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평면 위상 배열 안테나를 위한 광각 원형 슬롯 패치 안테나

        조현영(Hyunyoung Cho),김솔(Sol Kim),이지훈(Jihoon Lee),유종원(Jong-Won Yu)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평면형 위상배열 안테나의 넓은 스캐닝 범위가 요구되고 있지만 기존 사용되는 패치 안테나를 사용 경우, 단일 안테나의 빔 패턴 제한으로 스캐닝 범위가 제한된다. 본 논문에서는 모든 방위각에서 넓은 앙각을 가지는 슬랏 스택 패치 안테나를 제안한다. 30° ~ 90° 부근에서 높은 이득을 가져 평면형 위상 배열 안테나에 적용될 시, 넓은 스캐닝 범위를 지닌다.

      • KCI등재

        상황주의 교수설계론: 실천의 관점에서의 재고

        조현영 ( Hyunyoung Cho ),손민호 ( Minho Sho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교육과정연구 Vol.33 No.4

        교육이론에서 상황주의 패러다임이 제시된 이후 학교 안팎의 프로그램이나 교수과정에 관한 이해 및 설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쳐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설계 모형들에서는 상황주의의 취지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않은 채 기존의 이원론적인 패러다임과의 차별성을 찾기 어렵다. 본 연구는 상황주의 학습론이 일원론적인 논리를 견지하면서 교수이론으로서 정립가능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해보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하나의 방법으로 실천을 분석과 설계의 단위로 설정할 수 있는지 타진해보고자 하였다. 많은 상황기반 교수설계론이 상황인지라는 일원론적인 논리를 제대로 견지하지 못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는 상황학습에서의 실천의 속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비롯되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상황학습의 실천적 측면에 주목한다면 상황주의 교수설계론에서는 인지나 이해에 기반한 종전의 접근과는 달리, 패턴화된 상황 직접적이고 비매개적인 행위가, 그리고 지식의 논리적 순서보다는 상황의 시간적 흐름에 따른 비선형적인 시계열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 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상황주의 패러다임이 교수설계의 연구 및 디자인에 있어서 종래의 인지주의와 왜 총체적으로 다른 프레임의 접근을 요구하는지 보여주고자 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 different approach for the design of education under a situational paradigm. Many educational designs under such programs still tend to approach the world in terms of irreducible dualisms between actor/system, social/material, body/mind, theory/action, and visible/invisible.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introduces a practice-based approach to bring the situatedness of learning and instruction into view. The study of situated practices is expected to respond to the ne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s between prescribed models and real practice. First, “context” can be viewed as the objects of direct actions.Knowledge in use, and learning by practice, proceed in unmediated perception and action with emotional interaction, in which practice makes the setting visible and hearable, and thereby accountable. This requires a different way of designing knowledge in use and learning by practice,while it reconsiders learning by doing. Second, context can be viewed as non-linear temporal sequences that inquire about relevancies between the current and the next situation. In the procedure of work, step-by-step inference and practical actions have demonstrated ad hoc inference and practical actions. Taking situational properties into consideration, problems and solutions are the characteristics of puzzle formation and its dissolution, in that a problem and its solution are occasionally negotiated and determined in situ. The problem formation and its dissolution are negotiated and improvised in a turn-by-turn procedure by emerging the situation in which the next inference finds its way; a turn-by-turn procedure provides a local environment.

      • KCI등재

        『실낙원』에 그려진 이브의 성장과 대화의 교육적 효과

        조현영 ( Cho Hyunyoung ) 영미문학연구회 2021 안과 밖 Vol.- No.51

        John Milton’s Paradise Lost has long been viewed as a paradigmati-cally patriarchal text and as such has been a subject of intense feminist criticism. While the attacks on the apparent misogyny of the poem have been defended by many, the criticism voiced by Wollstonecraft and many other women readers that in Milton’s poetic world, women exist for men, rather than as independent human beings, has not been properly answered. Drawing upon recent discussions of the theatricality of Paradise Lost, this article attempts to suggest ways to read some key problematic moments in Paradise Lost as scenes of drama in which the characters’ words and actions need to be seen as those of characters rather than of the author. In Milton’s text, Eve’s recollection of her birth, for example, is intentionally portrayed as a female gendering process by the voice of patriarchy and is strategically placed to illuminate the genesis of the subordinate Eve whom readers first encounter in Book 4. The fundamental violence involved in that process and the resulting underlying tension, I argue, erupt to the fore in the couple’s morning debates in the “separation scene” in Book 9, leading to Eve’s rebirth as an actor and independent human being. In that scene, non-prescribed dialogue and debates facilitate the vocalization of inchoate ideas and self-discovery, serving as a key threshold in Eve’s education. As such, the scene, I suggest, illustrates the pedagogical criticality of peer interactions in the bildung of independent citizens.

