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교철학에서 내재와 초월(비교철학적 고찰)

        조윤호 ( Yoon Ho Cho )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70 No.-

        이 글의 중심 주제는 내재와 초월이라는 문제의식 아래 불교의 중심 사상들을 고찰함으로써 불교에서 초월의 의미론적 함의를 추적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먼저 서양철학사 일반에서 초월 개념의 의미론적 층위를 확인하고, 이어서 불교에서 초월의 함의를 갖는 것으로 여겨지는 주요 사상들을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존재/인식과 관련한 불교의 특징적 이해를 비롯하여 속제/진제, 윤회/열반, 중생/부처 등의 이념적 구도에서 어떤 ‘넘어섬’의 영역이나 주제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정되는 공(성), 의타기(자)성, 중도, 열반, 해탈, 아뢰야식, 불성 등에 주목하였다. 불교는 분명 일상 언어적 의미 층위에서 특정 인식과 가치의 경계나 한계로부터의 어떤 ‘넘어섬’으로서의 초월을 추구한다. 그러나 초월적 존재란 자연세계 너머에 존재하면서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초자연적이고 외재적인 진실재라고 할 때, 그리고 초월적 진리란 모든 경험적 진리에 선행하면서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진리라고 할 때, 불교의 이념들에 그같은 함의를 인정하는 것은 이 글의 논의에서는 유보적이다. 아울러 불교적 초월의 의미론적 함의로는 소위 ‘내재적 초월론’이 특히 주목되며, 그것은 불교적 초월의 중심 모형으로서 현실에 대한 일방적 부정이나 긍정을 배제함과 동시에 현실을 떠나 이상의 영역을 설정하거나 절대화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この論文は內在と超越という問題意識のもとで佛敎の中心思想を檢討し、佛敎における超越の意味論的意義を考察しようとする試みである。そこでまず、西洋哲學史一般における超越槪念の意味論的層位を確認し、つづいて佛敎において超越の意味をもつと思われる主要思想を檢討した。具體的には存在/認識と關聯する佛敎の特徵的理解をはじめ、俗諦/眞諦,、輪廻/涅槃、衆生/佛などの理念的構圖においていわゆる‘超越’の領域や主題に相當するものとして想定される空(性)、依他起(自)性,、中道、涅槃、解脫、ア-ラヤ識、佛性などに注目した。佛敎はたしかに、日常言語的意味レベルにおける特定の認識と價値の境界や限界からの超越を志向する。しかし、超越的存在を自然世界の彼方に存在しながらそれを成立させる超自然的で外在的な眞實在と考えるとき、そして超越的眞理をすべての經驗的眞理に先立ちながらそれを成立させる眞理と考えるとき、佛敎思想にそのような意味を認定することは、本考察に限って言えばまだ懷疑的である。ちなみに、佛敎的超越の意味論としては、いわゆる‘內在的超越論’が特に注目される。それはいわば佛敎的超越の中心モデルとして、現實に對する一方的否定や肯定を排除すると同時に、現實を離れた理想の領域を設定しまた絶對化しないことを意味するものと思われる、

      • KCI등재

        공통 Phrase의 관계 그래프와 Suffix Tree 문서 모델을 이용한 문서 군집화 기법

        조윤호(Yoon-Ho Cho),이상근(SangKeu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2

        기존의 문서 군집화 기법 NSTC은 문서 군집화 과정 내에서 TF-IDF를 이용하여 문서간 유사도를 측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TF-IDF가 아닌, 공통 Phrase의 관계 그래프를 이용한 새로운 문서간 유사도 측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문서 집합 내의 공통 Phrase들의 관계를 나타낸 관계 그래프를 통해 공통 Phrase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실험을 통해 NSTC와 비교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문서간 유사도 측정 기법이 문서 군집화에 더욱 효과적임을 보였다. Previous document clustering method, NSTC measures similarities between two document pairs using TF-IDF during web document clustering. In this paper, we propose new similarity measure using common phrase-based relational graph, not TF-IDF. This method suggests that weighting common phrases by relational graph presenting relationship among common phrases in document collec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proposed method is more effective in clustering document collection than NSTC.

