되고 이는 거울놀이 등의 체현적 양상을 거쳐 전체 공연으로 확장된다. 나의 감정을 너를 통해 확인하게 되는 투사적 무대 속에서 슬픔, 분노, 자기혐오와 위로, 행복의 감정이 병존됨으로써 영민과 수연이 자신을 통합할 계기가 마련되고 있다. 극중반부를 지나면 장애인과 비장애인, 그리고 그들이 속한 장소를 비정상성과 정상성의 장소로 분할하는 기존 문화적 구분의 해체가 시도된다. 이때 영민과 수연의 개별적, 비순수한 감정은 문화적 이분법에 저항하는 보편적, 순수한, 사심 없는 거룩한 분노로 승화한다. 영민과 수연은 관객의 목도하에 다양한 역할 병존, 감정 병존의 공연을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관습적 영토에서 벗어나 자아와 타자를 새롭게 발견하고 바라보게 된다. 공연이 끝난 후 관객은 배우들의 권유에 따라 극장에 대한 장애인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탄원서를 함께 작성한다. 이 과정에서 순수한 거룩한 분노와 관객 개인의 개별적 감정이 얼마나 같고 다른지 관객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는 계기가 생성된다. 비순수한 개별적 감정의 인식 과정은 관객이 배우와 함께 공동체 속 일원이 되는 과정을 이끈다. 불특정 관객은 이 과정 속에서 자신의 삶이 변화되는 계기, 치료적 효과를 경험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s aim is to examine the points where autobiographical documentary theatre and emotional model in dramatherapy can be shared by analyzing autobiographical documentary theatre as an example of emotional model in dramatherapy, focussing on The Three Elements of Theatre. Resear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autobiographical performances, documentary plays, and drama therapists can be productive from a perspective of applied theater. Theatrical performances based on personal life, documented archives, and the past trauma of the individual promote the theatrical practice, social utility, community formation, and the theatre-making drama related to educ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meaningful that the identification of the healing attributes inherent in the autobiographical documentary drama, such as The Three Elements of Drama, is capable of confirming the broad effects of drama therapy. In The Three Elements of Drama, the stage of dramatic projection is deliberately visualized through reciting the monologue of the opponent. I in you is realized, and it is expanded to the whole performance through the embodied aspect such as mirror play. In the projective stage where my feelings are confirmed through you, there is a chance for Yeong-min and Soo-yeon to integrate with their respective self by the coexistence of sorrow, anger, self –hatred and comfort, happiness. Beyond the middle of the play, attempts are being made to dismantle existing cultural divisions that divide persons with disabilities, non-disabled persons, and their places into places of abnormality and normality. At this time, the individual and impure feelings of Young-min and Soo-yeon sublimate into universal, pure, selfless holy anger that resists cultural dichotomy. The aspect of the emotional development that is terminated by pure holy anger is helpful for the self - awareness of the actors and the audience.