      • KCI등재

        ‘학습을 위한 상황’에서 ‘상황에 대한 학습’으로, 학습 디자인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가 - 과학과 탐구수업의 사례 분석

        조현영 ( Cho Hyun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3

        이 연구는 상황학습이 애초에 의도한 바와는 달리 여전히 머릿속 학습을 지원하는 학습 환경이나 도구들을 설계하는 ‘학습을 위한 상황’이라는 관점에 머물러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상황기반 교육 설계론이 상황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이유는 첫째로, 그것이 내포한 일원론적 의미의 난해함 때문임과 동시에 둘째, 상황의 역동적이고 가변적인 특성을 일반적 모형이나 설계에 반영하기 어렵다는 점 때문이다. 연구에서는 상황학습의 이러한 난점들을 극복하고 하나의 교수설계이론으로서 정립가능한 방법을 탐색해보기 위하여 경험이나 학습의 분석 단위로서 ‘실천’이라는 행위의 전개과정을 상정하고 이를 통해 ‘상황’개념에 대하여 재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황주의 패러다임이 실천을 분석의 단위로 삼음으로써 어떻게 교수설계에 하나의 이론적 기반으로서 총체적으로 다른 접근을 요구하는지 정리해 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한 분석의 사례로서 초등학교의 과학탐구수업의 장면을 면밀히 살펴보았다. 과학탐구수업은 학교 수업가운데 비교적 지식에 대한 맥락적 학습이 이루어지는 장면으로 여겨지곤 하는데, 과연 학생들의 과학 실험실 경험이 어떠한 경험을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들을 살펴보았다. 그렇지만 이러한 논의는 과학탐구수업이 갖는 문제점이나 한계를 지적하기 위함이 아닌, 참된 학습이 갖는 본질적 의미에 대하여 재고찰해보기 위함이다. 이는 결국 경험과 지식, 이론과 실제라는 이분법적 논리에서 벗어나 ‘상황’이라는 개념을 통한 생성적이고 살아있는 학습의 과정으로서 상황학습의 의미를 재음미하고, 이를 통해 실제 교수학습 설계에 대한 새로운 논리와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bring practice & practical reasoning into view, analyzes the students` inquiry process in a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Recently situational paradigm of learning demonstrates new ways of learning design, authentic context for learning. This approach misunderstands context as environment in which actions take place, and thus misses how actions creates and transacts context. The one way to comprehend context as immediate and immanent ones could find practical actions and practical reasoning in the course of inquiry, in which reasoning and object are not separated. This study examines how students organize inquiry process in a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This study shows how students inquiry is embedded in interaction with objects in non-linear improvisation, in which their actions create context and then the context confines their practical actions and further practical reasoning. The examination of practice as embodied cognition will presents how context bound actions construct inquiry process which is different from cognition as knowledge processing.