      • KCI우수등재

        여래장사상의 중국적 수용과 전개 - 『원각경』과 그 주석서들을 중심으로

        조윤호(Cho Yoon-Ho) 불교학연구회 2007 불교학연구 Vol.16 No.-

          This study aims to make the new way for understanding Chinese Buddhism by examining the Chinese Way of Reception and Development of the Tath?gata-garbha Theory.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ould be confirmed like the following. The Tath?gata-garbha Theory which was transmitted through a Chinese translation, in the early 5th century, of the books of the Tath?gata-garbha caused a great sensation on Chinese Buddhism inside. At the same time, afterwards Chinese Buddhism was developed taking the Tath?gata-garbha Theory as an axis. T"ien-t"ai School, Hua-yen School, Ch"an School as well as Ti-lun School all takes the Tath?gata-garbha Theory as the core of their theory, and the Tath?gata-garbha Theory finally comes to be independent as the ‘Ru-lai-zang-yuan-qi-zong(如來藏緣起宗)".<BR>  Complete Enlightenment S?tra(圓覺經) which was formed from about in the late 7th century to in the early 8th century shows the situation of the Tath?gata-garbha Theory"s development, and presents a more radical ideal of that ‘All beings in itself are Buddha(衆生本來成佛)". Especially this ideal is understood more subjectively by Tsung-mi(宗密). It needs to discuss more deeply how the Tath?gata-garbha Theory is received in the tradition of Chinese Hua-yen Theory and Ch"an Buddhism. Hua-yen Theory, however, which is formed through interpretating Hua-yen S?tra(華嚴經) in the point of view of the Tath?gata-garbha is succeeded to the Complete Enlightenment S?tra interpretation of Tsung-mi, and he tries to combine this with Ch"an Buddhism. That is to say, the Tath?gata-garbha Theory interpretation of Tsung-mi which is shown in the books for him annotating Complete Enlightenment S?tra has the considerable meaning in that it succeeds to the tradition of Hua-yen Theory, and furthermore combines this with Ch"an Buddhism.

      • KCI우수등재

        불교 안에서의 다원주의

        조윤호(Cho, Yoon-ho) 불교학연구회 2003 불교학연구 Vol.7 No.-

        This paper aims at tracing a pluralistic element in the Buddhist intellectual tradition, and suggesting the Buddhist model of ‘a limited pluralism’ that helps us to go beyond essentialism and to overcome a threat of nihilism. For this aim, the author opposes Buddhism against the Hindu traditional thoughts that have a essentialist and a nihilistic characteristic, and defines Buddhism as a philosophical attitude of pluralism. This is because Buddhism sees beings or phenomena including understanding through ‘beings within causal relations,’ namely, the unique way of thinking of dependent arising. Also this is because Buddhism neither absolutize nor universalize one’s own subjective judgment, and opens the possibilities of various understandings and judgments. Besides the middle path(madhyama pratipad), as an attitude not committing both moral scepticism and ontological nihilism, is a restraint mechanism for both a nihilistic and a dogmatic attitude, and is a Buddhist perspective on the problem of a limited pluralism.

      • KCI등재

        동아시아 불교의 두 얼굴 - 다원주의와 본질주의의 공존

        조윤호(Cho Yoon-Ho) 불교학연구회 2006 불교학연구 Vol.13 No.-

          I have inquired about how the universal principle can be acquired, and what is the philosophical context of that in East-Asian Buddhism. The concepts of "nirv??a’, ‘buddha-dh?tu’ and ‘Xing-qi (性起)" are thought to be a kind of fundamental essential principles in ontology, epistemology and the theory of values of East-Asian Buddhism. (1) The concept of "nirv??a’ can be understood as the ultimate state that the transcendental reality or the absolute truth is fully realized, (2) that of ‘buddha-dh?tu’ as the universal and the origin of all beings, (3) and that of ‘Xing-qi(性起)", which is to confirm the actual truth by the dependent theory(Yuan-qi 緣起) of Chinese Buddhism, as the essential cause making it possible to actualize the ideal truth to the factual state. The advent of the absolute essentialism in East-Asian Buddhism made the pluralism retreated, but the original theory of Buddha combined with a new mode of Chinese essential thought.

