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혁신 조건과 경영적 과제에 관한 탐색 연구

        주미옥,임희영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22 産業關係硏究 Vol.32 No.1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비대면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관련 IT 산업이 급성장하면서, 다시금 디지털 전환이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사회 전 반에서는 신산업 성장의 동력으로서의 DX와 혁신 성과로 창출될 수 있는 DX 여건, 그리고 그 과제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또한, 많은 전문가는 DX로 인한 변화가 긍정적인 성과와 부정적인 성과 모두를 담고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DX 변화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체감 하는 조직구성원들은 이를 어떻게 수용하고 있으며, 디지털 기술의 어떤 측면을 장애와 기회 요인으로 센스메이킹(sense-making)해 가고 있는지 에 대해서는 탐색적 논의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로 DX로 인한 성과 및 예측 결과를 주로 다루었던 기존 연구와 달리, 조직구성원이 DX 현상이라는 복잡하고 불확실한 상황을 어 떻게 수용하고 대처해 나가는지 근거이론 방법론을 통해 면밀히 살펴보고 자 하였다. 연구 결과 DX 혁신에서의 장애요인, 기회요인, 촉진 요인, 기대 성과를 도출함으로써 DX의 센스메이킹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바 탕으로 본 연구는 향후 DX의 혁신 조건을 제안하며, 단순히 디지털화에 의해 개인이 수동적으로 환경에 흡수되고 대체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리터러시와 같은 DX 주요 역량을 통해 어떻게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갈 수 있는지 DX 혁신의 경영적 과제들 다양한 분석 수준에서 제안하였다.