      • KCI등재

        < 느낌, 극락같은 >에 나타난 의식의 연행과 리미널 공간의 경험

        주현식 ( Hyun Shik Ju ) 한국드라마학회 2012 드라마연구 Vol.- No.37

        This paper will newly approach audiences` cognitive act in A Feeling, Like Paradise by examining figuration of minds and bodies, focusing on consciousness and space. In other words,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cognitive process which audiences experience during performance of A Feeling, Like Paradise. Especially, this paper attends to the process that audiences transform and frame theirselves` mental activity via the performance of consciousness in the liminal space as ``becoming`` extended bodies. Consciousness is the key concept in this article. Consciousness is general term for the subjective characteristics of mental experience, namely, qualia. In other words, Consciousness is defined as the distinctive experience of subjectivity and phenomenality, that is, the way that subjects take cognizance of objects, unlike things as they really are. For example, consciousness includes one`s subjective way of thinking, remembering, attending, sensing, feeling. As Rene Descartes points out, the prime feature of body is its spatial extension. Therefore, in order to study the subjectivity of consciousness that phenomenally happens via embodiment in objective reality, it is required to examine spaces which arrange bodies, surround humans, and construct the objective environments. This paper will bear in mind these theoretical discussions. As a results, the main issues are comprised of two different argument, i.e. the performance of consciousness and the experience of liminal space. 이 논문에서는 의식(consciousness)과 공간(space)을 화두로 하여 <느낌, 극락같은> 공연에 나타난 연극적 고르디아스의 매듭, 몸과 관념의 형상화를 통해 관객의 인지적 활동이 구성되는 과정에 새롭게 접근하고자 한다. 즉 확장된 몸 ``되기``의 형태인 리미널한(liminal) 공간 속에서 의식의 ``연행(performance)``을 거쳐, 관객이 어떻게 스스로의 정신 활동을 역동적으로 변형시키고 틀 짓게 되는가에 주목함으로써, 본고에서는 < 느낌, 극락같은 > 공연 중 관객이 체험하게 되는 인지적 과정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볼 것이다. 이 글에서 활용하고 있는 핵심 개념인 의식(Consciousness)은 말로 표현될 수 없는 정신적 경험의 주관적 성질을 총칭한다. 바꾸어 말해 외적인 사물이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방식과 다르게 주체인 나에게 인지되는 방식(사고, 기억, 관심, 느낌, 감정 등등), 그 주관성(subjectivity)과 현상성(phenomenality)의 독특한 경험이 바로 의식이다. 데카르트의 지적처럼 몸의 근본적 특징은 그것이 공간적으로 확장된다는 데에 있다. 때문에 객체적 리얼리티에서 체현의 과정을 거쳐 현상학적으로 발생하는 주관적 그 무엇인 의식의 해명에, 몸이 배열된바 인간을 둘러싸고서 객체적 환경을 구성하는 공간의 검증은 필수적이다. 본론에서는 이상의 이론적 논의들을 염두에 두었기에, 의식의 연행과 리미널한 공간 논의를 본론 전개의 두 단계로 구성하면서도. 의식 - 몸 - 공간의 긴밀한 고찰을 꾀하였다.

