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돌봄 서비스 영역에서 감정노동이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심리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조윤득(Jo Yeun Duk),신현석(Shin Hyun Suk),박은앙(Park Eun A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社會科學硏究 Vol.26 No.1

        본 연구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감정노동을 다차원적으로 유형화하고 이를 척도로 하여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심리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봄으로써 감정노동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실증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조사는 현재 사회복지 입소시설에 근무하면서 돌봄(care)서비스를 주 업무로 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편의표집 방식으로 설문조사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것은 401부이다. 감정노동 측정도구는 Zapf et al. (1999, 2001)이 개발한 Frankfurt Emotion Work Scales(FEWS)를 참고로 하여 영역별로 ‘공감ㆍ긍정적 감정표출(5항목)’, ‘부정적 감정표출(6항목)’, ‘감정불일치(4항목)’의 3영역으로 수렴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있고, 종교가 있는 사회복지사의 경우, 소진 정도가 낮았고, 심리사회적 건강 정도는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감정노동의 영향을 살펴보면, 공감ㆍ긍정적 표출은 성취감 저하와 비인격화를 줄이며, 심리사회적 건강을 증진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감정표출은 정서적 소모를 높이고, 심리사회적 건강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감정불일치는 정서적 소모와 비인격화를 높이며, 심리사회적 건강을 낮추는 결과를 나타냈다. 특히 긍정적ㆍ공감표출의 감정노동의 경우 성취감을 증대시키고 심리사회적 건강을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나 향후 돌봄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강화나 서비스의 질 향상에 중요한 변수로서 감정노동을 인식하고, 이를 경감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classify emotional work in caregiving with a multidimensional measure, 2) to identify impact on burnout and psychosocial well-being for social workers, and 3) to examine not only negative aspects but also positive aspects empiricall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ocial workers in social care facilities who conduct caring work by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401 was used to analyze data. The instrument for emotional work was based on Frankfurt Emotion Work Scales (FEWS) by Zapf et a1. (2001, 1999). The sub-scales such as 'emotional sympathyㆍdisplay of positive emotions (5 items)', 'display of negative emotions (6 items)', 'emotional dissonance (4 items)' were used to converge on the three categorie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participants grow older, while they have spouses and when they believe religion they run a less risk of burnout and are more likely to get psychosocial well-being. Second, the influence of emotional work showed that to display of positive emotions prevented the decline in personal accomplishment and emotional work increased depersonalization. To display of negative emotions increased emotional exhaustion, lower psychosocial well-being. Emotional dissonance increased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lower psychosocial well-being too.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emotional work for the display emotional sympathy' display of positive emotions results in improving personal accomplishment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s. Thus this research makes a contribution in providing the fact that emotional work is an important managing factor in improvement for social workers' professionalism and the quality of service. To reduce the strain of emotional work it will be necessary for the systematic intervention.

      • KCI등재

        노인의 감정조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윤은경(EunGyeong Yun),조윤득(YeunDuk Jo)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감정조절 어려움이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감정조절 어려움을 예방 또는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조사는 65세 이상의 노인대학과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 345명을 대상으로 방문 조사하였다. 감정조절 어려움에 대한 측정도구는 Gratz와 Roemer(2004)가 개발한 것을 본 연구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여 요인분석을 한 결과, 감정조절 어려움은 5가지 요인으로 재분류하여 내적 감정반응 처리곤란, 표출된 감정의 통제곤란, 명확한 감정인식의 곤란, 감정대처의 어려움, 감정수용의 어려움으로 명명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수입유무, 경제적 상태, 과거 3개월 이내 입원력과 질환유무 등에서 개인특성에 따라 감정조절의 어려움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삶의 질은 성별, 연령, 배우자유무, 거주형태, 교육정도, 수입유무, 경제적 상태, 과거 입원력, 질환유무 등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감정조절의 어려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삶의 질 전체로 분석한 결과, 개인특성에서는 남성노인이, 수입이 있으면서, 질환이 적은 경우에 삶의 질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감정반응에 대해 처리가 곤란하거나 감정통제가 잘 안되고, 감정처리능력이 부족할 때 노인의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감정조절의 어려움과 노인의 삶의 질과의 관련성은 높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개인특성에 따른 감정조절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접근방법과 노인의 감정조절 어려움을 다차원적으로 분류하여 경감 및 보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elderly people's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on their quality of life and to suggest possible ways of improving their emotional regul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45 senior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community education programs and used senior centers. A survey was conducted in person, and the instrument used to check their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was Gratz & Roemer(2004)'s inventory that was rearranged to ser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hen a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heir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were categorized into five factors, which were respectively named troubles in emotional response handling, difficulties in accurate emotional awareness, difficulties in emotional coping, and difficulties in emotional recep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nior citizens we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involving gender, income, financial state, hospitalization experience over the past three months, and presence or absence of disease. Second, their quality of life significantly varied with gender, age, presence or absence of spouse, form of residence, education, income, financial state, hospitalization experience and presence or absence of disease. Thir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their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on the overall quality of life, a better quality of life was found among those who were male and who had an income and suffered from fewer diseases. And a lower quality of life was found among the senior citizens who faced difficulties in emotional response handling, who had difficulties in emotional control and who lagged behind in terms of emotional coping. Accordingly, the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of the senior citizens could be said to be closely linked to their quality of life.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in which way elderly people could be helped to improve their emotional regulation in consideration of their own personal characteristics was discussed, and how to classify their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from various angles to relieve them of the troubles was suggested.