      • KCI등재

        시대적 변화로 살펴본 공공미술과 공동체미술의 향후 방향성 연구

        주미옥(Mi Ok Ju)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1

        20세기 후반 이후는 ‘공공성의 시대’1)라고 할 만큼공공성이 사회적 정의의 흐름을 정하는 기준이 되고 있다. 19세기 후반 산업화의 영향으로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가 생겨나면서, 이에 맞는 공간과 편의 시설들에 대해 ‘공공’의 개념이 강화되기 시작했다. 이 공공의 개념에 생활의 편의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미술’을 매개체로 사용하면서 ‘공공미술(Public Art)’이라는 개념이 생겨나게 되었다. ‘미술’이 매개체로 활용될 수 있었던 것은 삶의 외형적인 모습을 아름답게 변화시켜 주는 것뿐만이 아니라, 공공미술과정과 결과에서 이루어지는 직·간접적인 행위들이 사람과 사람, 사람과 집단, 집단과 집단과의 극단적 행위들을 어떤 다른 유형의 행위보다도 ‘유연’하게 해결하는 모습들을 보아왔기 때문이다. 1980년대 이후 ‘공공미술’은 공동체간 소통의 매개체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를 “공동체 미술(Community Art)”이라고 한다. 공동체간의 소통과 공동의 목적, 예를 들어 환경개선(Recycling), 생태(Eco), 방범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 Design)·안전(Safe) 등의 여러 가지 목적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물론 이전에도 비슷한 유형의 행위는 있었으나 이를 명명하며 표면화하는 시점으로 논하는 것이다. 이 공동체미술은 여러 사람이 속한 공동체에서 행해지는 미술로 ‘유연한 소통’이 성공과 발전을 좌우한다. 공동체미술은 실물적작품의 수준보다도 공동체구성원의 참여와 소통행위가 관념적 가치로 높이 평가되어지는 분야이다. 연구범위는 국내·외 공공미술과 공동체미술의 정책과 사례를 조사·분석하여 내용별·시대별 특 장점을 파악하고 향후 우리나라의 공공미술과 공동체 미술의 전개방향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국내·외 정책과 사례를 논문과 단행본, 기관 및 연구소 보고서, 보도자료, 도서·출판물 등 문헌조사와 인터넷을 통한 국내외 정보 D/B를 통한 고찰로 진행되어졌다. 본 연구는 앞서 언급한 공공성의 시대와 1930년대에 이후 도시재건과 실업자 구제차원에서 시작 되었던 공공미술이 여러 시대를 거쳐 어떻게 다양하게 변화 되었는지를 살펴보고, 공공미술과 공동체미술이 앞으로 어떻게 변화 될 것인지에 대한 방향성을 알아보는 것이 연구의 주요목적이다. 이는 국내 공공미술과 공동체미술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 쓰여 질 수 있으리라고 본다. 공공미술과 공동체미술은 미술이 주도적으로 추구해 왔던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뿐만이 아니라,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특수한 목적’이 ‘구체적’으로 포함된 사업으로 심화되어 전개될 것이다. 미술전문가 중심이었던 대부분의 사업들이 비전문가와 관계공무원, 주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조’, ‘참여’의 형태로 넓은 범위의 관계도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넓어지고 비전문가 집단이 참여하게 됨으로써 미술의 ‘범위’에 대한 논란도 가중되어질 것이나, 이 논란은 대중과 공동체의 공동 목표가 성공적으로 달성되어진 다면 크게 문제화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공공미술의 표현방법에서도 특정장소뿐만이 아니라 온라인, 온라인과 특정장소와의 연계, 공동체와 온라인과의 관계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Publicness became the criteria to prescribe flow of social justice as the latter part of 20th century is called ‘the age of publicness’. As ‘cities’ with high population density due to the impacts of industrialization in the late 19th century were created, concept of ‘public’ was strengthened for appropriate spaces and convenience facilities. As ‘art’ is used as media affecting living convenience and quality of life, the concept of ‘public art’ was generated. The reason why the ‘art’ could be used as a media is because it not only changed the appearance of life beautifully but also solved the extreme activities between people, between people and group and between groups in a ‘flexible’ way more than any other types of behaviors. Since 1980s, the ‘public art’ began to be used as a media of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ties. It is called as ‘Community Art’. It is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and common purpose between communities for example recycling, eco,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and safety. Of course, there are various similar behaviors before, but it began to name and express it apparently. This community art is an art performed within the community and ‘flexible communication’ determines success and development. The community art is the area wher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of the community member are highly evaluated as conceptual value. The scope of study is to survey and analyze domestic and overseas public art and community art policy and examples to figure out features by contents and period and to discuss the progress of the public art and community art in Korea. As for the methodology, the study performed literature review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policies and examples by means of articles, monography, reports of institutions and research centers, press release, book and publications, and examination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information DB through internet. The study examined how the public art, which began at the level of city reconstruction and unemployment relief at the age of publicness and after 1930s, has been diversly changed, and how the public art and community art are changed in terms of its direction.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would be a reference for the pursuit of the direction of domestic public art and community art. The public art will be deepened and progressed as a project including ‘special purpose’ of the public place and community ‘specifically’ as well as the desire of ‘beauty’ which the art has pursuit actively. Most projects that were mainly centered with the art experts, will expand its scope of relation in the form of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with non expert, related public officers, resident and experts in various areas. While the wide participation with non-expert group will intensify the controversy of the ‘scope’ of art, as long as the common target of the public and community is achieved successfully, it will not be much problematic. As for the expression method of public art, it will be performed in various methods such as online, connection between online and specific place and relatioin between community and online as well as specific places.

      • KCI등재

        색채 이미지별 도심화단 디자인을 위한 자연색채 분석연구

        주미옥(Mi Ok Joo),김수민(Su Mi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도심속 화단은 현대 생활 속에서 자연을 통해 심신을 휴식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작용하며, 도시이미지를 형성하는 미적 가치를 가진다. 도시는 상업지, 주거지,업무지, 역사문화지 등의 다양한 성격과 이미지를 가지며, 도심화단은 도시 이미지와 성격에 맞는 체계적인 색채가이드라인을 통해 색채 배색이 되고 디자인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화단 배색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본 연구에서는 도심화단에 식재되는 다양한 화훼와 화목류 중 화목류 117종에 대한 색채조사와 이미지별 분류를 진행하였다. 화목류 117종의 꽃, 열매, 잎의 색채를 분석하여 색채현황을 알아 보았고, 색채값은 먼셀기호, L*a*b*값으로 표현하여 그 분포도를 조사하였다. 그 중 다양한 색채가 나타난 화목류 꽃의 색채값을 이용하여 색채이미지별로화목류를 분류하였다. 색채이미지는 고바야시 색채이미 지스케일을 사용하여 배색의 기준으로 하였다. 또한, 결론을 통해 각각의 이미지별로 배색에 사용될 수 있는 화목류의 종류를 분류하여 식재에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권장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된 색채 자료는 화단 조성시,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맞게 적용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Forming an image of a flower bed in the center of the city, as well as the aesthetic value of nature in modern life that can break through the mental and physical space to function. The city flower beds according to a systematic color image color scheme and the guidelines should be designed. In this study, the center is planted in a flower bed Species of Flowering Tree 117 kinds of flowers, fruit, leaves the status of the colors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colors, symbols Munsell color value, L*a*b* values and its distribution were expressed as . The various hues of the color of the flower appears Species of Flowering Tree value for the color images were classified by Species of Flowering Tree, Color images on the basis of the color image scale was divided into four major areas. In addition, the conclusions of the color image, each categorized by the application of the guidelines for Species of Flowering Tree was recommend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position of the color data at the flower bed, to adapt to the image that you want to express it is considered to be the basic material.

