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과대학 학생들의 직업기초역량과 진로독서 실태 분석 -A 대학을 중심으로 -

        주용국,이종문,Joo, Yong-Kook,Lee, Jong-Moo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8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는 A 대학교 문과대학(인문, 교육계열) 재학생 457명을 대상으로 직업기초역량과 진로독서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를 파악,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직업기초역량의 경우 의사소통능력(평균 3.61), 대인관계능력(3.59), 문해력(3.40), 문제해결능력(3.39)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수리력(2.72), 사업가정신(2.89)은 낮았다. 둘째, 진로독서의 경우 65.2%가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유로는 '진로에 대한 책을 읽을 시간이 없어서' 46.3%, '진로와 관련해서 읽을 만한 책이 없어서' 25.8%, '진로에 대해서 궁금한 것이 없어서' 22.5%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업기초역량이 미흡한 학생이 상당수에 달하고 있는 점, 진로 자료 독서를 하고 있지 않는 학생이 65.2%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여 직업기초역량을 체계화하여 강화할 것과 진로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기 위한 체계화된 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할 것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d problems in reading for future careers and suggests approaches to solve the identified problems by analyzing the fundamental vocational competence and reading for a future career. The study included 457 students in the liberal arts college (humanities and education programs) at "A" university.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communication ability (average 3.61),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y (3.59), literacy (3.40) and problem solving ability (3.39) were relatively high in fundamental vocational competence, while numeracy (2.72) and entrepreneurship (2.89) were low. Next, 65.2% of those reported no reading for their future career. 46.3% answered 'no time to read books related to my future career.' 25.8% selected 'no books worth reading related to my future career.' 22.5% said 'no curiosity about my future career.' Considering that those who did not read any materials related to a future career reached 65.2% and a number of students had low fundamental vocational competence, this paper suggested the implementation of a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 for standardizing and strengthening fundamental vocational competence and enhancing understanding of future careers.

      • KCI등재

        중장년층의 활동적 노화 정책 및 사업 연구 : 서울특별시50플러스 사례를 중심으로

        주용국(Yong-kook Joo),신민주(Min-ju Shin)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중장년층의 활동적 노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첫째, 서울특별시50플러스 정책 및 사업사례를 분석하고, 둘째,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활동적 노화와 평생학습을 추진하기 위한 정책 및 사업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은 단일 사례연구를 활용하였으며, 사례의 분석틀은 정책 및 사업의 배경-환경, 이념-목표, 주체-대상, 과정-영역의 4가지로 접근하였다. 분석 자료는 서울특별시50플러스 정책 및 사업 관련 연구보고서와 관련 연구 자료, 재단 실무자의 간담회 발표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책 및 사업의 배경·환경에서는 고령사회로의 환경 변화 대응은 정책의 필수적 요소로 나타났다. 정책이념-목표에서는 ‘새로운 인생비전 창조’의 이념과 활동적 노화를 위한 일자리창출, 사회적 참여, 인생설계 측면의 3가지 측면의 정체성 접근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주체-대상측면에서는 정책의 실행 주체는 서울50플러스재단, 50플러스캠퍼스, 50플러스센터의 체계적인 3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나 대상은 50+세대(50~64세)로만 제한되어 있고, 희망자만 참여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과정-영역 분석에서는 중장년층의 특성에 맞추어 교육지원, 일·창업 지원, 상담정보 제공, 신노년문화 창조 활동 등의 프로그램이 연계적으로 부가가치를 높이도록 설계되어 있다. 향후 제언으로는 정책 및 사업은 중장년층의 특성에 맞추고, 지역의 산업과 대학 등과 연계하여 추진하며, 대상자의 확대가 필요하고, 사업 간 가치를 높이기 위한 연계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olicy and programs of the Seoul50Plus Foundation and to propose policies and programs to promote active aging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A single case study was utilized as a research method. The analysis framework of case was approached with four frameworks: the context of policy and program, ideology-goal analysis of policy and program, supplier and customer analysis of policy and program, and process and domain analysis of policy and program. The analysis data included the homepage content of the Seoul50Plus Foundation, related 50+ policy and program data, active aging research papers at home and abroad, and presentation and meeting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policy and program background and environment were essential elements for respon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aging society. In terms of the philosophy-goal, job creation, social participation, and approach to life design were systematically carried out for the ideology of creating a new life vision and promoting active aging. In terms of subject-target, the subject of policy implementation is systematically composed of three stages: 50+ foundation, 50+ campus, and 50+ center. The target was limited to 50+ generations(age 50~64) and had a problem that is limited to applicants. In the process-area analysis, programs such as educational support, work and entrepreneurship support, counseling information, and new-age cultural creation activities were designed to increase added valu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aged people. In conclusion, the future Seoul50Plus Foundation s policy and lifelong learning programs need to be systematically promoted through cooperation with businesses and universities, expanding the target audience, match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and linkage among programs.

