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화석환경학으로 다시 보는 한국 구석기시대의 예술품

        조태섭 한국구석기학회 2014 한국구석기학보 Vol.- No.29

        In the memory of the 5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paleolithic study, we try to review and re-analyze of the Paleolithic animal fossils which have been found in the cave sites in our country. In spite of the increase of sites and diverse researches, it is true that there are many problems to be solved. Iin the point of the animal bone study, many broken animal bones have been interpreted as bone tools and noted to the artifical pieces namely mobiles art objects. Recently the study of bone modification is developed by the progress of taphonomic researtch, so we try to find of the cause of bone modification of these pieces. Especially in the many biological agents, the carnivores play important roles to the bone modification and we can see the typical chewing marks and the holes in the broken bones. At first, the holes and cups(half holes) of some bones, which have been considered as the result of human activities and as the shapes of animal such as elephant and bison, are surely made with the action of carnivoress. In addition, bone cutting board or phalangess which classified as bone tools are confirmed to the results of carnivore's gnewing, chewing and digestive actions. These peices have made by the action of carnivores and couldn't regard as the mobile art objects and ornaments because there is no relation with the human activity. Away from a superficial interpretation and subjective opinion, scientific and objective observations to the animal bones unearthed in the paleolithic sites, will provide us the better understanding of bone modification. 한국의 구석기연구가 50년을 넘어서고 있는데, 그동안 유적의 양도 증가하고 연구도 다양하여졌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은 것이 사실이다. 그 가운데 동굴유적에서 출토된 동물화석의 해석 역시 그동안 많은 지적을 받아왔기에 이 글에서는 이러한 유물들에 대한 재검토를 시도하여 보았다. 더욱이 여기서 언급되는 여러 뼈 유물들이 예술품 혹은 치레걸이로 해석되고 있는데 이제는 이들을 다시 검토하여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위하여 요즈음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는 화석환경학의 시각에서 동물뼈의 변형 요인을 알아보았다. 특히 사람 못지않게 왕성하게 뼈를 변화시킨 식육류의 역할과 그 결과 나타나는 특징을 대표적인 구멍내기와 씹기를 중심으로 고찰하여 보았으며, 이를 한국의 구석기유적에서 발견된 뼈유물 들과 비교 분석을 하여보았다. 먼저 굼 또는 구멍 있는 뼈들은 그동안 이 구멍이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고, 또 이를 이용하여 코끼리나 들소 등 짐승의 모양으로 형상화시킨 예술품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 구멍들은 식육류에 의한 것이며 확실한 인공의 행위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뼈모탕이나 발가락 뼈연모로 분류되었던 것들도 사실은 식육류의 씹기자국들과 소화작용 등에 의해 만들어진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식육류의 작용에 의해 변형된 뼈들을 예술품이나 치레걸이 등으로 분류하는 것은 이제 지양하여야 할 것이다. 주관적 견해와 피상적 해석에서 벗어나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분석할 때 우리나라의 구석기시대에 출토된 동물뼈로 만들어진 예술품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선사시대 소과(Bovidae) 화석에 대한 고찰

        조태섭 한국구석기학회 2009 한국구석기학보 Vol.- No.20

        During the Quaternary, the paleoenvironment of Korean Peninsular has been changed several times. The fauna discovered in the prehistoric sites, especially the Bovidae fossil permit to estimate the climatic conditions of the prehistoric Korea. Four species of Bovidae family have been present and its faunal composition has been changed through the Quaternary in Korea. Based on the these fossils, we may notice as follows: 1) Bos primigenius had been present whole the Pleistocene and it has been changed to Bos taurus in Holocene. 2) Bison priscus had been dominant during the Upper Pleistocene but it had been extinct in Holocene. 3) Bubalus sp. had been widely spread in Korea, especially in the North-western part of Korea during the middle Pleistocene and it was disappeared then after. But this animal has been reappeared during the early Holocene period. 4) Bos Taurus was the dominant Bovidae species during the Holocene and it would be related with human activities such as domestication and cultivation. From the changes of Bovidae in Korean peninsular, we may interpret that the climatic condition of the middle Pleistocene of our country would be relatively warm and it became colder during the upper Pleistocene. And it became warm during the early Holocene and it changed to a temperate climate as today.

      • Palladium(Ⅱ)이온과 Branched Poly(ethyleneimine) 간의 착물생성에 따른 안정도 상수

        曺泰燮 嶺南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4 基礎科學硏究 Vol.14 No.-

        Potentiometric and electronic absorption spectroscopic studies of palladium(Ⅱ) complexes with branched poly(ethylenimine)(BPEI) as polymeric ligand showed that one or two nitrogen donor atoms on BPEI chain are coordinated to Pd(Ⅱ) ion in square-planar as Pd(Ⅱ) -N complexes from the formation curves and mole ratio analysis results in 1.0M KCI aqueous solution at 25℃. The stepwise stability constants calculated directly from the pH titration data based on the modified Bjerrum method, log k₁and log k₂, were 6.07 and 4.55 at BPEI.H+/Pd(Ⅱ) mole ratio of 5.00, and 4.77 and 4.22 at mole ratio of 10.0.

      • Branched Poly(ethylene imine)과 Glycine 이성분계의 산 해리 거동

        曺泰燮 嶺南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3 基礎科學硏究 Vol.13 No.-

        The acid dissociation constants of protonated branched poly(ethylene imine) (BPEH+) and glycine(GlyH) binary system were determined by potentiometric titration method in 0.1M KCl at 30℃. The acid dissociation constants were increased with BPEH+ mole fraction, and the values of n, Henderson-Hasselbalch constants were increased with mole fraction. The observed pKa values were 8.62 for GlyH. The calculated values can be found to agree with the observed results.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대련시 낙타산(駱駝山) 금원동(金远洞)동굴의 발굴과 유적의 성격

        趙泰燮,趙 博,劉金远 한국구석기학회 2015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2

        최근 우리나라에서 많은 구석기유적들이 찾아지고 조사되는 것처럼 중국에서도 요즈음 새로운 유적들이 계속해서 찾아지고 있다. 이 가운데 하나인 대련(大連)시의 낙타산(駱駝山)에 자리한 금원동(金远洞) 동굴유적에 대해 유적의 조사경위와 발굴 진척 사항, 유적의 성격 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요동반도의 남쪽 끝에 자리한 대련은 한반도와 지리적으로 매우 가까운 곳이며 특히 갱신세시기에는 대륙으로 이어져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곳으로 우리에게도 매우 중요한 비교 연구 대상지역이기도 하다. 이미 요령 성에서는 묘후산(廟後山), 금우산(金牛山) 등을 비롯한 많은 구석기시대의 유적이 알려져 있다. 특히 금원동 동굴은 북경의 주구점(周口店) 유적과 비견되는 유적으로 이 유적의 연구 성과가 밝혀지면 더욱 많은 자료들이 밝혀져 한국과의 비교 연구가 가능해지고 나아가서는 동북아시아에서의 구석기시대의 성격을 밝히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유적의 소개에는 중국 대련시의 대련자연박물관의 조박 관장님, 유금원 연구원님의 많은 도움이 있었으며 특히 중국과학원 고척추동물여고인류연구소의 김창주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