      • KCI등재

        행위지원형 공공미술을 활용한 자연감시기능강화

        주미옥(Ju Mi Ok) 한국셉테드학회 2015 한국셉테드학회지 Vol.6 No.2

        도시화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유형의 범죄가 늘어나고, 이는 시민의 기본적인 안위를 위협하는 심각한 요인이 되고 있다. 범죄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만드는 것은 경찰뿐만 아니라 개인과 공동체사회 전체가 부담해야 하는 과제이다. 범죄를 줄이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범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는 전문기관의 조직적이고 전문적 기술이 행해져야 함은 물론이고 시민들의 일상적인 삶에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요소를 도입하여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범죄예방에 필요한 물리적, 심리적 환경 개선을 위해 공동체의 노력과 기관의 공적 업무도 필요하지만, 이로 인해 개선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안은 공동체의 ‘관심과 참여’이다. 셉테드 원리 중 ‘행위지원(Activity Support)’은 시민들의 일상적인 삶에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행동들을 지원한다. 공공미술을 활용한 행위지원을 통해 공동체의 공감ㆍ소통 시간을 자연스럽게 늘려 거리의 눈(Eyes on the Street)을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자연적 감시(Natural Surveillance)기능을 확대하는 것이다. As heavily populated mega cities have emerged since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late 19th century, the concept of “public” has become increasingly significant in the fields of space, urban and environmental design. Indeed, public or publicness has become such a significant measure that it has become enough to refer to the present as the “Public Age.” At times, the public has become a means to measure levels of welfare or social justice. In other instances, the public has been associated with public norms and order comprised of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components which form and move society in big cities, and are essential for keeping cities safe. There are theories that argue crime occurs when public norms and order are disturbed, and an increase in new types of crime accompanying urbanization has become a serious threat to the basic safety of citizens. The creation of a responsive and safe environment from crime is a task not only of the police, but also of individuals, institutions, and the entire community. The most effective means for supporting improvements in the physical and mental environment include securing community interests and participation or in CPTED terms, “activity support.”

      • KCI등재후보

        학교영역 단계별 범죄예방 환경설계 전략

        주미옥(Ju Mi Ok),이창훈(Lee Chang Hun) 한국셉테드학회 2017 한국셉테드학회지 Vol.8 No.2

        아동 및 청소년은 신체적으로나 상황인지 측면에서나 방어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부모의 보호 하에서 벗어난 시간 동안은 모두 범죄피해에 노출되어 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에 따라, 국내 교육 실정 상,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고 있는 아동 및 청소년들의 학교 내 범죄 피해가능성은 여러 측면에서 논의가 되어 오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또래 집단 간의 학교 내 폭력에 집중해 오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최근 언론보도 및 통계에 따르면 그 어느 곳 보다 안전해야 할 학교에서 강도, 강간, 상해 및 폭행, 성추행, 흉기난동 등의 범죄가 다수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사건의 가해자 혹은 피해자가 아동 및 청소년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아동 및 청소년들이 학교에서 범죄에 노출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반증이라고 하겠다. 안타깝게도, 실무적 관점에서 지금까지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연구들은 학교의 접근통제의 주요소인 출입구를 영역적 단계별 및 기능적 특성별로 구분하고 있지 못하며, 이에 따른 각 영역별 범죄예방 환경설계 지침을 제시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라는 물리적 공간에서 발생 할 수 있는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영역의 단계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범죄예방 환경설계의 관점에서, 학교 영역을 1~3단계 접근통제 영역(1단계 접근통제 영역: 교문 및 담장, 2단계 접근통제 영역: 학교건물 출입구, 3단계 접근통제 영역: 교실 및 기능실 출입구)으로 구분하였으며, 잠재적 범죄자가 무단출입을 하지 못하도록 각 영역에 필요한 중점 학교시설 범죄예방 대책과 설계 및 운영 매뉴얼을 제시하였다. Youths are vulnerable for their physical immaturity and psychological underdevelopment. It is reasonable to argue that they are at risk of crime victimization unless they are closely protected by their parents or teachers. Due to the fact that Korean students spend a significant portion of daily hours in school environments, a great number of studies has focused on school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to prevent school violence in and around schools. However, recent incidents showed that offenders had access into school territory and committed serious crimes with no difficulty. This indicates that school CPTED should more focus on access control and natural surveillance principles of CPTED. In this sense, this study investigated strategies and legal policies of school CPTED in Japan, U.S., and England. Based on results from case studies, this study differentiated three distinct school territories: The first territory means outer boundary including playgrounds and school buildings, The second territory means school buildings including classrooms and administration offices. The third territory means classrooms and administration offices. This study argued that specific and distinctive strategies for access control and natural surveillance should be developed for each territory. Based on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including school CPTED manual.

