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가족의 애도과정 유형화 연구

        조춘범,이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Typology of Mourning Process Among Bereaved FamilyChoonbum Cho & Hyun Lee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the mourning process, focusing on variables related to loss-centered and restoration-centered coping based on the dual process model of coping with bereavement, and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lassified type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bereaved families using the funeral home in A city, Gyeonggi-do, and a total of 392 response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used for analysis. The mourning process of bereaved families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low loss/high restoration coping’, ‘high loss/moderate restoration coping’, and ‘high loss/low restoration cop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loss and restoration coping in the mourning process of the bereaved family. The types of mourning process of the bereaved families were showed differenc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and standard of living. Complicated grief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ere associated with high loss and low restoration coping. Post-traumatic growth was related to low loss and high restoration coping. In all types, care burden was high and death preparation and timing of bereavement were low. It is required to expands death preparation education according to life cycle so that the general public can understand death as a part of life and prepare in advance before experiencing bereavement and to develop a web-based bereavement care service that increases accessibility. In addition, strategic intervention was suggested to foster and utilize the balanced loss and restoration coping skills of the bereaved family. Key Words: Bereaved Family, Dual Process Model of Coping with Bereavement, Typology, Quality of Death, Stress 유가족의 애도과정 유형화 연구조 춘 범*ㆍ이 현**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사별대처의 이중과정모형에 근거하여 유가족의 상실중심대처와 회복중심대처 관련 변수를 중심으로 애도과정을 유형화하고 분류된 유형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경기도 A 시의 장례식장 이용 유가족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총 392부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내용: 유가족의 애도과정이 유가족의 애도과정에서 상실과 회복대처의 고저에 따라 ‘저상실/고회복대처’, ‘고상실/중회복대처’, ‘고상실/저회복대처’의 3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유가족의 애도과정 유형은 고인과의 관계와 생활수준에서 차이를 보였고, 복합비애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상실이 크고 회복대처가 낮은 유형, 외상 후 성장은 상실이 적고 회복대처가 높은 유형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및 제언: 모든 유형에서 수발부담이 높고 죽음준비과정과 사별시기의 적절성은 낮은 결과를 보였다. 사별경험 이전에 일반 국민들이 삶의 일부분으로 죽음을 이해하고 사전에 준비할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죽음준비교육의 확대와 접근성을 높이는 웹기반 사별 케어 서비스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유가족의 균형적인 상실과 회복대처 능력 함양과 활용을 위한 전략적 개입을 제언하였다. 핵심어: 유가족, 이중과정모형, 유형화, 죽음의 질, 스트레스 □ 접수일: 2022년 11월 30일, 수정일: 2022년 12월 12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주저자, 성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First Author, Professor, Sungkyul Univ., Email: flytiger7@hanmail.net)** 교신저자,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연구교수(Corresponding Author, Research Professor, Yonsei Univ., Email: hyunlee1237@yonsei.ac.kr)

      • KCI등재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이 성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과 현실지각의 매개효과 검증*- 일반 청소년과 청소년 수형자간 다집단 분석을 중심으로 -

        조춘범,이현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12

        This study purpose to suggest practical intervention based on the effects of adolescent internet addiction on sexual assaul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eality perception and focus on multi-group simultaneous analysis between adolescent and adolescent in prison.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041 adolescents and 275 adolescents in prison. As the result of that, for all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effected on sexual assault and reality perception, and reality perception also effected on sexual assault. So, reality perception was partial mediation. Secondly,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adolescent and adolescent in prison within the relationship of these three variables. Through this study result, the way of preventive interventions were propose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이 성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및 현실지각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동시에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일반 청소년과 청소년 수형자의 집단 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다집단 분석을 함으로써 청소년 성폭력 가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세분화된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반 청소년 1041명과 청소년 수형자 275명으로 총 1316명에 대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18.0과 AMOS 7.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한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청소년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인터넷 중독은 성폭력 가해와 현실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현실지각 또한 성폭력 가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실지각은 부분 매개효과로 검증되었다. 둘째, 일반 청소년의 경우 인터넷 중독이 성폭력 가해와 현실지각에 영향을 주었고, 현실지각 역시 성폭력에 가해에 영향을 주고 있어서 부분 매개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수형자의 경우 인터넷 중독이 현실지각에 영향을 주었지만 성폭력 가해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고, 현실지각은 성폭력 가해에 영향을 주어 현실지각은 완전 매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청소년 성폭력 가해에 대해 일반 청소년과 청소년 수형자간의 차별화된 사회복지적 실천방법이 개입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본 연구에서도 청소년 집단 간을 고려하여 세분화되고 구체적인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공동생활가정 보호아동 자립지원 방향에 관한 고찰: 시설종사자가 보고한 아동사례를 중심으로