      • KCI등재

        댄싱 브레인-디지털 댄스의 신경미학

        주현식 ( Ju Hyun Shik ) 한국연극학회 2017 한국연극학 Vol.1 No.62

        본 논문은 2016년 다원예술축제 `페스티벌 봄`에 내한했던 영국의 안무가 코위(Billy Cowie)의 디지털 댄스 < Art of Movement >, < Dark Rain >, 그리고 < Tango de Soledad >에 대한 신경미학적 접근을 시도하려 한다. 디지털 댄스로 통칭될 수 있는 코위의 작품들을 사례 연구로 삼아 디지털 댄스에 대한 관객의 심미적 판단을 구성하는 신경학적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면서 댄서의 위치와 움직임이 변화할 때 감각적 경험과 감정의 기저에 놓인 관객의 뇌에는 어떤 정신적 과정이 발생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의 가능성을 본고는 모색한다. 논의 과정은 신경미학이 무엇인지 개괄한 후 코위의 댄스론을 살펴본 뒤 그의 작품들을 신경미학적으로 접근하는 과정을 거친다. 일종의 신경미학적 비평의 시도라 할 수 있는데 결론에서 설명되겠지만 이러한 접근법은 결정론적, 환원주의적, 양적 연구 방법이라는 비판을 면치 못할 것이다. 그럼에도 인문예술학과 자연과학의 융합적 사고, 새로운 미학적 해석을 촉발할 수 있다면 본 논의 또한 일정 정도 의의를 가질 터다. 코위의 무정부주의적 댄스에서 가정될 수 있는 관객의 뇌 신경활동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 통합과 교차 활성화의 접점인 `각회세포`의 활동이 댄스 퍼포먼스 상 시각적 메타포를 통해 활발해질 것이다. 둘째, 움직임이 멈춘 상태로 시간이 지속되는 댄스 장면에서는 시각적 감각만이 자극되고 있을지라도 수용자의 뇌 속에서는 이미 운동과 관련된 뇌 세포의 가상적 활동, `거울신경세포`의 작동을 통해 정지된 움직임의 다음 동작이 시뮬레이션될 것이다. 셋째, 키네틱 아트와 동일하게 단순한 형태 속에서 움직임을 전경화하는 스크린 댄스를 통해서는 관객들의 시각뇌 중 `V1`, `V3`, `V5` 영역이 보다 강하게 자극되리라 추측해볼 수 있다. 더불어 3D 안경의 착용은 시각상의 윈심과 구심운동을 통어하는 `V5` 영역의 시세포 기능을 활성화시킬 것이다. 이러한 `V1`, `V3`, `V5` 영역의 강렬한 자극은 스크린이 설치된 무대에 관객이 함께 있는 듯한 `몰입(Immersion)`의 환각을 제공하고 관객을 디지털 가상의 공간으로 이끌리라 예측된다. 모든 예술작품은 창작 과정 상 일련의 선택에 의해 창조된다. 작품 구성의 선택을 위해서는 항상 수용자의 감각적, 인지적, 정서적 선호 경향이 고민될 수밖에 없다. 환경적 맥락의 자장 내에서 발생하는 이 같은 창작자의 질료 선택 결정과 수용자의 작품 선호 경향에 대해 신경미학이 규명하려는 뇌의 작동은 더 많은 것을 말해줄 것이다. 본고의 논의가 엄격히 보아 실험에 근거한 논의가 아니라 신경과학의 실험 결과를 유추적으로 적용했다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신경미학적 질문들의 유용성은 그래서 퍼포먼스의 미학 연구에서도 어느 정도 존중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s aim is to present the neuroaesthetic approach to the works of the British choreographer Billy Cowie, Art of Movement, Dark Rain, and Tango de Soledad, categorized as digital dance. In other words, this article tries to specify the neurotic process that constitutes the aesthetic judgement of the audience about digital dance. This paper therefore explores what happens in the audience`s brain laying a ground for one`s cognitive and affective experience, when it comes to the altering of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the dancer. This paper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firstly, outlining what the neuroaesthetics is: secondly, discussing the dance theory of Billy Cowie: finally, the neuroaesthetic apprach to his works. As a result, this article substantiates a sort of the neuroaesthetic criticism to digital dance, even though there is the limitation of a deterministic, reductive, and quantitative methodology. This paper will merit in contributing to a new aesthetic interpretation of digital performance, based on the convergence of art and science. Concerning anarchic dance of Cowie, the neurotic activity in the audience`s brain presumabl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gular gyrus` integrating and intersecting diverse senses might be activated through visual metaphors of the performance, second, `mirror neurons` could simulate the next move of the frozen movement, virtually activating movements by just watching the still images of them, third, `V1`, `V3`, `V5` in `primary visual cortex` of audience may strongly be stimulated by screen dance tracing dynamic moves in the simple shapes like a kinetic art, especially the activation of V5 triggered with 3D-glasses, leading the audience into immersive illusions of virtual reality. All artistic works are created by creator`s choices during the creative process. The sensitive, cognitive, and affective preferences of audience are inevitably concerned for the choices. Hence, the works of human brain that the neuroaesthetics sheds light on will offer a vivid picture related the creator`s choices and audience`s penchants. In conclusion, despite of the limitation of making an analogy between this paper`s presumed findings and actual scientific experimental results, I think, the neuroaesthetic approach would unpack a significant moment in performance study in that it specializes in embodying mind, a vital critical thread of performance study.