      • SCOPUSKCI등재

        한국적 색채추출을 위한 한국 자연색채 분석에 관한 연구 - 자생화종 446종을 중심으로 -

        주미옥,최원석,김현준,이태영,권영휴,김수민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12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5 No.5

        우리문화의 정체성 확립과 국가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해 한국적 색채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전통색채와 한국인의 색채의식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한국 전통색과 색채의식은 자연환경적 요인에 의한 색채이며 자연에서 색을 얻어 구현되었다. 이에 우리나라의 식물자원을 조사하고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진행되었고, 식물자원 중에서도 오래전부터 우리나라 자연환경에 적응해 자라온 자생화종 446종의 색채에서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자생화종 446종의 색채를 색상, 명도, 채도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10개의 색군집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빨간색은 34종으로 7.6%를, 주황색은 8종으로 1.8%, 노란색은 88종으로 19.6%, 파란색은 22종으로 5.1%, 연보라색은 32종으로 7.3%, 분홍색은 18종으로 4%, 보라색은 28종으로 6.2%, 자주색은 45종으로 14.2%, 흰색은 159종으로 35.5%, 기타 녹색은 11종으로 2.6%로 분류되었다. 조사된 자생화종의 색채를 먼셀분포표를 통해 색채의 분포와 색채이미지스케일을 통해 색채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빨간색과 주황색은 중·저명도의 중채도에 분포하였으며, 노란색은 고명도 중채도의 분포를 나타냈다. 파란색~자주색의 색군집은 2이상~10미만의 다양한 명도와 채도에 분포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색채이미지는 전반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나 특히 부드러운 이미지 성향의 ‘온화한’ ‘내추럴한’, ‘맑은’, ‘경쾌한’ 이미지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고유의 역사가 담긴 정체성 있는 자연색채로서 조화로운 온화한 한국색채의 특성을 만들고 색채의식적인 면에 영향을 주었으리라 생각한다. 이러한 고유 자생화종에 대한 가치를 높이고, 자연의 정체성을 부각할 수 있는 활용방안에 대한 2차적 연구를 기대한다.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of unique Korean colors is increasingly stressed to accelerate our cultural identity building and the improvement of national brand images. At present, a lot of studies have examined traditional colors and the color consciousness of Korean people. Basically, Korean traditional colors and color consciousness have been under the influence of natural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lant resources in our country. It's specifically meant to investigate the colors of 446 kinds of native flowers among the plant resources, which have long grown wild in our country. When the hue, value and chroma of the 446 kinds of native flowers were analyzed, they were categorized into 10 color groups. 34 kinds of native flowers that accounted for 7.6 percent were red, and eight kinds that accounted for 1.8 percent were orange. 88 kinds that represented 19.6 percent were yellow, and 22 kinds that accounted for 5.1 percent were blue. 32 kinds that represented 7.3 percent were light purple, and 18 kinds that accounted for four percent were pink. 28 kinds that represented 6.2 percent were purple, and 45 kinds that accounted for 14.2 percent were redpurple. 159 kinds that represented 35.5 percent were white, and 11 kinds that accounted for 2.6 percent were green. Munsell distribution tables were used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the colors of the native flowers and the scale of their color images to determine their color images. As a result, it's found that the reds and oranges had an intermediate or low value and an intermediate chroma, and that the yellows had a high value and an intermediate chroma. The value and chroma of the color groups from the blues to the purples were diverse, ranging between 2 and less than 10. And there were three different kinds of soft color images in the native flowers: ‘cheerful,’ ‘natural’ and ‘elegant.’

