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녀 출생과 육아친화환경 간의 관련성 연구 : 서울시 행정동별 조출생률과 다자녀 출생 비율을 중심으로

        조해송 서울시립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87

        이 연구는 초저출산 현상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도시와 지역사회에서 저출생 문제 해소의 실마리를 찾고자 시작되었다. 육아환경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저출생 문제 해소의 관점에서 물리적·사회적 육아환경이 자녀 출생과 관련성을 가지는지, 구체적으로 어떤 육아환경 요소에서 관련성을 보이는지에 관한 실증적이고 통합적인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조출생률 및 다자녀 출생 비율을 기준으로 서울시 행정동의 물리적·사회적 육아친화환경을 비교 분석하여, 육아친화환경의 세부 요소 중 출생 및 다자녀 출생과 관련성이 있는 요소와 집중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는 요소를 도출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공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조출생률 및 다자녀 출생 비율에 따라 육아친화시설의 양적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때 서울시 424개 행정동과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육아친화시설의 양적 수준은 비슷하나 조출생률 및 다자녀 출생 비율이 상이한 서울시 3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 응답 126부를 바탕으로 조출생률 및 다자녀 출생 비율에 따라 육아친화시설의 질적 측면과 사회적 환경인 육아친화요소에 중요도 및 만족도 차이가 있는지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조출생률과 다자녀 출생 비율이 낮은 지역을 대상으로 집중개선이 필요한 요소를 중요도-만족도 분석인 IPA로 도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출생률 및 다자녀 출생 비율이 높은 곳이 낮은 곳에 비해 육아친화시설의 양적 수준이 높지 않았으며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었다. 둘째, 조출생률이 높은 곳은 낮은 곳에 비해 문화시설과 육아친화시설의 질적 수준인 충분성과 접근성, 운영시스템,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다자녀 출생 비율이 높은 곳은 사회적 환경인 육아친화요소 중 지역사회의 육아친화성, 인적 네트워크, 공동체 활동 지원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넷째, 조출생률이 낮은 지역과 다자녀 출생 비율이 낮은 지역 모두 문화시설과 보행 및 치안에 있어서 집중개선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저출생 문제 해소를 위해 육아친화환경을 조성함에 있어, 자녀 출생과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육아친화시설의 양적 수준 제고에 집중할 것이 아니라 질적 수준을 먼저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함께 사회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 제고를 위한 노력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began to find clues to the problem of low birth rates in cities and communities as the ultra-low birth rate is prolonged.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hild-care environment, but empirical and integrated studies on whether the physical and social child-care environment is related to the birth of a child, and specifically on what factors of child-care environment are related from the perspective of solving the problem of low birth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s the physical and social child-care-friendly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rude birth rate and second or higher order birth rate for the administrative Dong of Seoul. Through this, this study tried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by deriving elements related to birth and multi-child birth and elements that need to be intensively improved. Method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using spatial data, it was analyzed through an independent t-test to see if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ntitative aspects of child-care-friendly facilities depending on the crude birth rate and second or higher order birth rate. At that time, 424 administrative Dong and 25 autonomous Gu in Seoul were targeted. Next,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ree administrative Dong in Seoul with similar quantitative levels of child-care-friendly facilities but different rates of crude birth and second or higher order birth rate. Based on 126 survey responses, independent t-tes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in the quality aspects of child-care-friendly facilities and child-care-friendly factors, which are social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crude birth rate and second or higher order birth rate. In addition, factors requiring intensive improvement were derived from IPA, an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for areas with low crude birth rates and second or higher order birth rate.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quantitative level of child-care-friendly facilities was not high and there was no direct relationship compared to the place where the crude birth rate and second or higher order birth rate were high. Second, Dongs with high crude birth rates had high satisfaction with the cultural facilities and quality of child-care-friendly facility(sufficiency and accessibility, operating system, program). Third, Dong with high second or higher order birth rate had high satisfaction with the chlid-care-friendly factors which is social environment, such as child-care-friendly community, human network and community support. Fourth, districts with low crude birth rate and low second or higher order birth rate both require intensive improvement in cultural facilities and walking and secur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creating a childcare-friendly environment to solve the problem of low birth rates, the quality level needs to be raised first, rather than focusing on raising the quantitative level of child-care-friendly facilities that have been found to be unrelated to the birth of children, along with making efforts to enhance satisfaction with the social environment.

      • 학습자 동시 참여를 지향하는 웹 코스웨어 설계 및 구현

        조해송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컴퓨터 환경의 변화는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 환경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즉, 종래의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은 비디오형의 순차적 지식전달 도구로 사용되었으나, 멀티미디어의 특성을 활용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의 통제권을 갖고, 학습에 필요한 지식 공간을 비순차적인 방법으로 자유로이 옮겨 다니면서 자신이 설정한 과제의 습득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는 비단 학습방법뿐 아니라 학습평가에도 영향을 주어 기존의 평가에서 좀 더 다양하고 세밀한 평가가 가능토록 했다. 본 연구는 웹 코스웨어의 학습시 나타나는 객관적 평가부재를 보완하기 위하여 토론방을 운영하여 학습자들의 오프라인과 마찬가지의 전체 출석도 하며, 동시에 토론에서의 학습자의 표현 및 질문하는 태도를 보며 다양한 평가를 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학습기초를 다지고 나아가 실력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가 학습목표-학습내용-요약정리를 거쳐 학습을 한 후 연습문제의 지시사항을 익혀 과제물로 제출함으로써, 오프라인 수업 및 과제물 평가와 더불어 토론방, 출석부를 통하여 온라인에서도 오프라인과 같은 다양한 평가를 하여 WBI의 이점을 살려 평가를 수준별, 단계별, 자기 주도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자의 이해력을 돕기 위해 FAQ, 용어해설 등을 두어 문제 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예제소스를 이용해 학습자는 학습에 필요한 여러 유형의 예제를 다운받아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습자에게 여러 방법을 통하여 학습 자료를 제시하고, 조력자는 빠르고, 다양한 평가방법으로 학습자를 좀 더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를 둔다.