        조춘범,이현 한국가족관계학회 2020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4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that hinder the preparation of self-reliance of children in group home on the perspective of the child care workers. Method: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7 case reports on children in group home from facility workers and analyzed the data by qualitative case study. Results: Three themes and 9 sub-themes emerged: (1) Developmental disability (negative childhood life experiences in original family, intellectual disability and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difficulties in forming social relationship, burden of treatment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2) Physical and mental disorder (impulsivity and out of control, self-injury and suicidal behavior, needs for long-term care); (3) Delinquency and crime (unresolved litigation and limited legal status of workers, immature legal responses). Conclusions: We discusses three major issues as barriers to self-reliance of children in group home emerged in reports of facility worker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were addressed to support self-reliance of children in group home.

      • KCI등재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검증-

        조춘범,조남흥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adolescent's family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on committing school violence,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A total of 913 students from the 3rd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to the 2nd grade students of high school were collected. As a result, 54.3% of the adolescents reported having experience of committing school violence, and 71.4% of them had family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dolescents' family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had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violence committing experience; secondly, the adolescents' family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had significant effect on self-control; thirdly, the adolescent's self-control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violence committing experience. The self-control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olescents' family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and committing school violence experience. According to the result, we are able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대한 가정폭력 노출경험의 영향을 검증하고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내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 재학생을 조사대상으로 표집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913개의 설문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고, SPSS 14.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들의 학교폭력 가해행동은 54.3%로 나타났고, 가정폭력 노출경험은 71.4%로 나타났다. 연구모형 검증을 위한 Baron과 Kenny의 검증결과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경험은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경험은 자기통제력에 유의미한 결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은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Aroian test로 검증한 결과 청소년의 자기 통제력은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학교폭력 가해행동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폭력 가해행동의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가정폭력 피해에 대한 개입방안과 이로 인한 청소년들의 자기통제력 문제에 대해 실천적 개입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자원봉사자의 하위집단 동기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잠재프로파일 분석 적용

        조춘범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3 공공정책연구 Vol.40 No.3

        This study categorized the latent profile of the subgroup motivation type of volunteers and prov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ified group and the volunteer motivation ty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subgroup and the persistence of volunteering, demographic and social variables, and volunteer variabl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volunteers at the Anyang City Volunteer Center, and 369 subjects were analyzed and verifi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potential profiles. The motivation types of the subgroups of volunteers were classified by naming them as ‘high-motivation group’, ‘middle-motivation group’, and ‘low-motivation group’,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volunteer motivation type of each group was analyzed and described. The ‘high-motivation group’ showed high strengthening, understanding, and value functions, the ‘middle-motivation group’ showed high value function, and the ‘low-motivation group’ showed high economic function. The ‘high-motivation group’ showed a high proportion of long-term continuity of volunteering and education level, while the ‘middle-motivation group’ showed a high proportion in age and number of volunte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the functions of the subgroup motivation types and volunteer motivation types of volunteers, and social welfare strategic utilization and interven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main outcomes of each group.