      • KCI등재

        견문각지(見聞覺知)에 대한 원측의 해석

        조윤호 ( Cho Yoon-h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8

        이 논문은 견·문·각·지에 대한 원측의 해석 작업을 검토함으로써 동아시아에서 견·문·각·지 이해의 한 사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원측은 『해심밀경소』 「승의제상품」에서 승의제의 의미 설정과 관련하여, 이 문제를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이 과정에서 원측은 견·문·각·지에 대한 인도불교에서의 이해 방식에 대해 동아시아불교 교리사에서는 그 예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상세하게 조사하여 정리·소개한다. 동아시아불교권에서 원측의 작업은 가장 본격적인 사례라 할 수 있으며, 설일체유부·경량부·대승교학 각각의 이해 방식은 물론 그에 대한 원측의 해석학적 작업 과정을 거쳐 견·문·각·지의 의미 지평은 동아시아불교사에 구체적으로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원측은 주요 불교 사상체계에서 견·문·각·지의 교설들에 대해 관련 주요 문헌을 통해 꼼꼼히 그 내용을 검토하고 해석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불분명한 내용들은 명료해지고, 서로 어긋나는 견해들은 정합적인 방식으로 재해석된다. 원측이 확인하고 이해한 내용들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설일체유부에서는 동분의 근을 기준으로 안근을 견, 이근을 문, 비근·설근·신근 셋을 각, 의근을 지에 대응시킨다. 경량부에서는 ① 육식의 현량이 견, 성언량이 문, 육식의 비량이 지, 분별이 각이라고 보는 입장, ② 오근의 현량이 견, 성언량이 문, 의식의 비량이 각, 의식의 현량이 지라고 보는 입장, ③ 안근의 현량이 견, 의근의 성언량이 문, 의근의 비량이 각, 이근·비근·설근·신근·의근의 현량이 지라고 보는 입장이 있다. 대승교학에서 견은 삼사화합에 대한 가립으로 보며, 문은 삼사화합에 의해 의식에 성립한 마음들로서의 문혜·사혜이다. 각은 『대지도론』에서는 비식·설식·신식의 현량, 『유가사지론』에서는 의식의 비량이다. 지는 안식을 제외한 이식·비식·설실·신식과 현량의 의식 모두이며, 이근·비근·설근·신근까지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원측은 대승교학에서 견·문·각·지의 이해와 관련해 다음의 몇 가지 사항을 확인하고 있다. ① 유식교학의 식설과 견·문·각·지의 관계에서 제7식은 非量이므로 견 등을 안립하지 않으며, 제8식은 현량이므로 지에 포함된다. ② 육근과 현량의 관계에서는, 소극적으로 근의 현량으로서의 작용을 인정하는 경우와 적극적으로 근의 현량으로서의 작용을 인정하는 경우의 둘이 가능하다. ③ 제8지 이상에서 성인의 가르침을 듣는 제6의식은 현량이 아니다. ④ 욕계에는 견·문·각·지 넷이 있고, 색계에는 미세한 형태의 각이 있고, 무색계에는 미세하게 지가 남아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Wǒnch’uk’s interpretation of dŗşta-śruta-mata-jñāta and to identify an example of its understanding in East Asian Buddhism. Wǒnch’uk goes into detail about the meaning of paramārthasatya, in SAṂDHINIRMOCANASŪTRAṬĪKĀ. In this process, Wǒnch’uk investigates and introduces dŗşta-śruta-mata-jñāta in such detail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n example in East Asian Buddhism. Through the process of hermeneutic work of Wǒnch’uk, the meaning of ŗşta-śruta-mata-jñāta is concretely revealed in East Asian Buddhism.

