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低炭素鋼의 衝擊靭性에 미치는 Ni첨가의 影響

        崔鐘述,任南彬,李敎星,朱珽崑 연세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98 논문집 Vol.8 No.1

        Three different heat treatment structures for Fe-0.14%C and Fe-0.14%C-6% Ni alloys were prepared by furnace cooling, air cooling and quenching these alloys from austenitic region, and then the effect of nickel on the impact toughness of these three different structures was inves-tigated by Charpy impact tester. In all heat treatment structures, ductile to brittle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lloy having nickel was lower than the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other alloy having no nickel. In the case of furnace cooled and air cooled structures, the hardness of the alloy containing nickel was higher than that of nickel free alloy. However, in the case of quenched structure, the hardness of the two kinds of alloy showed a same value.

      • KCI등재

        강의 Martensite 중의 잔류 Austenite 에 관한 X-선적 연구

        최종술,주정곤,이교성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77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15 No.5

        두 種類의 martensite合金, 즉 Fe-C基 martensite鋼(Fe-1.7%C)과 Fe-Ni基 martensite合金(Fe-27% Ni-0.14%C)을 마련해서, 이 두 martensite 조직 중에 含有된 잔류 austenite의 tempering 擧動을 X-線的으로 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Fe-1.7%C martensite 鋼의 잔류 austenite는 約 150℃×1hr tempering에서 分解하기 시작하였으며 280℃×1hr tempering에서는 거의 大部分 分解하였다. 2. Fe-1.7%C martensite 鋼中의 殘留 austenite의 (111)γ 回折線의 積分幅은 tempering 溫度와 더불어 增加하였다. 3. Fe-27% Ni-0.14%C martensite 鋼은 430℃까지 tempering하여도 殘留 austenite가 分解하지 않았다. 4. Fe-27% Ni-0.14%C martensite 鋼에 있어서 austenite의 積分幅은 360℃ tempering 까지는 거의 一定한 값을 나타내다가 그 以上 溫度가 增加함에 따라 減少하였다. Two types of martensitic alloy, Fe-C based martensitic steel (Fe-1.7%C) and Fe-Ni based martensitic alloy (Fe-27% Ni-0.14%C), were prepared and then the retained austenite decomposition behaviors of these alloys were investigated during tempering.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retained austenite of Fe-1.7%C martensitic alloy begins to decompose into bainite when tempered at 150℃ for one hour. On tempering at 280℃ for one hour, most amount of retained austenite contained in the alloy is transformed to bainite. (2) The integral breadth of retained austenite diffraction line increases as tempering temperature is increased up to about 280℃. This is because volume expansion occurs when the retained austenite is transformed to bainite. (3) In the case of Fe-27% Ni-0.14%C martensitic alloy, the retained austenite does not decompose although tempering is done up to higher temperature such as 430℃. (4) The line broading of retained austenite in the Fe-27% Ni-0.14%C martensitic alloy maintains a nearly constant value during tempering up to about 360℃, and then shows a decreasing value on further tempering at higher temperature than the point.

      • KCI등재

        Fe-Ni-C 합금의 Austenite 안정화에 미치는 가공도의 영향

        최종술,주정곤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79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17 No.2

        木硏究는 Ms點이 약 -28℃이며 炭素量을 0.33%까지 各組成으로 변화시킨 3種의 Fe-Ni-C 合金을 마련하여, austenite 組織에 직접 加工을 부여한 경우와 prior martensite 組織에 加工을 부여한 兩경우에 대하여, 加工度에 따른 austenite 安定化를 調査하여 相互比較하였으며, 또한 兩경우에 있어서 austenite 安定化에 미치는 炭素量의 影響도 아울러 調査하였다. Fe-Ni-C 合金의 austenite 相에 各種 加工度를 부여해서 -196℃에 深冷處理한 結果, 加工度가 증가할수록 martensite 中의 殘留 austenite量은 증가하였으며, 同一 加工度에서는 炭素量이 많은 鋼일수록 加工에 依한 殘留 austenite의 증가량은 많았다. 한편 Fe-Ni-C 合金의 austenitet相을 -196℃에 深冷處理하여서 된 martensite 組織에 各種 加工度를 부여한 後, 이를 逆變態시켜 다시 -196℃에 再深冷處理를 行하였을때, 加工度에 의한 盞留 austenite 증가량은 加工度와 더불어 증가되지만, 同一 加工度에서는 炭素量에 관계없이 同一한 증가량을 나타냈다. 그러나 모든 加工度에 있어서 Fe-Ni-C 合金의 austenite 安定化는, normal austenite相에 직접 加工한 경우보다, martensite相을 加工하여 이를 逆變態시켜서 된 reverted austenite의 경우가 더 컸었다. Fe-Ni-C alloys with Ms temperature of -28℃ were prepared by a high frequency induction furnace. Carbon content ranged from zero to 0.33 wt. % and nickel content was varied in accord with the above Ms temperature. Then the effects of deformation degree and carbon content on austenite stabilization of these alloys were investigated. When the austenite structures of Fe-Ni-C alloys were subjected to deformation at room temperature, the retained austenite content in martensite structure transformed from the austenite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deformation degree, and the increase in retained austenite content, at the same levels of deformation degree, became greater with increasing carbon content. In martensites obtained from reverted austenites of these alloy, prior martensites of which were subjected to deformation at room temperature, the retained austenite content was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deformation degree but the increase in retained austenite content at the same levels of deformation degree showed a same value, independent of carbon content. From the comparison between the above two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reverted austenite transformed from deformed martensite is more stabilized in subsequent martensite transformation than the deformed normal austenite, at all deformation degrees.