      • KCI등재

        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청소년 사이버불링 피해자 유형과 특성

        조춘범,이현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20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6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cyberbulling victims among youths using Latent Class Analysis(LCA),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and mental health by the cyberbulling victim typ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0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prov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cyberbulling victims among youths were classified into four latent groups; 'low victims group (67.96%)'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frustrated victims group (12.97%)’ showed high rates in most cyberbulling experience and in help seeking behavior either. 'isolated lone victims group (8.23%)’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alienation and bullying from peers, and ‘cyber reputation damage victims group (10.85%)’ reported being damaged reputation and exacerbated relationships with others by rumors from cyberbulling. Second, th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cyberbulling victims were verified in the offline bullying experiences. Third, in terms of depression and suicidal risk, the differences between cyberbullying types were identified. ‘frustrated victims group’ showed the highest depression and suicidal risk, which needed to urgent intervention as the high-risk group. It implies the need for individualized intervention models according to the types of cyberbullying victims.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계층분석(LCA)을 활용하여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피해자 유형을 살펴보고, 각 유형별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정신건강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의 중․고등학교 청소년으로 최종분석에는 802명의 응답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불링 피해자 유형은 4개의 잠재계층 모형이 최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첫 번째 유형은 ‘저피해자’ 집단으로 전체 청소년의 67.96%로 절반이상을 차지하였고, 두 번째 유형은 ‘좌절된 피해자’ 집단으로 전체 청소년의 12.97%로 나타났으며, 세 번째 유형은 ‘고립된 외톨이 피해자’ 집단으로 전체 청소년의 8.23%, 네 번째 유형은 ‘사이버 평판손상 피해자’ 집단으로 전체 청소년의 10.85%를 차지하였다. 둘째, 사이버불링 피해자 유형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학교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불링의 피해자 유형에 있어 현실(오프라인) 신체폭력피해와 따돌림경험에서도 차이가 검증되었다. 셋째, 우울과 자살위험성에 있어 사이버불링의 피해자 유형 간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좌절된 피해자’ 집단에서 우울과 자살위험성의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나 시급한 개입이 필요한 위기집단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피해자 유형에 따른 개별화된 개입안의 필요성을 함의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부모-자녀상호작용이 인터넷 게임중독과 비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조춘범,임진섭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과 비행에 대한 구조적 모형을 통해 부모-자녀상호작용의 직접적 효과와 자아존중감의 간접적 효과를 검증하여 정보사회에서의 청소년 비행문제에 대한 경로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파주지역에서 거주하고 있는 중1에서 고2의 청소년 612명을 조사하였다. 구조모형의 추정방법으로 완전정보최대우도법(full information maximun likelihood)을 사용하여 경로를 검증하였다. 구조모형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Aroian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넷 게임중독과 비행에 대해 부모-자녀상호작용의 직접효과는 비행에만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자녀상호작용과 자아존중감의 경로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인터넷 게임중독 및 비행과의 경로에 있어서는 인터넷 게임중독에만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인터넷 게임중독의 경우 부모-자녀상호작용의 직접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자아존중감을 매개하는 경로에서는 간접적 효과가 나타나 자아존중감의 완전매개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비행에 대한 부모-자녀상호작용의 직접적 효과는 검증되었지만 자아존중감의 간접적 매개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보사회에서의 청소년에 대한 인터넷 게임중독과 비행을 접근하기 위한 구제적인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parent-child interaction and self-esteem to internet games addiction and delinquency in adolescenc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the use of a survey instrument completed by 612 adolenscents from first grade in middle school to second grade in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From the analysis resul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arent-child interaction was found to affect directly delinquency and Self-esteem and self-esteem also had significant effect on internet games addiction only. This results means that parent-child interaction had a effect on internet games addiction not directly but indirectly throught self-esteem. however, delinquency was directly affected by parent-child interaction not throught self-estee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discussion extended to the implication of an intervention that prevents adolescent's internet games addiction, delinquency to promote healthy development of the adolescents.