      • KCI등재

        촛불집회, 블랙텐트, 그리고 사회적 퍼포먼스

        주현식 ( Ju Hyun-shik ) 한국연극학회 2018 한국연극학 Vol.1 No.66

        본고에서는 2016년 말부터 개최된 촛불집회에서 출현한 행위들을 일종의 ‘사회적 퍼포먼스(Social Performance)’로 간주하고 그 표현되는 방식의 특징, 연극적 퍼포먼스로서의 성격을 분석한다. 한편 촛불집회 내 사회적 퍼포먼스가 출현시키는 공적 이슈와 관련된 논쟁, 토론의 공적인장이 예술적으로 나타난 형태가 블랙텐트의 공연들이었다는 전제에서 블랙텐트를 일종의 심미적 ‘공적 영역(Public Sphere)’으로 본고는 보려 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촛불집회에서 표출된 행동들에 내재한 ‘사회적 퍼포먼스’로서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와 연관해 블랙텐트가 심미적 ‘공적 영역’으로 기능하면서 촛불집회의 사회적 퍼포먼스가 불러일으킨 공적 이슈에 대한 논쟁과 토론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고찰한다. 블랙텐트의 연극들이 한 단상에서 “촛불의 바다, 항해하는 돛단배”라고 지칭되었듯이 촛불은 광장에서 넓은 바다를 이루었고 연극은 그 끊임없이 형태를 뒤바꾸는 변형의 해수면을 가로지르며 차이의 흔적을 남기는 상징적 좌표였다. 하여 본고의 논의를 통해 좀 더 확장된 사회문화적 지평에서 연극적 행위들의 연행성(Performativity)이 가늠될 수 있다면 본 논문 또한 일정 부분 의의를 지닐 것이다. 사회적 퍼포먼스의 요소들은 촛불집회의 초월적 리얼리티에 참가자들이 성공적으로 접속하는 데 기여한다. 유기적으로 연결된 사회적 퍼포먼스의 요소들을 통해 참가자들은 집회 속에서 어떤 철저한 ‘인위적인’ 계획에 대한 고려나 행동의 결과에 대한 걱정 없이 자연스럽게 시위에 동참하는 ‘진정한’ 자신들을 목도할 수 있었다. 블랙 텐트의 연극은 촛불 집회의 사회적 퍼포먼스, 헌법적 주체의 퍼포먼스라는 사건적 주체의 출현에 관한 생산력과 해석력을 연극적 장면속에서 재생산하고, 재배분한다. 좀 더 심미적, 표현적 차원의 공적 영역에서 사회적 퍼포먼스의 힘을 효과적으로 투사해 촛불집회의 사회적 퍼포먼스로서의 힘을 증폭하고 공적 영역의 다층화를 결과하며, 연극이라는 기존 예술 제도의 범주를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블랙텐트는 제시했다. 촛불의 바다 위를 항해하는 돛단배, 블랙텐트와 그 탈구적, 경계가 뒤섞인 혼종성의 공간이 내포한 ‘차이성’의 의미는 오늘날 연극이 사회적 효과와 관련하여 어떤 문화적 실천을 감행할 수 있는지, 연극 자체가 사회와 관련하여 얼마나 연행적인 것인지 보여준다. 요컨대 촛불집회와 블랙텐트 참여자들의 자발성으로부터 사회적 퍼포먼스가 보여줄 수 있는 성스러움의 핵심요소, 좀 더 진실한 어떤 것의 발현, 즉 비고안적 사건성(Eventness)이 창발한다. 바꾸어 말해 행위자의 자발성에서 연원한 사건의 우연성, 비의도성이야말로 기존의 엄격한 사회문화적 구조, 고착적인 예술 제도에 촛불집회와 블랙텐트가 도전할 수 있는 가장 큰 동력이었다. 제도정치와 운동정치가 길항하는 과정 가운데 형성되어 온 한국 민주주의의 문화적 대본에 이 같은 행위자의 자발성이 결합되었다는 점이 촛불집회와 블랙텐트의 가장 큰 문화적 성취일터다. The re-fused and de-fused processes of the candlelight vigils offer copious descriptive details of social performances interlaced with strands of a disappearing community’s experience and the reappearance of a cultural memory in 2016 and 2017 in Korea. The vigils were performed by the millions of citizens who “voluntarily” flocked to the squares, embracing scripts of historical direct democracy demonstrations by citizens. The sincerity of participants created the fusion into a transcendent reality. However, the refutation of the vigil’s transcendent reality revealed its artificial, manipulated and “de-fused” reality. By inextricably linking voluntary actions of citizens to re-fused and de-fused social performances, we could present a clear picture of the evolving personal and communal identity of participants in the vigils. In this paper, I will describe how transcendental reality appeared in the vigils via the re-fusing of elements of social performances by the spontaneity of participants. Additionally, I will explain how the limitations of social performances refuted the reality of re-enchantment, leading to the disenchanted vigil’s reality. A variety of elements―the spontaneity of participants, the cultural script, actions for constructive reality in the square, objects, clothes, simple agendas, and relevant psychodynamic desires―played significant roles in re-fusing a sacral transcendent reality and achieving a successful symbolic social performance. Hence, referring to the vigils as “the sea of candlelight” paints a vivid picture of “smooth, nomad space.” In other words, the sea of candlelight was felt more than cognized, haptic rather than optic, affective rather than rational, local instead of global, linear rather than pointed, and diverse instead of unitary. Its navigation aimed to revolutionize Koreans’ collective identity in the midst of their depression, thereby serving to de-territorialize and re-territorialize the Korean political system. It was the all things-entangled smooth sea that revived efforts for “becoming” a new individualistic and nationalistic identity. Furthermore, during the vigils, the public sphere in the agonistic staging of the Black Tent unpacked a plethora of voices and perspectives not heard before. In the theater, the audience could become the emancipated spectator, challenging the opposition between viewing and acting, understanding that the self-evident facts that structure the relations between saying, seeing and doing themselves belong to the structure of domination and subjection.