      • KCI등재후보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평가 모형 탐색과 적용

        주용국(Joo, Yong-Koo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논총 Vol.40 No.-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평가 모형구안과 모형의 적용을 통한 산복도로 아카이브 평가와 개선방향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카이브 평가 모형은 아카이브 문헌자료와 마을 공동체 아카이브 사례에 기초하여 구안하였다. 산복도로 아카이브의 평가는 부산동구 아카이브 관련 문헌자료와 마을 아카이브의 시설과 웹페이지, 아카이브앱을 활용하였다. 개발된 평가모형은 기획, 수집 · 기록화, 활용, 평가 단계로 구분되어 있다. 기획단계는 정체성 구축과 자료의 범위 설정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집 · 기록화 단계에서는 아카이브 생산주체의 참여, 분류기준, 스토리텔링 요소 반영, 흥미성 · 교육성 · 다양성 · 접근성 · 사용편의성 · 유용성 · 추후사용의도의 반영 내용으로 구성되어있다. 활용단계에서는 Benjamin의 읽기와 성찰, 개인과 공동체의 성장이나 변화 방향성 설정과 실천 여부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가 단계에서는 기획단계, 수집 · 기록화 단계, 활용단계에 대한 평가와 아카이브 산출물에 대한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모형적용을 통한 산복도로 아카이브는 현재 설립에서 안정화로 이양되는 단계에 있다. 산복도로 아카이브의 발전 방향은 단순한 기록저장소가 아니라 인간 간의 관계 복원과 공동체 재생, 공동체의 발전에 대한 교류의 공간이자 기회이므로 인간 공동체 구성과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an evaluation model of local community archives. To develop the evaluation model, analyses of archives literature and Sanbokdoro archives practices were conducted. The developed evaluation model is divided into 4 phases. The planning phase consists of archive identity construction and scope setting. The collection and documentation phase consists of producers participating in the archive, classification criteria, storytelling elements, interest, educationality, diversity, accessibility,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use. The utilization phase consists of Benjamin’s reading, reflection, plan and implementation of growth of individuals and community development. The assessment phase consists of the formative assessments of each phase and the summative assessments of the outcomes of the archiv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pplying the evaluation model, the future directions of Sanbokdoro archives should focus on not data reservoir but the opportunity for development of human communities.