      • KCI등재
      • KCI우수등재

        OECD 교육 2030의 역량 설계 원리에 대한 고찰: IBDP 설계 원리를 중심으로

        조현영(Cho, Hyunyoung)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5

        최근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에서 OECD의 교육 2030 프로젝트는 새로운 학습의 틀과 원리를 함께 제시하고 있다. 이는 새로운 교육의 방향성으로 개념적으로 다소 생소한 측면이 있다. 그렇지만 교육과정의 설계 원리의 경우 역량 개념을 분절화된 요소들로 제시하거나 범주화 함에 따라 이전까지의 학습 설계의 원리와 차이가 분명하지도 구체화되지도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ECD 교육 2030의 교육 설계의 원리에 대한 의미와 관계성을 탐색하고 학습 설계의 원리를 역량의 관점에서 구체화하기 위하여 IBDP의 사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는 학습자가 학습의 맥락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하는 설계로 집약된다. 특히 지식의 적용과 그에 대한 활용 전략을 분리시키지 않는 방식은 기존의 지식 중심의 학습 설계의 선형적 학습 설계와는 분명히 다른 접근 방식이라고 여겨진다. 이러한 논의 결과는 지금까지의 역량 설계에 관한 개념적 수준의 논의에서 나아가 구체화된 설계 논리를 실천적 차원에서 풍부하게 이해하도록 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recent discussion of the curriculum for capacity building, the OECD s Education 2030 project presents a new learning framework and principle. This is a new direction of education, and it is conceptually somewhat unfamiliar. However, in the case of curriculum design principles, as it is presented as segmented elements, the difference from previous learning design principles is not clear.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IBDP in order to explore the meaning and relationship of the principles of education design in OECD Education 2030 and to materialize the principles of learning design in terms of competence. The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curriculum design for competency development is condensed into a design that prevents learners from being alienated from the context of learning. In particular, a method that does not separate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and its utilization strategy is considered to be an approach that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linear learning design of the existing knowledge-centered learning design. The results of this discussion will go beyond the discussion at the conceptual level on competency design so far, and contribute to a rich understanding of concrete design logic at the practical level.

      • KCI등재

        일반논문 : 일상적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실천적 지식의 사용에 관한 연구: 학교 학습에의 시사점 탐색

        조현영 ( Hyunyoung Cho ),손민호 ( Minho Sh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문화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일상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상황적 맥락이 문제해결에 대하여 어떻게 내생적 요인으로 작용하는지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서 상황적 맥락은 실천적 지식, 즉 상황적 추론과 실제적 행위에 의해 엮여 진행되는 시간의 흐름을 의미한다. 상황적 맥락이 문제해결과정에서 어떻게 내생적 요인으로 작동하는지, 본 연구에서는 도구의 전유로 인한 지식의 상황 임베디드성과 포월성, 상황적 행위의 불확정성과 사후수정, 세계의 안정성으로부터 비롯된 시비불가성으로 정리해 보았다. 이상의 특징들은 상황적 추론과 실제적 행위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우리의 사고 과정에 깊숙이 임베디드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의존해 있는 문제해결방법을 설명할 수 있는 합리적인 논리가 있다면 그것은 민속-방법, 상황적 추론의 방법론적 아나키즘이라고 할 수 있다. 상황적 추론과 실제적 행위가 어떻게 문제해결과정 그 자체를 생성해 나가는지에 관한 이해는 학습 현상을 좀 더 심화하여 해명하는 데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begins with a general question about the connections between cognitive theory, educational forms, and everyday practice. In order to consider this question, orthodox explanations of cognitive processes, and the assumptions underlying them, are explored anew. This excursion, which will lead us through diverse empirical investigations, ends with suggestions that transform our conceptions of context, cognition, and activity in the lived-in world. Algorithmic problem solving is assumed to be the ideal model for the cognitive procedures employed to solve questions in the service of practical actions exogeneous to the process. This view isolates action as technique, and knowledge as fact. This study examines how the very characteristic of ongoing activity render contextual properties an endogeneous, crucial condition in problem solving process. The features of ad hoc, incorrigibility in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are generated from the very nature of our ongoing actions, continuity in activity and it also influences crucially in the development of our thought. Familiarity and routine are experienced by persons-acting-in-setting. Unmediated situated inferences suggest methodological anarchism, which provide implications for study of learning that would take context as endogeneous factors into consideration.