      • KCI등재

        『화엄경』 의 여래장적 해석과 성불론

        조윤호(Cho Yoon-Ho)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67 No.1

        이 글은 중국에서 『화엄경』의 여래장적 해석을 통한 수용 과정에 보이는 성불론의 형성과 변용 문제를 고찰하는 것이다. 『화엄경』에는 여래장설이 직접적으로 설해지지 않는다. 그러나 중국의 『화엄경』연구자들은 자신이 이미 수용하고 있던 여래장사상을 토대로 이경을 해석한다. 따라서 여기에는 당연히 둘 사이의 거리가 발생할 것이 예상되며 해석의 정당성과 근거가 문제로 등장한다. 한편 이러한 문제와는 별개로 이 둘의 만남은 중국의 화엄교학 및 여래장설의 사상형성과 전개에 큰 흔적을 남기는 것으로 보인다. 우선 화엄교학 해탈·성불론의 형성과 관련해서는 화엄불교가 현실계와의 접점을 강화하는 한 계기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화엄불교가 여래의 진실계를 배경으로 하는 것에 반해 여래장설은 기본적으로 중생에 대한 주목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또한 화엄의 불지·불신이 일체중생에 내재된 성불의 근거인 불성으로 해석될 경우 불지·불신이 보다 주체화되고, 나아가 실천주체의 설정이 여래에서 중생 자신으로 중심 이동하게 되어 주체적 실천이 강조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다음으로 여래장설의 성불론과 관련해서는 여래장설은 『화엄경』의 중심 이념인 여래의 공덕·위신력이라는 외적 요인을 확보하게 됨으로써, 성불의 조건을 확대하고 강화하는 효과가 예상된다. 이는 일체중생의 성불에 대한 강력한 담보를 포함해 전체적으로 여래장설의 성불 이념을 강화할 것이기 때문이다. 동시에 여래장설은 『화엄경』의 여래지·법신 등 중생 성불의 내적 근거 및 그것의 활동성을 확고하게 담보하게 되며, 여래의 위신력은 중생성불의 외적 조건을 적극적으로 담보하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실은 『화엄경』사상의 여래장적 해석과 전개과정에 드러나는 중국여래장설의 한 특징을 보여주는 것이며, 동시에 여래장설의 중국적 전개과정에서 드러나는 화엄교학의 역할과 사상사적 의의를 확인시켜주는 것이다. 이처럼 중국 화엄교학 및 여래장설의 해탈·성불론 형성과 전개에는 『화엄경』의 여래장적 해석과 수용이라는 사상사적 계기가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중국의 여래장설 및 이의 수용 위에 형성된 화엄교학에서는 불성이라는 이념적 근거를 토대로 해탈·성불론이 강화된 듯 보이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이념적 층위의 전개일 뿐, 실제에 있어서는 해탈·성불에 대한 관심과 추구 노력은 도리어 약화되는 역설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This treatise is to consider how the theory of Buddhahood by the Buddha-nature was transform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based on the Buddha-nature in China. Certain thoughts are made based on a historical background, and its products is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thought. Chinese annotators of the Gaṇḍa-vyūha-sūtra interpret it based on the Buddha-nature thought which was already accepted to themselves. Therefore, it is foreseen that there occur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By the way, its interpretational legitimacy and ground comes into question. The Buddha-nature thought of China involves a change of content by accepting the Gaṇḍa-vyūha-sūtra with the interpretation based on the Buddha-nature. Especially, with concerns about the theory of attaining Buddhahood in the Buddha-nature theory, it can be said that the Buddha-nature position and the truth body ensure solidly internal grounds and its activities for humankind to attain Buddhahood, and Buddha-nature's dignity power of good deeds and merciful actions on which is emphasized in the Gaṇḍa-vyūha-sūtra ensures actively the absolute of external conditions for humankind to attain Buddhahood. It means that the Buddha-nature thought is recreated as the powerful theory of attaining Buddhahood with accepting the thought of the Gaṇḍa-vyūha-sūtra in China.