      • KCI등재

        유아핵심인성역량 수업을 통한 민화반, 동화반두 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 비교분석

        주용국(Joo Yong Kook),이은화(Lee Eun 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이 연구는 유아의 핵심인성역량을 함양하는 수업을 진행하는 동안 나타나는 두 유아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유아의 핵심인성역량 함양에 보다 현장성 높은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 및 분석방법은 유아의 핵심인성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두 개의 프로그램을 2016년 6월 17일 부터 7월 19일까지 각각 6회기씩 적용한 다른 유치원 교사 2명이 수업을 진행하면서 교사 자신의 실천적 교수역량을 분석한 자기수업관찰·분석, 성찰 저널쓰기를 기록하였다. 기록한 자료를 재분석자 2명이 양적·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재분석하는 객관적인 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을 수행한 후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기반 수업을 실행한 B교사 보다 민화중심 스토리텔링 수업을 실행한 A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이 보다 우수하였다. 둘째, B교사가 수업한 동화 기반 유아핵심인성역량 수업보다 A교사가 수업한 민화중심 스토리텔링 기반 유아핵심인성역량 수업이 현장 적응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유아의 핵심인성역량인 도덕적 대인관계능력 함양에 적합한 수업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민화중심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의 회기 수를 늘려 적용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요구되며 실제로 유아에게도 효과가 나타나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ractical teaching competencies of Minhwa(A) and Donghwa(B) classes two kindergarten teachers for children s core character competencies. A teacher was central storytelling class, and B teacher s folklore class based on the fairy tale. Two kindergarten teachers and two instructional professions were participated. For collecting data, their teaching in the classroom were videotaped, paper of instructional analysis, and they were asked to write journals. After that instructional professions with data analyzer were to reanalyze according to the practical teaching competencies criteria and reflection thinking level all of data that adop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findings in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folk paintings of storytelling classes to execute than teachers to launch the class based on fairy tales that b a teachers of practical teaching skills was better. Second, than the child core character capabilities based on a fairy tale to class have class teachers B a center folks A teacher was class child core character capabilities based on storytelling classes only high adaptability was the scene. Suitable for moral interpersonal ability, core character capabilities of the child, B was higher than A.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core character capabilities of the child folktales order to foster increased the number of storytelling program center after generalized to develop and implement programs as possible effect on the scene. Need to verify that the child to appear. Second, a comparative study with specialist teacher of class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analysis needed. Third, practical teaching skills composition factor analysis to establish the cause that did not appear for subsequent communication of research must be carried out need to be.

      • KCI등재

        관계론적 측면에서의 집단 열광

        주용국(Joo Yong-kook),황미소(Hwang Mi-so)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학논총 Vol.25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문화의 대표 속성인 인간이 맺고 있는 관계 속에서 가치를 구하는 관계론의 입장에서, 집단 열광 경험의 구성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집단열광 경험의 실증사례로서 롯데자이언츠의 응원집단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집단열광과 한국문화 관련 문헌고찰과 응원문화의 참여 및 비참여관찰, 열광팬 10명의 예비면담과 61명의 구조적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탐색된 집단열광의 구성요인은 16명의 열광팬으로부터 검증을 받았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집단열광의 의미는 ‘하나의 공동 목적을 위해 모인 사람과 사람이 만남과 공감을 소통하는 가운데 발현되는 긍정적인 에너지’이다. 집단열광의 구성요인은 6가지로 정체성, 신명, 몰입, 열정, 공감, 자기조직화로 나타났다. 집단열광의 효과는 개인적으로도 사회적으로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집단열광은 6가지 구성요인이 조화롭게 작동되는 메카니즘이다. 이러한 관계를 통해서 ‘우리가 우리’일 수 있고, 개인과 집단의 진화를 통한 개인과 집단의 성장과 발전을 거듭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 문화의 특성에 근거하여 한국인들의 집단열광을 분석하였다는 점과 도출된 집단열광의 요인을 조직이나 다양한 사회단체로의 전이를 위한 기초로서 탐색적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verify the mechanism of group enthusiasm of Lotte Giants support cultur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perspective based on Korean culture. For this purpose, a review of the literatures of the Korean culture, participative and non-participative observations, preliminary interviews with 10 Lotte Giant fa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51 fans were used. In addition, the factors of the mechanism developed through research were verified by 16 fans in terms of relevance and impor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eaning of group enthusiasm is defined a positive energy based on the relationship among people through interaction and sharing their feelings for individual, group, and societal grow and development. The group enthusiasm is realized through interactions among 6 factors: individual-group identity, high spirits, commitment, passion, sympathy, and self-organization. This study has a value to explore the factors of the group enthusiasm and the factors could be used as the basic reference for a diagnosis of group enthusiasm in organization or societal levels and a reference to enhancing group enthusiasm.