      • KCI등재

        제어압연한 Ni-Cr-Mo 강에서 변태집합조직과 미세조직

        한봉희,주정곤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93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31 No.4

        Using the method of crystallite orientation distribution functions analysis, the main components of the transformation textures in the controlled rolled high strength 3.4Ni-1.5Cr-0.4Mo steel were studied. The transformation textures of Ni-Cr-Mo steel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ly determined transformation textures of austenitic Fe-27Ni-0.28C steel similarly processed and the deformation textures of the parent phase prior austenite were deduced from the deformation textures of the austenite in Fe-Ni-C steel. It has been found that the main omentations of transformation textures in Ni-Cr-Mo steel finish rolled below the dynamic recrystallized temperature of the austenite are {332}<uvw> and a fibre texture running from {112}<uvw> to {111}<uvw> with a maximum at {223}<uvw> and those rolled at the dynamic recrystallized temperature are {032}<uvw> and {331}<uvw>. Comparison with the transformation textures in Ni-Cr-Mo and Fe-Ni-C steel showed that the deformation texture for prior elongated austenite in Ni-Cr-Mo steel could be expressed as a {110}<uvw> texture with components {123}<uvw> and {112}<uvw>.

      • KCI등재

        Fi-Ni-C 합금의 austenite 안정화에 미치는 가공도의 영향

        최종술,주정곤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78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16 No.2

        1. 緖論 準安定 austenite를 加工하여서 Ms점 이하로 急冷해서 된 martensite는 普通 燒入에 의해서 된 martensite보다도 轉位밀도가 훨씬 크다는 사실이 여러 硏究者들에 의해서 명확히 되었다. 그 이유는 austenite를 加工할 때 도입된 餘分의 轉位들이 전단변태중에 그대로 martensite에 도입되기 때문이다. 最近에 와서는 martensite를 austenite로 역변태 시킬때 martensite중의 高密度의 轉位가 그대로 austenite 中에 도입된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며, 또한 martensite에 prior deformation을 加한 후 역변태시켜서 austenite를 强化시키는 연구도 最近에 와서 行해지고 있다. 本 硏究에서는 Ms점이 약 -30℃이며 炭素量을 0.33%까지 各組成으로 變化시킨 3種의 Fe-Ni-C合金을 마련했다. 常溫에서, 準安定 austenite인, 이들 合金을 壓延 加工하여 -196℃(액체질소)에 深冷處理를한 경우와, martensite에 prior deformation을 加한 후 역변태시켜서 다시 深冷處理를 行한 이들 兩경우에 있어서, austenite安定化에 미치는 加工度의 영향에 대해서 조사했다. 2. 실험방법 실험에 사용된 合金은 Fe-32%Ni, Fe-27%Ni-0.14%C 및 Fe-23%Ni-0.33%C 鋼의 3種이었으며, 이들 合金을 열간압연을 行하여 所定의 치수를 갖는 시료를 제작한 다음, 다시 이로부터 각종 시편을 만들었다. 시편의 當初 두께는 各種 加工度를 부여한 후 最終두께가 약 1.5㎜되겠금 각각 변화시켰다. 이들 시편을 900℃×20分 진공중에서 가열한 후 常溫의 鹽水 중에 燒入하였다. 이들 시편에 대해서, (1) austenlite 상태를 加工하여 -196℃(액체질소)에 深冷處理한 경우와 (2) -196℃에 深冷處理하여 martensite 조직을 얻은 후, 이것에 加工을 주어 500℃의 鹽浴中에서 역변태 시킨 다음, 다시 鹽水中에 燒入하여 -196℃에 深冷處理하였다. 잔류 anstenite 량은 X-線 回折線의 積分强度를 求하여 측정하였다. 3. 실혐결과 Fig.1은 austenite 상태에서 각종 加工度를 부여한 후 -196℃에 深冷處理한 경우에 있어서 잔류 austenite 량과 加工度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Fig.2는 各合金의 martensite 조직에 각종 加工度를 주어서, 500℃에서 역변태 시킨 다음, 다시 鹽水中에 燒入하여 -196℃(액체질소)에 再深冷處理했을 때의, 잔류 austenite 량과 加工度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4. 결론 1) Fe-Ni-C 合金의 austenite 相에 각종 加工度를 부여해서 -196℃에 深冷處理한 결과, 加工度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炭素量이 많을수록 잔류 austenite 량이 증가 하였다. 이 이유는 加工을 한 3種合金의 austenite 硬度가 加工度 및 炭素量과 더불어 증가 했기 때문이다. 2) 위의 martensite 조직은 다시 역변태시킨후 -196℃에 再深冷處理하여도 (1)項의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3) Fe-Ni-C 合金의 austenite 相을 -196℃에 深冷處理하여서 얻은 martensite에 각종 加工度를 부여한 후, 이를 역변태시켜서 다시 -196℃에 深冷處理를 行했을때도 잔류 austenite 量은 加工度와 炭素量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이 이유도 역변태된 austenite의 경도 변화로써 잘 설명되어진다. 4) Fe-Ni-C 合金의 austenite 安定化는 모든 加工度에 있어서 γ - α' ← CW ← Reverted γ - α' 인 경우가 제일 크고 γ → CW → α' → Reverted γ → α'인 경우가 다음이며 γ → CW → α'인 경우가 제일 작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