      • KCI등재

        초전법륜(初轉法輪)에 대한 원측(圓測)의 해석학적 지평

        조윤호(Cho, Yoon-Ho)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3

        원측은 『해심밀경』의 삼시법륜 교설을 계기로 전법륜의 주체 · 시기 · 장소 · 대상 · 내용등에 대해 진지하게 해석학적 고찰을 수행한다. 그는 당시 인도 전래의 주요 자료들을 통해 초전법륜이라는 사건의 복원을 시도하여, 중국의 일반적인 교판론과는 다른 맥락에서 ‘불법(佛法)’에 대한 논의와 이해의 지평을 동아시아 불교계에 제시한다. 동아시아 불교권에서 불교의 다양한 교리체계들에 대한 가치평가나 이해방식의 정립은 소위 교판론의 형태로 수행되었으며, 초전법륜의 이해는 이들 여러 교판론의 구축과정에서 단편적으로 논의되고 제시되었다. 『해심밀경소』에서 원측의 논의는 동아시아 불교권에서 초전법륜에 대한 본격적이고 체계적인 논의의 전형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원측은 한역 불전들에 보이는 설법 주체의 불일치 문제로 제기될 수 있는 불법의 권위 및 정통성 문제에 대해, 인도의 원전이나 원어 층위에서는 문제가 없으며 단지 번역과정에서의 문제임을 확인한다. 또 그는 법륜 개념을 둘러싼 불교교리사의 다양한 이해방식 및 의미 확장 과정을 확인하고 그것들의 정합적 해석을 통한 대승 ․ 유식교학으로의 종합을 시도한다. 법륜의 본체에 대한 여러 교설들에 대한 이해에서도 원측은 각 교설들의 주장과 관련한 문헌들을 빠짐없이 조사하여 그 맥락적 상황과 의미를 확인하는 해석학적 방법과 엄밀성을 경지한다. 이를 통해 그는 각 교파들에서 설정하고 있는 법륜의 본질은 모두 각각의 특정한 상황에 관한 것이며, 따라서 큰 틀에서는 서로 상충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한다. 아울러 법륜의 본질 규정과도 관련하는 문제로 3전 12행상에 대한 여러 종파의 이해 방식에 대해서도 해석을 시도한다. 원측이 동아시아 불교권의 교판론들과는 다른 맥락에서 ‘불법’에 대한 이해와 논의의 새로운 지평을 제시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불법의 의미와 권위 확인 작업을 초전법륜이라는 사건으로 되돌아가 확인하였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 그는 종파적, 지역적 관점에 갇히지 않는 해석을 제시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일방적으로 대승 · 유식교학의 교판적 관점에서가 아니라 인도불교 전개사 안에서 최대한 객관적으로 그 논의의 내용과 의미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는 이를 통해 초전법륜을 둘러싼 상황과 내용에 대한 이해 방식의 상세하고 객관적인 이해 지평을 동아시아 불교권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했다. 동시에 그는 유식교학의 관점에서 여러 교설들의 관점을 종합하고 정합적 해석을 시도함으로써 동아시아 불교권에서 유식을 포함한 불교 교설들의 역사적 · 교리적 권위와 정통성을 확인하고 있다. This essay examined SAṂDHINIRMOCANASŪTRAṬĪKĀ of Wǒnch’uk, Chapter V: Niḥsvabhāvalakṣaṇa-parivarta, in which Wǒnch’uk attempts to restore the situation of the First Discourse on Turning the Wheel of Dharma through major literature from India. In this work, he presents discussions and interpretations of “Buddha’s teaching” to the Buddhist academic world in East Asia. During this process, he confirms the truth and authenticity of the system of Buddhist teaching from a more fundamental and broad perspective. It is believed that his interest was in confirming the historical and doctrinal legitimacy of the various traditions of the Buddhist truth system. He synthesizes the viewpoints of several doctrines from the Yogaācāra School and interprets them based on a coherent viewpoint. In this way, he confirms the historical and doctrinal authority and legitimacy of the doctrines, including the Yogaācāra doctrine, in East Asian Buddhism. Wǒnch’uk’s work can be considered a typical example of a full-fledged and systematic discussion on Turning the Wheel of Dharma in East Asian Buddhism.