      • KCI등재후보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구성요소 및 인적자원개발 실행전략의 탐색과 적용

        주용국 ( Yong Kook Joo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0 HRD연구 Vol.12 No.1

        인적자원이 경쟁우위의 원천이라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구축과 인적자원개발의 실행 전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분석에 근간하여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구성요소와 인적자원개발 실행 전략을 탐색하였고, 도출된 구성요소와 실행전략에 맞추어 8개 국내 HRD 우수조직의 전략적 인적자원개발 구성요소의 실천 수준과 실행전략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의미는 조직 전략을 지지하고 실천하기 위한 계획 관점과 새로운 전략을 형성하기 위한 학습관점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다. 도출된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7가지 구성요소는 전략의 실행과 형성에 영향을 주기 위한 인적자원개발과 조직전략과 목표와의 적합성(fit), 지속가능한 경쟁우위 요소의 탐색과 파악, 전략실행의 지원과 형성, 경영층 및 리더의 지지와 적극적 참여, 환경 및 조직역량-인적역량-개인요구 간의 적합성 강화, 인적자원관리와 인적자원개발과의 연계성 강화, 전략적 인적자원개발 성과지표의 관리였다. 인적자원개발 실행 전략으로는 맞춤식 전략, 비용절감의 전략, 품질 제고의 전략과 혁신기반의 전략이 탐색되었다. 전략적 인적자원개발 구성요소와 실행전략에 근거하여 국내 8개 HRD 우수조직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전략적 구성요소에서는 중간 정도의 실천 수준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실행 전략은 대부분의 조직에서 내용영역(교육훈련, 역량, 가치, 성과) 중심으로 접근하고 있었으며, 전략의 일반적 의미인 자원 활용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는 않았으나 각 조직의 상황에 맞게 적절한 실행모델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탐색된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구성요소와 실행전략은 연구나 실무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을 진단하거나 전략적으로 실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ver the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on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SHRD) and its implementation strategy because human resources are considered as a core source for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The purposes of this paper were to explore the models of SHRD and HRD implementation strategy by literature reviews and to examine the present status of SHRD and HRD implementation strategy by case studies of 8 best HRD companies in Korea.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the meaning of SHRD have two main key words - supporting and implementing the planned business strategies in the field of HRD and helping new business strategies shape. This article proposed seven components of SHRD such as fit and/or integration between business strategies and HRD strategies; exploration and identification of key factors for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programmed learning for implementing business strategies and questioning-insight learning for shaping new strategies; support and commitment of top management and leaders; strengthening fits among environment changes, organizational competencies, human resource competencies, and employees` needs; alignment between HRD and HRM policies; management of SHRD performance indicators. Also, this article proposed HRD implementation strategies consisting of the customized focus strategy, cost leadership strategy, quality-based strategy, and innovation-based strategy for SHRD. Based on the results of 8 HRD strategy cases, the present status of SHRD leaves much room for improvement. Meanwhile, none of 8 companies came clean about their HRD implementation strategy in terms of resource utilization process for maximum effects. Finally, this articl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se SHRD components and HRD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both research and practice.

