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귀환 이주노동자의 시공간적 이주경로모형 구축 - 베트남 응에안성의 귀환 이주노동자를 사례로 -

        조현미(Hyun Mi Jo),황 티 비엣하(Hoang Thi Viet Ha),박선주(Sunjoo Park) 대한지리학회 2020 대한지리학회지 Vol.5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이주노동자의 거주 지역 환경이 이주노동 전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함과 동시에 베트남-한국 간 이주노동자들의 이주배경부터 귀환에 이르기까지의 이주경로를 파악하여 모형화하고, 속성에 따라 유형화하는데 있다. 응에안성의 컨류군과 탄쯔엉군 출신 귀환노동자 21명과의 면담조사를 바탕으로 이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이동의 매개체의 역할을 중심으로 시공간적 이주경로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이주노동자의 이주배경과 귀환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다음의 3가지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로 입국방법은 다시 합법적 입국과 불법입국으로, 체류기간내의 합법적 취업과 불법취업으로 세분화했으며, 두 번째 체류지별 취업유형은 원양어선의 선원으로 취로활동을 하는 경우와 국내에서 취업하는 경우로 나누었다. 세 번째로 한국으로 오기 전 다른 외국으로의 이주경험 유무도 국제적 이동의 패턴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하나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분류의 기초적인 항목을 표로 작성하였고 면담자 개개인의 이주유형을 그림으로 그려서 귀환이주노동자의 시공간적 이주경로를 일반화시킬 수 있는 모형을 도출하였다. 국내와 국제이주를 통합적으로 연구한 King and Skeldon(2010)의 schematic model을 수정 · 보완한 본 모형은 공간적인 이주유형과 시간적인 이주유형을 하나로 나타냈다는 점에서 시공간적 이동패턴의 모형화에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grating migration pathway model focusing on Vietnam-Korea returned labor migrants and to find influencing factors on their pathway, including regional characteristics. To collect primary data, we conducted in-depth face-to-face interviews with 21 returned migrant workers in two districts in Nghệ An Province, Vietnam. This study proposes a spatio-temporal migration pathway model modifying King and Skeldon(2010)"s schematic model. Based on the narratives from returned migrant workers, we added three more dimensions to analyze the consequence of return migration, which includes movement to transit or third countries, legal and illegal migrations, and types of employment permit. Findings suggest seven typologies of migration pathways exist among Vietnamese return migrant workers, and diverse macro-, micro-, and meso-level factors influence individual decisions forming migration pathways.

      • KCI등재

        일본인 국제결혼여성의 혼성적 정체성

        조현미(曺賢美, Jo, Hyun-Mi) 일본어문학회 2009 일본어문학 Vol.45 No.-

        国境を越えて移動する人々は母国の文化を維持しながら再領土化の過程において新しい場所や関係のなかで新しい文化を創造していく。これは同化主義者が主張する主流文化への同化でも母国文化の踏襲でもない混性的文化である。本研究では最近急増している海外からの花嫁を越国家的移住の能動的な主体者としてとらえ、そのなかでも特に日本人花嫁のアイデンティティの変化を混性的アイデンティティの形成との関連で考察している。 日本人女性の安定した定着のため宗教機関は言語や歴史、文化における教育や身の回りの相談を行っている。しかし、そのような支援や信者同士の強い連帯は逆に同国人および同宗教集団の構成員に対する依存感を高めることになる。日本人花嫁の大部分はその移動の動因である宗教が称する聖地である韓国での生活を夢見て来た者である。そのため韓国に対する彼女らの愛着は強い。それにもかかわらず彼女らの意識のなかでは常に母国の文化や社会制度などを韓国のそれと比較し、母国に対する自慢を感じている。彼女らの多重性または両面性は混性的アイデンティティとして表現することができるだろう。