      • KCI등재후보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심리사회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원

        윤은경(Eun Gyeong Yun),조윤득(Yeun Duk Jo)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2011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6 No.-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원이 심리사회적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예방 또는 경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 배우자유무, 학력, 근무형태, 자격유형, 급여만족도, 총 근무기간 등에서 개인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심리사회적 건강은 연령, 배우자유무, 종교유무, 학력, 자격유형 등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원이 심리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심리사회적 건강 전체로 분석한 결과, 연령이 38세 이상인 경우, 요양보호사 자격만을 가진 경우, 전문직욕구가 충족된 경우에 그리고 클라이언트의 문제행동이 없을 때 심리사회적 건강이 양호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심리사회적 건강을 하위요인별로 살펴보았을 때 우선 일반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과 전문직욕구 미충족요인이, 항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문직욕구 미충족, 클라이언트의 문제, 직무융통성 부족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끝으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격유형과 전문직욕구 미충족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job stressors of care workers in nursing homes on their sociopsychological health and to seek ways of preventing or relieving their job stres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e workers were under heavy job stress, and that was affected by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involving age, presence or absence of spouses, academic credential, the type of certification, satisfaction with pay and the term of servic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intergroup gaps among the care workers in sociopsychological health according to age, presence or absence of spouses, being religious or not, academic credential and the type of certification. Third, how the job stressors of the care workers impacted on their overall sociopsychological health was analyzed, and it's found that those who were aged 38 and over, who were certified as care workers only, whose needs as professionals were satisfied and whose clients showed no problem behaviors were in good sociopsychological health. As for the impact of the job stressors on each subfactor of sociopsychological health, general health was affected by age and unsatisfied needs as professionals, and antidepression was under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unsatisfied needs as professionals, client problems and poor job flexibility. Finally, the factors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competence were the type of certification and unsatisfied needs as professionals.

      • KCI등재

        심리사회적 의존성과 자아통합감 간의 관계에서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효과: 독거노인을 중심으로

        윤은경(Yun, Eun-Gyeong),조윤득(Jo, Yeun-Duk)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2 No.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심리사회적 의존성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 효과를 파악해봄으로써 노년기의 심리적 안녕을 위한 사회복지개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B시에 거주하면서 사회복지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임의 표집하여 2017년 7월에서 8월 사이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최종 200부를 SPSS로 분석하였으며, 주요 통계기법으로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 매개효과의 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 검증단계(Baron & Kenny, 1986)를 적용하였고, 이후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심리사회적 의존정도는 자기 소유의 집이 없는 경우,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사회활동 참여에서는 연령이 낮고, 종교가 있으며, 월소득이 높고, 자기 소유의 집이 있는 노인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자아통합감은 월소득이 높고, 자기 소유의 집이 있고, 독거기간이 긴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2. 독거노인의 심리사회적 의존정도가 낮을수록 사회활동 참여가 높았으며, 자아통합감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심리사회적 의존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활동 참여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우리사회에서 돌봄 지지기반이 약한 사회적 환경에 속한 독거노인에게 심리사회적 의존을 줄이고, 자아통합감을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개입 방안으로서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related to social welfare intervention for psychological well-being of old age by analyzing mediation effect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in the influence of psychosocial dependenc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on their ego integrity. Methods : After randomly sampling the elderly living alone aged 65 years or older who were in the care of social welfare services residing in City B, a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July and August, 2017. A total of 2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collected from the respondents were analyzed using SPSS. With major statistical techniques,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performed, and the basic steps for mediation testing (Baron & Kenny, 1986)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mediation effect, followed by the Sobel test.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psychosocial dependence was high among those who owned no house and had chronic illness;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was high among those who were younger, had religion, had a high monthly income on average, and owned their house; and the level of ego integrity was high among those who had a high monthly income on average, owned their house, and lived alone for a longer time. Second, the lower the level of psychosocial dependence, the higher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ego-integrity. In addition,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was revealed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influence of psychosocial dependence on ego integrity. Conclusion : The mediation effect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s a part of social welfare intervention intended to encourage the elderly living alone who belong to social environment with a weak foundation of care and support to reduce psychosocial dependence and enhance ego integrity, has been verified in this study. Therefore,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various methods for social welfare intervention are proposed.

      • KCI등재후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시설여가프로그램의 특성과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강정희(Kang, Jeong-Hee),윤기혁(Youn, Ki-Hyok),조윤득(Jo, Yeun-Duk)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2016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이후 변화하는 노인요양시설의 환경에서 현재 제공되는 여가프로그램의 종류와 특성, 여가프로그램의 제약요인을 검토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심층면접을 바탕으로 한 질적 연구가 실행되었다. 부산의 노인요양시설 2곳이 연구현장으로 선택되었고, 각 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시설 종사자 7명이 연구 참여자로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시설노인의 만족도가 높은 프로그램은 3개의 특성으로 범주화되었고, 만족도가 낮은 프로그램은 2개의 특성으로 범주화되었다. 그리고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시설노인의 반응과 이유도 함께 분석이 되었고, 프로그램 실행의 제약 요인은 시설노인의 개인적 요인과 시설의 구조적 요인으로 범주화 되어졌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심리사회적 안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써 여가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을 위한 함의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racteristics and constraints of leisure programs for elderly residents in nursing home setting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qualitative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7 nursing home staff members working at two nursing homes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s follows: Leisure programs that showed elderly residents positive response were identified as 3 features; family members’ engaging in leisure program and cooperation by children, adolescents, or volunteers; satisfying elderly residents physical needs; satisfying elderly residents emotional needs. Leisure programs that showed elderly residents’ negative response were identified as 2 features: simple recreation or art activities provided by nursing home staff; feminine activities such as cooking. Constraints in providing leisure program were elderly residents individual factors and structural factor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elderly residents’ psychosocial well-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