      • 기업내 인적자원개발(HRD) 담당자의 저량과 유량의 수준과 성과

        주용국(Joo Yong-Koo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인문학논총 Vol.12 No.1

        경쟁력을 갖춘 인적자원은 기업의 경쟁우위를 창출하는 원동력이며, 조직의 지속적 생존과 발전을 위한 전략적 요소이자 핵심자산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오고 있다. 기업은 인적자원의 능력개발을 경영전략을 지원하기 위한 핵심요소로 인식하여 투자를 강화하며 이를 추진하는 인적자원개발담당자의 전문성개발에도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다. 왜냐하면, 같은 투자라도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전문성에 따라 성과는 상당한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인적자원개발의 전문성 수준과 실태(stock 측면)를 파악하고, 채용ㆍ선임, 육성과 개발, 활용에 관한 경로(flow 측면) 및 성과측면을 조사하였다. There is a growing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HRD) practitioners as the strategic player for developing competent employees that are the ultimate source of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in a global business environment. Yet, over 40% of companies do not have any HRD practitioners and the awareness and support given to this important HRD function is still quite low. In addition, a large majority of the practitioners consider their HRD position a temporary marginalized one to fill for two or three years. Therefore, HRD practitioners lack the opportunity of developing any expertise needed for the position. Moreover, HRD may become something that is nice to do or a waste of business resources. This phenomenon results in hindering the development of competent and adaptable employees and a company's growth. In order to improve the expertise of human resource practitioners, this research seeked to assess the levels of stock and flow(selection-development-utilization) of HRD practitioners and their outcomes in organizations. The survey results found the following three methods to bring about an improvement in the expertise of HRD practitioners and establishing supportive job environments: First, it is the expertise, job environment and the job characteristics that improve performance in HRD rather than the size of the company or the form and size of the HRD department. Elements affecting performance were expertise, the participa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attitudes as well as regular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intra and inter company HRD education programs. With regards to a supportive environment, the connection between HRD and organization strategies, investments in HRD and the establishment of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ll played a part. The HRD job characteristics necessary to bring about positive changes were, sufficient learning and growth opportunities, feedback from top management, line managers and employees. For HRD stakeholders, the methods for enhancing sufficient learning and growth opportunities, feedback should have priority and first be implemented on over all other methods for improving business performance. In addition, companies where expertise is low or the support environment is inadequate should be targeted first for reform. Second, the belief that the position of HRD practitioners is a marginal one was revealed to be a myth. The old paradigm should be changed by replacing the existing reality and making the HRD practitioners strategic business partners; usage of their guidance, advice and knowledge in improving business management and job performance can be sought. If the above occurs an improvement in the employees' expertise will follow. Third, in order to enhance the expertise of the HRD practitioners, HRD roles and competencies required by a particular job environment must be identified, as do those of each company as well. In order to carry out its role as a strategic partner of the company, the HRD practitioners must also develop their business competencies (cost and benefit analysis, theories and practice of intellectual capital, and management by objectives) to strengthen performance in addition to traditional interpersonal competenci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building and communication network). They must also develop their analytical competencies (analyzing performance data, evaluation of training programs, the setting up of performance criteria, and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as well. Moreover, specific behavior indexes and best practices must be developed and promoted. These must be in keeping with the specific roles and competencies required by each company. These indexes and practices should be used in the employment, appointment, promotion and development of the HRD practitioners who should in turn apply this knowledge to their profession. The HRD practitioner must proactively seek to strengthen hi

      • KCI등재

        은퇴 후 부부의 여가활동 경험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생성감과 자아통합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주용국(Joo, Yong Kook),이양희(Lee, Yang Hee)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4

