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IFT와 트리구조를 이용한 내용기반 물체인식

        주정경(Jung-Kyoung Joo),이현창(Hyun-Chang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8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6 No.1

        최근 컴퓨터비전이나 로봇 공학 분야에서 가격이 저렴한 웹캠을 이용한 영상, 즉 2차원 영상으로부터 물체를 인식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로봇이나 비전에서 물체를 찾아내는 여러 가지 방향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로봇은 사람과 유사해져가고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사과를 보고 사과라고 알기 때문에 사과라고 인식하듯이 로봇 또한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는 가정 하에 내용기반의 물체인식이 필요하다. 그러나 엄청난 양의 내용의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다. 그래서 용량은 하드웨어기술로 커버가 가능하지만 화면상에 있는 물체들을 빠르게 데이터베이스상의 자료와 매칭이 되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를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알고리즘으로 BTS(Binary Search Tree)로 트리구조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베이스 중 빠르게 검색하여 화면에 있는 물체를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자궁내막 전체의 표재성 전파 동반 및 양측 난관 장막을 관통하여 양측 난소를 침범한 자궁경부편평세포암종

        주정경 ( Jung Kyung Joo ),강지현 ( Ji Hyun Kang ),주인숙 ( In Sook Joo ),박양순 ( Yang Soon Park ),이정원 ( Jung Won Lee ),서경용 ( Kyoung Young Seo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7

        Squamous cell carcinoma is one of the commonest malignancies of the uterine cervix and it is a significantly rare phenomenon of metastases to the bilateral ovaries by endometrial and transtubal spreading in the absence of lymph node involvement. The data is limited because it is still difficult to determine the optimal treatment and the prognostic significance is uncertain. We report a 66-year-old woman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stage Ia2, without previous radiation therapy, associated with superficial spreading squamous cell cervical carcinoma involving the entire endometrial cavity, bilateral tubes and bilateral ovaries.

      • 모체태아의학 : OB-05 ; 자궁목무력증 산모에서 응급 자궁목원형묶음술 시행 후 프로게스테론 추가 치료의 조산 예방 효과

        정은영,주정경,한보령,홍준석,오경준 대한산부인과학회 2014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0 No.-

        목적: 자궁목 개대가 발생한 자궁목무력증 산모에서 응급 자궁목원형묶음술 시행 후 프로게스테론 추가 치료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임신 17-24주 사이 자궁목 개대가 발생하여 응급 자궁목원형묶음술을 시행 받은 단태 산모를 대상으로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각각 응급 자궁목원형묶음술 후 프로게스테론 질정 200 mg (Utrogestan®, Bessins Pharma, France)를 사용한 군과 응급 자궁목원형묶음술만 시행한 군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일차 결과 변수는 임신 36주 이전 조산이었으며, 이차 결과 변수는 임신 28주, 32주 이전조산 및 신생아 사망 또는 주산기 이환율이었다. 결과: 응급 자궁목원형묶음술 시행 후 프로게스테론 질정을 사용한 군에서 자궁목원형묶음술 단독 시행군보다 임신 28주, 32주, 36주 이전의 조산의 빈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for all). 수술 주수, 자궁목 개대 정도 및 이전 조산의 기왕력을 보정한 후에도 프로게스테론 질정을 사용한 군에서 사용하지 않은 군보다 임신 36주 이전의 조산의 빈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신생아 사망 또는 이환율의 발생빈도는 프로게스테론 질정 사용군에서 더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응급 자궁목원형묶음술 후 프로게스테론 질정의 사용은 임신 28, 32, 36주 이전의 조산의 빈도의 소와 연관이 있었다.

      • KCI등재

        자궁근층 침윤을 동반한 일차성 자궁장막임신

        강민정 ( Min Jung Kang ),주정경 ( Jung Kyung Joo ),강지현 ( Ji Hyun Kang ),주인숙 ( In Sook Joo ),박양순 ( Yang Soon Park ),서경용 ( Kyoung Young Seo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3

        Ectopic pregnancy is reported to be 1.5%-2% of all pregnancies. Ectopic pregnancy varies with the site of implantation; abdominal pregnancy has been reported to occur in approximately 1% of patients with ectopic pregnancy. Especially, uterine serosal pregnancy is an extremely rare form of abdominal pregnancy. Although variable diagnostic imaging methods have been developed, accurate diagnosis of the abdominal pregnancy using noninvasive imaging study is still diffi cult. Delayed diagnosis leads to high maternal morbidity and mortality in relation to massive bleeding. Therefore, diagnostic laparoscopy or laparotomy is generally considered to patients with uncertain diagnosis of the abdominal pregnancy. We experienced a case of primary uterine serosal pregnancy that had a rupture of gestational sac with myometrial invasion. We finally confirmed a definite site of the ectopic pregnancy through laparoscopic exploration. That precise location could be not found by pelvic ultrason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e patient underwent a subtotal hysterectomy.