      • KCI등재

        베트남 북부지역의 국제결혼의 증가와 초국가적 사회공간

        조현미(Hyun Mi Jo) 한국지역지리학회 201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마을’이라 불리는 북부베트남의 시골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는 초국가적 사회공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에서는 한국인과 결혼한 이주여성과 가족들 사이에 형성된 초국가적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통 과 교류가 빈번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송금 등의 수단을 이용한 물질적인 교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리 고 시대적 변화에 편승하는 자와 편승하지 못하는 자가 공존하는 시골의 공간은 고유의 지역성과 문화, 경제적 요인 의 영향을 받으면서 초국가적인 사회공간으로 변화하여갔다. 한편, 여성들이 국제결혼이라는 방법으로 초국가적인 이 주행위를 실천하는데 있어서는 부모형제의 공진자로서의 역할이 크게 작용하고 있었다. 더욱 더 견고해져가는 이주회 로의 존재, 초국가적 사회공간의 진화, 공진자의 역할 등으로 인하여 일견 한 젊은 여성의 가족을 위한 희생으로도 보 일 수 있는 초국가적 이주가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계속하여 확산되고 있으며, 세계화의 영향에서 벗어나 있을 것 같 은 평범한 시골마을에서도 초국가적 사회공간이 형성되고, 진화하고 있었다. In this study, a transnational social space which emerges in a rural village of the northern Vietnam called ‘Korean Village’ is analyzed. The immigrant women of whom the spouses are Korean were forming transnational network with family members through which frequent and active communications took place. At the same time materialistic exchanges were occurring by means of remittance. Like most rural areas where up-to-date life patterns co-exist with outdated ones, the studied region was turning into a transnational social space under the influence of indigenous locallity, culture and other economic factors. Women were found to play a virtual role as resonator in practicing the transnational activity of migration. With the migration routes getting more and more solidified, the evolution of the transnational social space and the role of resonator, the form of transnational migration which makes involved young women look like a sacrifice is ceaselessly expanding around a specific region. This is noticeable because a rural village seemingly far away from internationalization is not only becoming the transnational social space but also a stage of its evolu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요세바 고도부키에서의 시공간과 로컬리티의 변화

        조현미(Jo, Hyun-Mi)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2

        요세바는 일용직노동자에게 있어서 구직과 구인의 공간이면서 거주공간이기도 하다. 일용직노동자의 삶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경기의 변화이며, 경기의 변화는 국가 혹은 국제관계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노동자 의 삶을 둘러싼 거주환경은 노동자의 경제적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변화하므로 역시 국가적이며 국제적이다. 요세바 고도부키라는 지역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은 제2차 세계대전의 종식이다. 도시재건사업이 활발히 전개되기 시작하면서 고도부키 지역은 전국각지에서 몰려온 노동자로 활기를 띠게 된다. ‘한국전쟁특수’를 통한 경제부흥 시기를 거쳐 석유파동으로 인한 세계적인 경제공황에 따른 경기침체로 일본의 내수경제도 침체하게 되고, 경기침체의 여파는 노동시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되었다. 또한 거품경제의 붕괴로 인한 장기적인 경제불황으로 노동 시장의 활기도 점차 식어가면서 한때 일본경제의 역군이었던 노동자들은 더 이상 제 역할을 담당하지 못한 채 고령화 되어갔다. 고령의 노동자들이 생활보호를 받게 되면서 도야경영자들은 도야를 보수하기 시작했고, 장애자와 고령자를 위한 개호업자들이 줄지어 들어서면서 고도부키는 다시 변화하기 시작했다. 요세바 고도부키에 있어서 로컬리티 변화에 작용한 역사적 시간들은 구성원인 노동자의 삶에 있어서는 미시적으로 작용한 시간들이지만 그 시간들에는 국민국가의 내셔널 시간과 글로벌 시간이 중층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연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most direc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Yoseba Kotobuki was the end of World War II. As city rebuilding projects began vibrantly overlapping, the vitalization in Kotobuki was adopted by the laborers coming in from various parts throughout of the country. Just as the period of economic revival from the special demand created by the Korean War got underway, the aftermath of the worldwide economic recession due to the oil crisis had a direct effect on even the labor market. Moreover, as the vitality of the labor market gradually fizzled out from the long-term economic recession caused by the burst of the economic bubble, the labor base that had once been the pillar of the Japanese economy began to age and could no longer perform this role. As these aging laborers came to receive public assistance, the doya managers began repairing the doya and Kotobuki began to change again. The historical times which affected the changes in Yoseba Kotobuki’s locality are in the lives of its members-the laborers-and the times themselves, which operate on the micro level; however, in those times, the national and the global time of the nation-state interact and are linked in multiple lay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