      • KCI등재

        기호학적 분석을 통한 천전리 암각화의 신화적 도상 연구

        주현식 ( Hyun Shik Ju ) 한국기호학회 2012 기호학연구 Vol.32 No.-

        Rock art means the native rock that has a artificial mark on the surface. Rock art is taken center stage as prehistoric ages` archive, because it has many iconic representations, various visual signs. So, recently, it is treated as an object of interdisciplinary study beyond an archaeological approach. But a hard question on rock art study is that rock art was produced from the distant past. In other words, for the improbability of its context analysis, the systemic description of rock art is very difficult. The problems of a direct approach to the cultural convention results from the researchers` ignorance about rock art`s contextual factor. Now the rock art`s substantive, physical factors, namely, etic factors, can be identified, but structural constituents, cultural codes, that is, emic factors cann`t be identified. This is obstacle of rock art study. Therefore, an absolute truthful methodology of rock art study doesn`t exist. As a result, research direction of rock art study must get out of the representative perspective that rock art`s sign simply mirrors prehistoric ages`s conditions. the representative perspective poses several problems, especially, it overlooks rock art`s textuality. So rock art study will be more productive, when researcher begins the study that focuses on semantics, functions of rock art`s sign morphology, expand into the study that concentrat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rock art`s signs and contextual factor such as its natural environment, prehistoric material conditions. That is, rock art is intentional product with the rules that special images are made, disposed. This paper`s differentiated point proceeds from this semiotic analysis of rock art. A major premise of this paper is that the perception of natural reality is made up of dialogue between the artificial signs and the natural material conditions. This perspective compensates the earlier studies that have superficially speculated on environmental factors of rock art`s remain. An object of this paper is Cheonjeon-ri rock art found in 1970. Cheonjeon-ri rock art is Korea`s very first prehistoric rock art. Because it has many geometric figures, the definite interpretation about Cheonjeon-ri rock art is very difficult. As a result, semiotic analysis that regards textual systemic description as important is urgently needed for scientific approach to Cheonjeon-ri rock art.

      • KCI등재
      • KCI등재

        퍼포먼스로서 에크리튀르 -연극적 텍스트성의 실천-

        주현식 ( Hyun Shik Ju ) 한국기호학회 2011 기호학연구 Vol.29 No.-

        This paper`s aim is to reappropriate the understanding of Jacques Derrida`s De la grammatologie with a theatrical approach. So this paper will examine how Derrida`s deconstructive thinking provides implications for a boundary that two distinct theatrical existent modes, i.e. dramatic script and staging a play, define as themselves. This work is expected to have a special meaning for suggesting ecriture`s performative aspect and its significance. By studying theatrical textuality through deconstructive works about theatrical metaphysics, this paper will try to elucidating ecriture`s performativity. Therefore, the problematics which this paper cares deeply about are the limits of theatrical metaphysics. For example, they are the dramatist-based approach and director-based approach when theatrical practices happen. At this moment, the strategies which this paper sets up are to overturn language-body`s hierarchical relations that theartical discourse has repeated. To sum up, dramatic script and staging a play are mutual supplementary as a iterable relationship. As a result,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the iterability of theater, namely, differantial repetition, textual undecidebility, and citational semiosis, in which making is remaking, and representation is poiesis.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의 퍼포먼스 -배우로서 로봇에 대하여