      • KCI등재

        Maternal Characteristics, Short Mid-Trimester Cervical Length, and Preterm Delivery

        조수현,박교훈,정은영,주정경,장지애,유하나 대한의학회 2017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2 No.3

        We aimed to determine the maternal characteristics (demographics, an obstetric history, and prior cervical excisional procedure) associated with a short mid-trimester cervical length (CL, defined as a CL of ≤ 25 mm) and whether having a short cervix explains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maternal characteristics and spontaneous preterm delivery (SPTD, defined as a delivery before 34 weeks). This is a single-center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3,296 consecutive women with a singleton pregnancy who underwent routine CL measurement between 20 and 24 weeks. Data were collected on maternal age, weight, height, parity, obstetric history (nulliparity; a history of at least 1 SPTD; and at least 1 term birth and no preterm birth [low-risk history group]), and prior cervical excisional procedure. In the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an obstetric history, prior cervical excisional procedure, and gestational age at measurement were the variable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hort CL. In contrast, maternal weight, height, age, and parity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hort CL. By using the likelihood of SPTD as an outcome variable, logistic regression indicated that short CL and obstetric history, but not prior cervical excisional procedu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PTD after adjustment for potential confounders. A history of SPTD and prior cervical excisional procedure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a short mid-trimester CL. A history of SPTD, but not prior cervical excisional procedure,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SPTD, independent of a short CL.

      • KCI등재

        한국여성에서 폐경 후 Drospirenone 2 mg과 17-β-Estradiol 1 mg 투여의 혈압 및 체중에 대한 효과

        신미영 ( Mi Young Shin ),위찬우 ( Chan Woo Wee ),주정경 ( Jung Kyung Joo ),강지현 ( Ji Hyun Kang ),주인숙 ( In Sook Ju ),서경용 ( Kyoung Young Seo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10

        목적: 폐경 후 한국 여성에서 Drospirenone 2 mg (DRSP)과 17-β-Estradiol 1 mg (E2) 투여의 혈압 및 체중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방법: DRSP/E2 투여 전과 3개월 후에 혈압과 체중을 측정하였다. DRSP/E2 투여 전 혈압이 정상혈압 (group 1, 대조군)과 높은정상혈압 (group 2)인 군의 혈압과 체중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항고혈압제를 복용 중인 고혈압 환자로 DRSP/E2를 추가 투여한 군 (group 3)과 투여하지 않은 군 (group 4, 대조군)의 혈압과 체중도 비교하였다. 결과: Group 1의 평균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은 변화 없었으나 (P=0.152/P=0.088), group 2의 평균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01/P=0.002). Group 3의 평균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P<0.001/P<0.001), group 4의 평균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02/P<0.001). 그러나 group 3의 혈압 감소가 group 4보다 유의하게 컸다 (P=0.041/P=0.024). DRSP/E2 투여 전, 후 체중은 모든 군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론: 폐경 후 한국 여성에서 DRSP/E2의 투여는 높은정상혈압 이상의 혈압을 낮추며, 고혈압 환자에서 항고혈압제와 병용시 더 크게 낮추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투여 전, 후 체중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Objective: To evaluate effects of Drospirenone 2 mg (DRSP) with 17-β-Estradiol 1 mg (E2) on blood pressure (BP) and body weight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Methods: BP and body weight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3 months of the treatment. We compared the change in BP and body weight between normotensive (group 1, control) and high-normotensive (group 2) group during treatment. And we compared the change in BP and body weight between hypertensive group receiving anti-hypertensive with (group 3) and without (group 4, control) DRSP/E2 during treatment. Results: The mean systolic BP/diastolic BP of group 1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baseline (116.9/75.0 mmHg) after treatment with DRSP/E2 for 3 months (116.1/73.2 mmHg) (P<0.152/P=0.088), however that of group 2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baseline (128.8/81.8 mmHg) after treatment with DRSP/E2 for 3 months (126.2/79.3 mmHg) (P<0.001/P=0.002). The mean systolic BP/diastolic BP of group 3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baseline (133.5/82.5 mmHg) after treatment with DRSP/E2 for 3 months (129.3/77.9 mmHg) (P<0.001/P<0.001), and that of group 4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baseline (133.2/80.7 mmHg) after treatment with DRSP/E2 for 3 months (131.0/78.3 mmHg) (P=0.002/P<0.001). However change in the mean systolic BP/diastolic BP of group 3 was greater than that of group 4 (P=0.041/P=0.024). There was no weight change in all four groups. Conclusion: The use of DRSP/E2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the BP of high-normotensive or above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and hypertensive patients receiving anti-hypertensive showed greater decline in B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body weight chang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