      • Multi-terminal MVDC 계통 모델링 및 인공지능 기반 고장 진단 및 보호에 관한 연구

        조해송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제 목 : Multi-terminal MVDC 계통 모델링 및 인공지능 기반 고장 진 단 및 보호에 관한 연구 본 논문에서는 Multi terminal Direct Current (MVDC) 계통에서 발생하는 고장의 분류 및 진단을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증가함에 따라 변동성이 큰 신재생 발전원의 수용을 위한 계통 보강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직류기반 계통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 MVDC (Medium-Voltage Direct Current) 배전 기술에 대한 실증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선로 사고 및 인버터 내부 사고와 같은 계통 사고에 대한 검토는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적절한 시뮬레이션 모델의 개발이 요구된다. 직류계통은 교류 계통과 비교하면 영점 차단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고장전류 차단이 어렵고 분산전원 활용을 위한 직류 계통이 다수 선로를 통해 네트워크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선로 상의 사고 지점을 계통으로부터 신속히 분리할 수 있는 기술이 계통의 안정성 확보에 매우 중요한 문제로 두드러지고 있기에 사고를 감지하고 식별 및 보호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MATLAB/SIMULINK를 사용하여 인버터 모델링과 제어 기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사용된 인버터를 통해 ±35kV급 Multi-terminal MVDC 계통을 모델링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직류 계통에서의 선로 사고 및 인버터 내부 사고 모델을 개발하였다. 사고 데이터 분석과 Wavelet Transformation 기법을 이용한 데이터 전처리를 통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계통 및 인버터 내부 사고의 감지 및 진단을 수행하였다. 또한, 고장 파급을 방지하기 위해 계통에 전류제한기(SFCL)와 직류차단기(DCCB)를 모델링하고 투입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직류계통의 선로 사고뿐만 아니라 인버터 내부 사고에서의 고장 진단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으며, 사고 전류 저감을 위한 전류제한기 투입에도 불구하고 고장 감지가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더욱이, 확장된 5 터미널 계통에서 학습한 정상 상태 및 고장 데이터를 바탕으로 4 터미널 계통에서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 100%의 정확도를 달성하였으며, 이는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강력하게 검증하는 결과로, 다양한 계통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제안된 알고리즘이 직류계통 및 인버터 내부 사고 발생 시 빠른 계통 회복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는 향후 MVDC급 계통에서의 직류 사고 및 고장진단 관련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As renewable energy installations proliferate, the need for grid enhancement to integrate the variable nature of renewable power generation becomes increasingly pronounced. This paradigm shift has spurred a significant uptick in research focused on direct current (DC)-based grid infrastructures. Among the various strands of this research, empirical studies on MVDC (Medium-Voltage Direct Current) distribution technology have been prominent. A pivotal aspect of this research involves the thorough examination of plausible grid contingencies, including line and inverter internal faults, necessitating the creation of robust simulation models. The DC systems present a unique challenge when juxtaposed against their alternating current (AC) counterparts, particularly in terms of fault current interruption due to the complexity associated with zero-crossing, thereby accentuating the importance of rapid and precise fault isolation in line systems for maintaining grid stability. Consequently, the formulation of algorithms adept at detecting, discerning, and safeguarding against such incidents is deemed imperative. This paper delineates the process of modeling an inverter using MATLAB/SIMULINK, encompassing a comprehensive discourse on various inverter control methodologies. Utilizing this inverter model, a ±35kV grade Multi-terminal MVDC system simulation is conducted, and fault models pertinent to both line and inverter internal disturbances within the DC framework are developed. The paper further delves into the analysis of fault data, employing Wavelet Transformation for data preprocessing. This preprocessed data is subsequently harnessed to detect and diagnose faults within the system and inverter internals, leveraging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To curtail the propagation of faults, the system integrates current limiters (SFCL) and DC circuit breakers (DCCB), aiming to attenuate the spread of such fa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manifold, particularly in the realm of MVDC system design. The algorithms proposed herein have demonstrated efficacy in diagnosing faults in DC line accidents and inverter internal malfunctions. Notably, fault detection remains viable even subsequent to the attenuation of fault currents, facilitated by the deployment of current limiter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oposed algorithmic approach could substantially expedite system recovery in instances of DC system and inverter internal faults. This study is poised to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further research in DC accidents and standards within MVDC systems.

      • Analyzing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 of self-driving vehicle and vehicle equipped with ADAS : Us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조해송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Self-driving vehicle is regarded as future trend of vehicle. However not all new technology are accepted in the market at the beginning. People feel more ease, useful, fun and trust on previous technology. This is same in self-driving vehicle. This study try to figure out the structure of decision making when people purchase vehicl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as adopted and additional explanatory variable are selected considering vehicle usage context. Based on the standard of autonomy level of vehicle suggested by NHTSA, we made level 1 to 4 survey questionnaires respectively. The result shows that people perceive that self-driving vehicle(level 3, 4) is less ease of use, useful, trustable and enjoyable that manual driving vehicle(level 1, 2). Perceived enjoyment and Trust are the main factor affecting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 of self-driving vehicle. Moreover the person who has high personal innovativeness are more willing to buy self-driving vehicle. Personal innovativeness and Gender moderate the perceived enjoyment and perceived usefulness respectively in level 2 and 4 . From this research, it can give managerial implication for vehicle companies how to prepare self-driving vehicle. Furthermore, this study give a guideline for future self-driving vehicle research or TAM research in vehicle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