      • SCOPUSKCI등재

        공동주택의 조경 유지관리현황 및 개선방안 - 경기도 지역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

        김현준,이태영,김수민,주미옥,권영휴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12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현재 공동주택에서 조경 식재 유지관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찾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190개소 공동주택 관리소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연간관리비용이 500만원미만인 곳이 141개소로 75.4%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관리 비용의 부족으로 인해 조경유지관리회사에 위탁관리를 맡기지 못하거나 일부 관리 공종만 위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대부분 관리사무소에서 직접 유지관리를 실시하고 있어 모든 공종에 대한 충분한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관리비용은 관리의 질에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근본적인 요인이나, 관리비용을 늘리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려운 문제이다. 그러나 최근 조경에 대한 주민의식 향상에 따라 조경관리비용의 필요성 및 타당성을 알리고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며, 주민들을 대상으로 조경관리에 지불할 수 있는 관리비용을 설문조사 등을 통해 알아보고 적정한 관리비용을 산정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74.7%에 해당하는 공동주택이 관리사무소에서 직접 관리를 실시하고 있었으나, 83%에 달하는 대부분이 조경 비전문가로서 전문적인 관리를 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관리사무소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조경 전문 과정을 통해 조경 관리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조경관리 전문가의 양성이 필요하다. 전체 공동주택 중 매뉴얼을 보유하고 있는 곳은 72곳으로 37.9%에 그치고 있었으며, 매뉴얼의 내용부족 및 불명확한 기준과 표현 등으로 만족도 또한 높지 않게 나타났다. 조경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매뉴얼을 통한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하는 쉽고 자세한 설명의 매뉴얼 제작 및 보급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상과 같이 공동주택 조경 관리에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앞으로 각 공종별 관리 현황 및 개선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and analyze the management status of landscape plants on an apartment complexes in Gyeonggi-do, Kore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partment complexes whose annual management cost is less than 5,000 thousand won were 75.4%. Because of budget crunch, they couldnʼt entrust the management to landscape management company. So they managed their own that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all kinds of management work. In 74.7% apartment complexes, their apartment managers managed landscape for themselves. And 83% of them were laymen, so that it is difficult to manage the landscape in detail and professionally. In 62.1% apartment complexes, they didn't have the manual for landscape management. There were problems such as the above mentioned. To improve the landscape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annual management cost and to make a landscape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and to propagate the landscape management manual for apartment complexes so that anyone who does not have specialist knowledge about landscape management.

      • SCOPUSKCI등재

        화단용 유통 화훼 285종의 색채와 색채 이미지 분석

        김수민,김현준,이태영,권영휴,주미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11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4 No.6

        본 논문에서는 화훼의 색채 이미지를 이용한 화단적용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자료를 얻고자 화단용 유통화훼 285종의 색채 및 색채이미지스케일에 의한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색상은 Red 54종, Yellowred 13종, Yellow 40종, Blue 8종, LightPurple 9종, Pink 31종, Purple 15종, Redpurple 40종, White 65종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285종의 화훼 색채를 색채이미지스케일에 대입한 결과 경쾌하고 화려한 이미지를 갖는 것은 130종, 은은한, 온화한, 맑은, 자연적인 이미지에 해당되는 것은 122종, 모던한, 혁신적인 이미지를 갖는 것은 15종, 고상하고 점잖은 이미지를 갖는 것은 18종이었다. 전체 285종의 화훼는 딱딱한 이미지 보다는 부드러운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정적이면서도 동적인 양쪽의 이미지를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화훼 종류별에 따라 구명된 색채 이미지는 화단 조성시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맞게 적용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data on development in guideline with application of flower bed by using color image of flower. It surveyed 285 species of flowers under distribution for flower bed, and analyzed image by color image scale. Color was classified into Red with 54 species, Yellowred with 13 species, Yellow with 40 species, Blue with 8 species, LightPurple with 9 species, Pink with 31 species, Purple with 15 species, Redpurple with 40 species, and White with 65 species. As a result of substituting these 285 species of flower colors for the color image scale, they were 130 species for having cheerful and colorful image, 122 species for corresponding to quiet, warm, clean, and natural image, 15 species for having modern and innovative image, and 18 species for having elegant and decent image. The totally 285 species of flowers were indicated to have soft image rather than hard image, and to have both static and dynamic images. In this way, the color image, which was closely examined by flower kind, is considered to be likely basic data in application in line with image, which is desired to be expressed, given forming flower b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