        주현식 ( Ju Hyun-shik ) 한국드라마학회 2017 드라마연구 Vol.0 No.51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포스트휴머니즘의 퍼포먼스 무대에서 이전 연극 무대와 달리 기술은 연출 미학을 보조하는 수단이 아닌 그 자체가 퍼포먼스의 목적으로 변화한다. 무대 형상화를 위해 기술을 활용하던 전통적 연극과는 다르게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기술로 변이됨에 따라 인간 배우와 상호행위 하는 배우 형상, 주체에 상응하는 위상을 무대 위 기술은 획득하고 있다. 특히 최근 시도되고 있는 로봇 퍼포먼스에서 몸과 기술, 인간과 기계 사이의 통합과 만남을 이해하려는 다양한 퍼포먼스 방식이 출현하고 있다는 점은 이채롭다. 이러한 로봇 퍼포먼스는 재현과 현존의 개념, 배우와 캐릭터의 존재론, 무대 위 시공간적 자질, 그리고 관객의 수용 양상 등과 관련된 근대적 연극의 개념을 급격하게 변화시키고 있기 때문에 주목을 요한다. 이 논문은 포스트휴먼이라 할 수 있는 로봇이 배우로서 퍼포먼스에 출현할 때 전통적인 퍼포먼스 미학과 다른 퍼포먼스의 미학이 어떻게 달성되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전통적 퍼포먼스 미학의 개념인 몸의 `현존(Presence)`이 로봇 배우의 현존에서 어떠한 변화를 보이며 또한 몸의 현존으로부터 비롯된 공간적 `분위기(Atmosphere)`는 로봇 배우가 현존하는 퍼포먼스 공간으로부터 어떤 변형의 양상을 거치는지 고찰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러한 논의를 거쳐 의식의 지향성, 살, 그리고 가역성 등 기존 현상학과 관련된 개념들이 변화되는 양상, 다시 말해 기술과학과 현상학과의 상호연계를 통해 `사이보그 공연현상학(Phenomenology of Cyborg Performance)`에 관한 시론을 로봇 퍼포먼스의 미학으로 본론 마지막 부분에서는 제시해보려 한다. 차이화에 대한 살아 있는 경험으로 의식적 현상을 관객이 체험하는 순간은 변형의 순간, 문턱을 건너는 순간인 바, 포스트휴먼에 의한 퍼포먼스 미학이 짐작될 수 있는 지점이라고 생각된다. 하여 포스트휴머니즘 시대 로봇 퍼포먼스에 관한 논의를 촉발하는 시론으로서 본 논의가 기능한다면 본고 또한 일정정도 의의를 가질 것이다. Posthumanism originated as a reaction to humanism. Humanism is the world view that emphasizes `humanity` or `human dignity`, starting with the humanism of the Renaissance period in the 14th and 16th centuries, and mental attitudes that were associated with the rational spirit of modern science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Posthumanism raises doubt about humanism as the mythical concept naturalizing anthropomorphism, so that deconstructs the universal human nature advocated in humanism. Given that the concept of human species is a historical concept and its ideological effects are seen as oppressive, `difference`, `specificity`, `multiplicity`, and `plurality` are foregrounded as having particular importance in posthumanism. Along with critical attitudes toward modern humanism, recent advances in technology are also helping to model posthumanism as an alternative view of humanism. Today`s rapidly bio-, nano-, info-, cogno-, digital-, virtualtechnology, such as cloning technology, stem cell technology, AI, organ transplantation, mobile media, brain science, cyberculture, online, network, have made it indispensible the role of technology in the discussion of the change of human nature after humanism. Unlike previous theatrical performances, technology on the stage of posthumanism changes itself not as means of assisting stage aesthetics, but as the fundamental purpose of performance. Contrasting with traditional theatre which used technology for stage figuring, technology transformed from analog to digital is acquiring agent that interacts with human actors. It is particularly interesting that various performances are emerging to understand integration and encounter between body and technology or human and machine in the robot performances. These robot performances need subtle attentions because they dramatically alter the concepts of modern drama related to representation, presence, the temporal-spatial quality of stage, and the aspects of acceptance of audience. This paper will examine how the new aesthetics of posthumanistic performances is achieved when robots appear as actors in performanc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on how the `presence` of the body and the spatial `atmosphere` stemming from the presence are transformed, considering the performances of robots. Through these discussions, this paper will think of how the concepts in relation to the concepts of classical phenomenology, such as consciousness, experience and phenomenon, are changed. In other words, through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science and phenomenology, phenomenology of cyborg performance will be presented as the aesthetics of robot performance. The moment when the audience experiences the conscious phenomenon with the diffraction is thought as the moment of transformation crossing the threshold for the audience. Consequently, the moment is the point where the aesthetics of performance by posthuman might be guessed. This article will therefore have some significance functioning to trigger other discussions on the performance of robot in the posthumanistic era.