      • 창의성 연구의 흐름과 관점에 따른 기초디자인 교육 방향 -산업디자인 영역을 중심으로-

        조윤호 ( Yoon Ho Cho ) 경기대학교 부설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조형논총 Vol.12 No.-

        창의성 연구는 현재에도 관점의 차이에 따라 정의에 대한 문제가 존재하며, 역사적으로 길지는 않으나 창의성 연구 대상에 대한 시대적 흐름으로 구분되어진다. 이들 연구 내용들의 공통적인 두가지 핵심요소는 ``새로움``과 ‘적절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의 창의성 연구는 개인의 선천적능력이 아닌 학습과, 동기부여 등의 외적 요인 관계 등의 다양한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소비 및 기술 진보에 따라 디자이너 역량을 창의성에 대한 기존 연구 관점을 바탕으로 심리학 관점이 아닌 디자인 교육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칙센트미하이의 창의성 연구를 중심으로 각요소들을 살펴보았다. 즉, 교수자의 경험을 기반으로하는 조력자의 역할 강조와 학습자의 능동적 동기부여에 대한 이론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혜원의 신체 중심적 인간 이해

        조윤호 ( Cho Yoon-H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8

        4~5세기 중국사상계는 중국과 인도, 대승과 소승이라는 이질적 문화와 세계관의 각축의 장이었다. 중국의 불교도로서 혜원은 이같은 사상적 상황 속에서 한편으로는 불교비판에 대응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의 사상적 지반을 확보해야만 했다. 윤회보응, 법신 등은 중국전통에서 매우 낯선 사유였으며, 이들 문제의 이해 과정에서 혜원에게는 중국의 현상 실재론과 설일체유부의 법실재론적 사유가 혼재된 상태로 드러난다. 『명보응론』에서 혜원은 윤회보응의 발생과 전개를 설일체유부의 삼세양중 업감연기설의 관점에서 이해한다. 동시에 그는 생명체의 탄생과 전개를 중국고유의 사유전통에 의해서 이해한다. 『구마라집법사대의』에서도 혜원은 반야, 공의 사유로 온전히 이행하지 못하고 있다. 그의 인간 이해에는 색법의 실재 및 유,무의 이분법적 사고가 전제되어 있으며, 몸을 기본적으로 연장성, 형상성을 본질로 하는 것으로 봄으로써, 법신의 이해에서도 신체의 토대성에 주목한다. 혜원의 이같은 이해에는 그의 『아비담심론』과 『삼법도론』번역 및 학습이 직접적인 배경으로 추측되며, 또 현실 중시의 중국적 사유전통 역시 주목된다. 아울러 이같은 혜원의 이해는 구마라집의 무자성, 공론의 세계관에 의해 비판되고 극복된다. The world of Chinese thought was the arena of struggle among the different cultures and world views based n China and India, Mahayana and Hinayana in the time of 4th and 5th centuries. Hye-Won, one of the Buddhists in China, had to reply to criticism of Buddhism, and have the base of his own thought wired in this situation. The notions of sansara, nemesis, Dharma-body were very different from Chinese traditional thought, and it is found in Hye-won's understanding on these notions that the phenomenon existence thought of China and the Dharma existence thought of Sarvastivadins were mixed. Hye-Won understood samsara and nemesis with viewpoint of the three times and two level of cause and effect from Karma in his the explanation on nemesis. He also understood the birth and change of life wih viewpoint of Chinese traditional thought. His understanding did not shift to the thought of prajna-sunyata in the meaning of Mahayana by Kumarajiva Dharma-preacher. His understanding on Human beings premise the thought of material being existence and dichotomy of being or nonbeing, and he thought the essence of body was extensity and shape. In may be said that Hye-Won's understanding was directly caused by translation and learning of the theory on heart of the Abhidharma and the three key theory, and also Chinese traditional realism. His understanding was criticized and overcome by the world view of prajna and asvabhava and sunyata of Madhyamaka school conveyed by Kumarajiv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