      • KCI등재

        Experiences of Community-managed Education in El Salvador: An Investig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Learning Theory

        Jullianny Batres,조현영(Hyunyoung Cho),손민호(Minho Shon) 한국비교교육학회 2020 比較敎育硏究 Vol.30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실천공동체론에 터하여 엘살바도르 마을교육공동체(EDUCO) 프로그램 운영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였다. [연구방법] 학교중심운영을 지역에 도입하기 위한 세 가지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첫째, 엘살바도르 EDUCO 프로그램의 현황과 특징에 관해 살펴보았다. 둘째,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이 엘살바도르와 같은 개발도상국에서의 학교시스템 분권화에 기여한 정도와 역할에 관해 살펴보았다. 셋째, 해당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활성화와 주민들의 문해력 향상에 기여한 정도와 역할에 관해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EDUCO 프로그램은 교육의 실제에서 공동체를 포함하며 수준 높은 교육으로 학습자와 사회를 도와주므로 CoP의 기초특성에 부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엘살바도르 EDUCO 프로그램은 개발도상국가에서의 교육이 지역사회의 활성화와 어떻게 긴밀하게 연계되는지 잘 보여준 사례라 할 수 있다. EDUCO은 마을-학교연계를 통해 실천공동체를 활성화함으로써 지역사회 개발과 학교교육 성취에 크게 기여할 수 있었다. Purpose :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El Salvador’s Education with Community Participation (EDUCO) school-based management program and its impact on the community through the lens of Wenger’s perspective, Community of Practice (CoP) as the Social Theory of Learning. Methods : Three issues were investigated, namely, how school-based management in rural areas had been introduced; El Salvador’s EDUCO program’s foundations,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how EDUCO program contributed to decentralize school system in a developing country; and finally reexamine how it enhances learning outcomes in the society in the dimension of community development. Results : It is noticed that EDUCO program fits the main aspects of CoP by involving community in school practices and benefiting students and community itself with qualified education. Conclusion : It is important to underline that the outcomes of this program were not only centered on education for children but also for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specifically for the participants on ACE, the council responsible of managing the program to local level together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 KCI등재

        탈기능주의 교육과정 모형으로서의 아이덴티티 메타포: 역량기반교육과정의 대안적 설계

        손민호 ( Minho Shon ),조현영 ( Hyunyoung Ch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6 교육과정연구 Vol.34 No.2

        본고에서는 총체성으로서의 역량을 교육과정에 반영하고자 할 때 아이덴티티의 의미가 어떻게 대안적 교육과정 설계의 논리와 모형을 제시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행 역량기반교육과정에 관한 설계는 대체로 역량을 기능별로 구분한 채 가법적인 교육과정 목표모형을 따르고 있다. 이는 신자유주의 관점과 맞닿아 있으며 결과적으로 역량을 함양하고자 하는 교육의 취지를 무력화시킬 가능성을 안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에 대비하여 공동체주의의 따뜻한 역량에 관하여 정리하고 여기서 말하는 역량의 총체성이 어떻게 아이덴티티의 문제로 접근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달라진 세계의 여건 하에서 아이덴티티는 교육과정 이해의 대상에 그치지 않고 학교 교육과정에 적극적으로 구현될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기 때문이다. 아이덴티티로 재개념화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설계에 있어서 기능주의 교육과정 모형과 어떻게 다른 접근을 요구하는지 제시해 보았다. 아이덴티티의 논리와 모형에 관한 추후 연구는 교육과정 연구에서 이해의 패러다임과 개발의 패러다임간의 간극을 좁힐 수 있는 해법 또한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Revisiting competence in favor of communitarianism, this study criticizes functionalism in the model of competence-based curriculum. In developing the competence curriculum model, functionalism has been postulated along with liberal thought, which presents a partial model for vocational education. Respecting the totalistic nature of competence, I propose a metaphor of identity as a post-functionalistic model of curriculum development with a warm-competence-based curriculum. The term “identity” has taken on a great many different meanings in the literature. I sketch out but one approach that draws on a consistent strand of participation. I propose new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n identity-based curriculum, as follows: First, personalized curriculum should be seen as a life project. Designing a personalized curriculum does not mean developing customized courses; instead, the courses should involve self-directed, deep, and long-term learning. The school curriculum should take support for individual learning portfolios as a primary principle in its development. Second, the curriculum should include subject and non-subject contents. A competence-based curriculum requires a critical perspective related to the dualism of knowledge and experience in favor of situated practice. The separation of the subject from non-subject curriculum in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re-organized. Third, a community-based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Living community features a classroom culture of mutual respect and caring based on practical ethics and the accountability of community members. A learning community allows the school to be transformed into a learning organization where members of the community form their identities. Fourth, a school culture should be fashioned that represents its own character. Competence is encouraged to develop through participation in a culture; this conditions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