      • KCI등재

        정동(Affect)의 극장으로서 소셜 미디어

        주현식 ( Ju Hyun-shik ) 한국드라마학회 2020 드라마연구 Vol.0 No.60

        2016년 촛불 집회 당시 일상의 온라인 공간, 특히나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소셜 미디어에서 이용자들이 경험하는 정체성 변형의 문제를 연행 연구 관점에서 접근하고 그 정체성 변형의 연행적(performative) 과정이 함축한 정치적 효과를 정동(affect)의 개념을 통해 본 논의는 분석하려 한다. 이를 위해 본론 첫 번째 장에서는 이론적 토대를 다진다. 소셜 미디어에 대한 퍼포먼스적 접근의 유용성을 탐색하면서 정동의 개념을 분석 렌즈로 삼아 소셜 미디어 상의 퍼포먼스가 내포한 정치적 함의를 추출한다. 두 번째 장에서는 이론적 틀을 실제 사례에 적용해 본다. 우선 가짜 최진실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서 연극적 가정법의 자아가 소셜 미디어에서 퍼포먼스 되는 양상이 조망된다. 이어서 풍자적 그림이나 글이 전시되는 갤러리 같지만 여타 팔로워(follower)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다른 여러 장치에 의해 트위터나 페이스북의 공간에서 생생한, 공현존의 무대가 구성되는 과정이 검토된다. 다음으로 촛불집회 운동의 큰 원동력이 되었다고 평가되는 ‘#그런데_최순실은?’ 해시태그 달기 운동을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에서 ‘정치적인 것으로서 개인적인 것’이 발명되는 과정, 자아의 연행적 구성 과정이 서술된다. 이상의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마지막 부분에서는 소셜 미디어의 퍼포먼스적 무대 구성 과정이 곧 정동을 퍼포먼스하는 과정이었음을 결론 내리면서, 퍼포먼스적 무대로서 소셜 미디어가 지닌 정치적 함의가 타진된다. 본고에서 기술된 소셜 미디어의 퍼포먼스적 공간은 정동이 함유하는 감각적 에너지의 강도로 충만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2016~2017년 촛불 집회 당시 현실에서 일반 시민들은 실패한 정부와 집권자의 무능력함에 절망하고 분노했다. 이 절망과 분노는 의식화될 수 있는 신체생리학적 성질, 감정의 속성을 지녔었다. 그러나 소셜 미디어의 네트워크 상에서 가짜 최순실 놀이를 하고, 풍자적 성격의 그림이나 글을 업로드하거나, 해시태그를 공유하는 퍼포먼스를 벌이게 되었을 때 이용자들이 지각한 것은 절망과 분노, 혹은 유쾌함의 감정으로는 단순히 설명될 수 없는, 그 이상의 것이었다. 가짜 최순실 페이스북 계정으로 대리만족을 해야 할 만큼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의 온라인 페르소나는 무력했지만 가짜 최순실을 공격하며 용서를 받아내는 그 순간에서의 태도만큼은 강력하고 단호했다. 그들이 절망과 분노 속에 담아 낸 풍자적 이미지와 텍스트에는 유희적 쾌락과 가벼움이 뒤섞여 있었다. 이용자들이 해시태그 운동을 벌이며 생성한 자아 정체성에는 진정성과 인공성이 혼합돼 있어서, 몸은 일상생활이나 온라인의 사적 공간에 구속되었을지언정, 정신은 오프라인의 공적 영역인 광장을 향해 있었다. 소셜 미디어 공간에서 촉발되는 이러한 사이성에 있는 몸의 변조되는 감각에 대한 지각, 정동에 대한 지각이야말로 온오프라인에 걸쳐 촛불에 관한 열정을 확산시킨 주된 요인이다. 찰나적, 연속적, 폭포수 같은, 무정형의, 비선조적인 감각의 강도로 충만한 정동은 리좀적 관계를 촉발하는 소셜 미디어의 복합적 관계망으로부터 연원한다. 팔루스적 상징적 기표로부터 파생된 결여된 자아 이미지는 소셜 미디어의 네트워크 공간에서 삭제된다. 결여가 추동하는 차감의 법칙으로부터 해방되어 소셜 미디어 상의 콘텐츠를 끊임없이 업로드하고, 복사하고, 실어 나르며, 공유하는 더하기의 법칙만이 온라인에서는 통용된다. 그래서 팔루스라는 일반적 범주에 자아 자신을 환원하는 억압 없이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은 오직 더하기의 법칙에 의거해 다층적, 복합적, 이종적, 불균형적, 통약불가능한 실천들을 서로의 SNS 계정에 마음껏 덧붙일 뿐이었다. 능동적 에너지의 흐름이 곧 감각의 강도, 정동이라면, 소셜 미디어라는 극장에서 억압을 내쫓고 변형의 정치학을 위해 퍼포먼스된 것은 결국 차이의 확산과 증가를 위해 끊임없이 덧붙여진 감각의 강도, 정동이라 할 수 있다. We will approach the problem of identity transformation experienced by users on social media such as Twitter and Facebook during the candlelight vigils in 2016 in terms of performance study and analyze the political effects of the performative process via the concept of ‘affect’. To this end, the theoretical foundation is laid out in the first chapter. Exploring the usefulness of the performance approach to social media, this paper uses the concept of affect as an analytical lens to extract the political implications implied by the performances on social media. In the second chapter, the theoretical framework is applied to the actual case. First of all, the fake Choi Soon-sil Facebook account is dealt for how the theatrical subjunctive mood of can be performed on social media. The process of forming a live, co-present stage on Twitter or Facebook is examined. The stage can look like galleries where satirical paintings or writings are displayed, but promote social interaction of other followers by