        본 연구는 은퇴 후 부부를 대상으로 여가활동 경험, 생성감, 자아통합감, 생활만족 간의 관계에서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생성감과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SPSS for window 21.0프로그램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먼저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주요 변인들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가설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 절차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 경험과 생활만족, 생성감, 자아통합감은 각각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연구모형에서 은퇴 후 부부의 여가활동 경험과 생활만족에서 생성감 및 자아통합감이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은퇴 후 부부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주는 직접효과보다 생성감과 자아통합감의 매개를 통해 생활만족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은퇴 후 부부를 같이 조사한 것이 아니라 은퇴 경험이 있는 당사자나 은퇴한 남편을 둔 부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함에 있어 한계가 있다. 이에 부부와 각자의 배우자가 생활만족을 느끼는 데 차이가 있고 이에 따른 변인 간의 경로 간 유의성에도 차이를 보일 수 있어 후속연구에 서는 아내와 남편으로 해서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generativity and ego-integr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y experience and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and to cla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this study, SPSS for window 21.0 program r and AMOS 18.0 were used. First,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mong the main variabl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Nex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fit of hypothesis model were confirmed. Finally, the bootstrapping procedure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isure activity experience, life satisfaction, generativity and ego-integration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Second, in the research model, there was a double-mediated effect of the generativity and ego-integration in the married couple s leisure experience and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The indirect effect that affects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greater through mediation.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collecting data on retirees who have retirement experience or retired husbands who hav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ense of life satisfaction between the couple and their spous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path between the variables may also differ. Therefore, the follow-up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analyzing only the couple.

      • KCI등재

        문과대학 학생들의 전공독서 실태 분석 연구: A대학교를 중심으로

        이종문,주용국,Lee, Jong-Moon,Joo, Yong-Kook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8 No.1

        본 연구는 A대학교 문과대학 학생들을 중심으로 독서역량과 전공독서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A대학교 문과대학에 재학 중인 1~4학년 남녀 학생 457명을 분석한 결과, 첫째 학과별 독서역량에 집단 간 어휘력과 독해력, 속독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전공독서 실태에서는 전체 학과에서 독서를 하지 않는 학생이 66.9%에 달하고, 그 이유가 교재만으로 수업과 과제수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라는 응답(67.7%)이 많았다. 셋째 전체 전공독서량을 조사한 결과 82.1%가 15권미만이고, 11.3%가 1권 미만으로 나타났다. 일주일간의 전공독서시간이 5시간미만 68.9%, 10시간미만 13.9%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문제(독서역량 학과 간 편차, 전공독서 여부 및 독서량, 시간 등)를 토대로, 전공독서의 양과 질을 넓혀갈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것을 제언한다.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liberal arts college students' academic reading, to explore basic issues in their reading, and to provide how to improve their academic reading in their majo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57 students who enrolled in a college of liberal arts in a university. The study results represented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ocabulary, reading comprehension, and fast-reading competence among student groups of different majors. Secondly, 66.9% of the students did not read widely in their major subjects throughout all departments. 67.7% of the students with low reading performance responded that they could complete college courses only with course textbook reading, course participation, and requirement submission. Thirdly, regarding the number of major subject books that the participants read, 82.1% of the students read less than 15 books, while 11.3% read less than a book. The students' academic reading hours during per week were less than 5 hours for 68.9% students and less than 10 hours for 13.9%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departmental differences in reading competence, wide reading in major subject books, and liberal arts students' reading hours), liberal arts colleges need to design programs to guarantee quality and quantity in reading major subject books.

      • KCI등재후보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김순희(Soon-Hi Kim),주용국(Yong-Kook Joo) 한국차학회 2015 한국차학회지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at a tea culture treatment program can enhance the cognitive ability and reduce depression in the elderly.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as 12 seniors at nursing homes and the control group was 12 seniors at the Social Services Center located in Busan.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were MMSE-K, scale of cognition, and the K-GDS, depression scale insp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 culture treatment program showed effect that improved the cognition competencies in the elderly. In terms of the sub-factors of cognitive function, compared to the pre-post inspection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orientation, memory and language section, and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attention and drawing. Second, the tea culture treatment program showed effect that improved depression in the elderly. In terms of the sub-factors of depression,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nervous, depressed emotions, helplessness, loss of motivation, and energy degradation, but there was no change in the life dissatisfaction and cognitive disorder. Third, in terms of the qualitative results of the personal change, seniors improved in cognition, sociability, reduced depression through group activities, and increased positive image for themsel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