      • KCI등재후보

        청소년 자녀의 부-모 신체학대 피해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인터넷 중독의 매개효과 검증

        조춘범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1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2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adolescent's parent physical abused experience on suicidal idea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et addiction. A total of 505 students from the 1st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to the 2nd grade students of high school were collected. As a result, 34.9% of the adolescents reported having experience of father physical abused and 32.5% of the adolescents reported having experience of mother physical abused, and 7.9% of them had internet addiction. The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reported 1.9166 by mea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dolescents' father physical abused experience had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secondly, the adolescents' father physical abused experience had significant effect on internet addiction; thirdly, the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The internet addiction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olescents' father physical abused experience and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we are able to suggest some discussions.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부-모 신체학대 피해경험의 영향을 검증하고 인터넷 중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인접 3개 경기지역에서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 재학생을 조사대상으로 표집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505개의 설문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고, SPSS 17.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들의 부 신체학대 피해경험과 모 신체학대 피해경험은 각각 34.9%와 32.5%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살생각의 평균은 1.9166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중독자는 7.9%로 나타났다. 연구모형 검증을 위한 Baron과 Kenny의 검증결과 청소년의 부 신체학대 피해경험은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중독에도 유의미한 결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은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인터넷 중독의 매개효과를 Aroian test로 검증한 결과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은 부 신체학대 피해경험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살생각의 문제가 있는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부 신체학대 피해경험에 대한 개입방안과 이로 인한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 문제에 대한 개입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이 폭력비행에 미치는 영향과 현실지각의 조절효과 검증

        조춘범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internet game addiction of the adolescents on violence delinquenc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reality perception as well. A survey was conducted on 1,140 students of Seoul and Kyunggi province, and 769 adolescents who reported that they are playing internet gam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ternet game addiction group had higher level of violence and lower level of reality perception than the non-addiction group and potential-addiction group. Examining the level of reality perception among the participants, dividing them into groups according to whether they have experience of violence delinquency or not, the group who had experience of violence delinquency showed lower level of reality perception. Verifying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e violence delinquency of the adolescents increased as their internet game addiction level grew. In addition, reality perception turned out to be a important moderating variable acting as a buffer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game addiction and violence delinquency. Base on the result of this study, practical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the internet game addiction of the adolescents and improving their reality perception have been propose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이 폭력비행에 미치는 영향과 현실지각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는 청소년 1,14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이중 인터넷 게임을 하고 있는 청소년 769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연구검증을 위해 각 변수에 대한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넷 게임중독 집단이 비 중독집단과 중독 잠재집단 보다 폭력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현실지각 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폭력비행의 유무에 따라 청소년의 현실지각 수준을 검증한 결과 폭력비행의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의 현실지각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수준이 증가할수록 폭력비행도 증가하였다. 그리고 인터넷 게임중독과 폭력비행 간의 관계에 있어서 현실지각은 조절효과로 검증되어 완충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변인임이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현실지각, 폭력비행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입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검증 -성별간 다집단 분석을 중심으로-

        조춘범 ( Choon Bum Cho ),김동기 ( Dong Ki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0 청소년복지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우울과 자아존중감간의 인과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 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패널 데이터 중 2004년부터 2007년까지 4년 동안에 걸쳐 수집한 중2 패널자료를 사용하였다. 자기회귀교차지연 모델을 통한 분석결과 청소년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은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유의하게 안정적으로 지속되었다. 또한 이전 시점의 자아존중감은 이후시점의 우울에 부적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이전시점의 우울은 이후시점의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방향은 정적인 방향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이후 청소년의 우울은 감소를 하지만, 우울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두변인의 관계에 있어서 남녀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연구 의 제한점을 지적하고 후속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elf-esteem among the adolescents. The 4-year longitudinal data collected from 2nd grad middle school student by the Korean Youth Panel study was used in this study. From the analysis result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he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adolescents were continued from middle school 2nd grade to high school 2nd grade in significant stability. In addition, the previous self-esteem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later period depression. The other hand, the previous depress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later self-esteem, but the direction was positive. This means that the adolescents` self-esteem increases as their depression decreases, but as the depression increases, the later self-esteem of the adolescents increases.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girls and boys within the relationship of these two variables. Finally, the implication derived from the result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ollowing studie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