several other devices. Next, making up the process of ‘personal as political’ in social media such as “but, Choi Soon-sil?” hashtag movement is scrutinized. The movement is considered to have been the main driving force of the candlelight vigil movement. It was proposed by a broadcasting station PD in October 2016 and selected as the "noticed eyes of October" by the Korean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that month. Based on the above case analysis, the final section concludes that the performance stage-building process of social media was the one that performed affect and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social media as a performance stage are explored. It can be assessed that the performance space of social media described in this paper was full of the intensity of the sensory energy contained by the affect. In reality during the candlelight vigils between 2016 and 2017, ordinary citizens were frustrated and angered by the incompetence of the failed government and the ruling party. This despair and anger had a conscious physiological nature, a trait of emotion. However, when they came to play fake Choi Soon-sil on social media networks, upload satirical paintings or writings or hold performances sharing hashtags, what users recognized was more than simply explained by feelings of despair, anger or pleasure. Online Personas of social media users were powerless enough to have to get vicarious satisfaction with fake Choi Soon-sil Facebook accounts, howver, their attitude was strong and determined at the moment when they attacked the fake Choi Soon-sil and accepted her forgiveness. The satirical images and texts they captured in despair and anger were a mixture of pleasures and lightness. The identity of the self created by the users in the hashtag movement mixed with sincerity and artificiality, so the body may have been bound by everyday or online private spaces, but the mind was directed toward the square, an offline public area. Perception of the body’s modulated senses, and perception of the affect, in this betweeness triggered by social media space is the main factor that has spread the passion for candles across the on- and off-line. Filled with random, continuous, waterfall-like, amorphous and nonlinear intensity, affect is fed up with a complex network of social media relationships that trigger rhizome relationships. The missing self image, reflected back from the Phallus symbolism’s signifier is deleted from the network space of social media. Freed from the law of minus in which deficiencies prevail, the law of adding and sharing content on social media constantly spread. It is the only law of addition online that constantly uploads, copies, transports and shares. So without the suppression of self-reduction into the general category of Phallus, social media users simply added multilayered, complex, heterogeneous, disproportionate and noncommensurable practices to each other’s SNS accounts, based solely on the law of addition. If the flow of active energy is the intensity of the senses or affect, then it is the intensity of the affect that have been constantly added to the spread and increase of differences that are driven out of the theatre of social media and performed for the politics of trans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