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전이를 통한 Poly(L-lactide) 스캐폴드 막의 제조에서의 용매의 효과

        조유송,김영경,구자경,박종순 한국막학회 2014 멤브레인 Vol.24 No.2

        상전이 과정을 통하여 poly(L-lactic acid) 재질의 다공성 스캐폴드 막을 제조하였다. 비용매로는 에탄올을 사용하였고, 용매로서 chloroform, dichloromethane 및 1,4-dioxane을 사용하였으며, 제조한 스캐폴드 막의 모폴로지와 기계적 강도 및 물질전달 특성은 각각 SEM, 인장강도실험 및 당 확산실험을 통하여 측정, 평가하였다. chloroform을 용매로 사용한 스캐폴드 막과 dichloromethane을 용매로 사용한 스캐폴드 막은 서로 유사한 모폴로지와 기계적 특성을 보였다. 이들 스캐폴드 막은 공극 직경 3-10 µm의 다공성 스펀지 구조를 보였으며, 범위 50-80%의 공극률을 보였다. 1,4-dioxane 용매의 용액으로부터제조된 스캐폴드 막은 공극률 80% 이상의 나노섬유 형태를 보였다. 캐스팅 용액 내의 고분자 함량이 4% 이하로 낮추었을 때에는 나노섬유 구조의 바탕에 수십 µm의 거대 공극이 존재하는 높은 공극률(90%)을 갖는 스캐폴드 막이 얻어졌다. 이러한결과를 통하여 스캐폴드 막의 구조에 대하여 용매는 중요한 효과를 미치며, 상전이 과정에서 용매선택과 캐스팅 용액의 농도조절을 통하여 다양한 구조의 스캐폴드 막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Porous poly(L-lactic acid)(PLLA) scaffold membranes were prepared via. phase separation process. Chloroform, dichloromethane and 1,4-dioxane were used as solvent and, ethyl alcohol was used as non-solvent. Morphologies, mechanical properties and 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scaffold membranes were investigated through SEM, stress-strain test and glucose diffusion test. The scaffold membranes obtained from the casting solutions with chloro-form and with dichloromethane showed similar morphologies. They showed sponge-like porous structure with the pore size in the range of 3-10µm and, their porosities were in 50-80% range. Using 1,4-dioxane as solvent, nano-fibrous scaffold membranes with porosities over 80% were fabricated. When the polymer content in the solution with 1,4-dioxane was low-ered to 4%, highly porous, macroporous and nano-fibrous scaffold membranes were obtained. The size of the macropore was tens of the microns and the porosity was around 9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olvent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scaffold membrane structure and, that scaffold membranes with various structures can be fabricated through phase sepa-ration method by choosing solvent and by controlling polymer concentration in the casting solution.

      • 상전이/염 침출 복합법을 통한 스캐폴드막의 제조

        조유송,구자경,박종순 한국막학회 2015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5 No.05

        스캐폴드는 손상된 조직을 보호, 지지하고, 세포분화 및 증식을 위한 공간을 임시로 제공하여 조직의 회복을 유도한다. 이에, 스캐폴드막은 생체친화성과 생분해성을을 지녀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Poly(L-lactide)를 사용하였고, 상전이법을 기초로 하여 스캐폴드막을 제조하였으며, 대형공극을 형성하기 위하여 염 침출법을 복합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 높은 공극률의 다공성 스캐폴드막을 얻을 수 있었으며, 기존의 여타 방식에 비해 월등히 간단한 방식으로 스캐폴드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Polyethersulfone-PVP 용액의 상전이를 통한 아연공기전지의 다공성 분리막 제조

        조유송,구자경 한국막학회 2014 멤브레인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아연공기전지용 분리막으로 사용하기 위한 다공성 막을 Polyethersulfone (PES) 용액의 상전이법을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캐스팅 용액은 PES/polyvinylpyrrolidone(PVP)/N-methylpyrrolidone(NMP) 용액으로 그리고, 비용매는 물을 사용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분리막을 이용하여 아연공기전지를 제작하였다. 분리막의 모폴로지는 캐스팅 용액 내의 PES 및 PVP의 함량을 통해 조절하였다. 제조된 분리막의 기계적 특성, 이온전도도 및 모폴로지는 인장실험, im-pedance 실험 및 S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아연공기전지의 성능은 current interrupt method (CIM)와 정전류 방전실험을통하여 측정하였다. 캐스팅 용액 내의 PES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기계적 강도는 증가한 반면 이온전도도는 감소하였다. 반면, 캐스팅 용액 내의 PVP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온전도도는 증가하였지만 기계적 강도는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이온전도도 경향의 아연공기전지 내에서의 효과는 current interrupt method와 정전류 방전실험에서 확인되었다. PES 함량이 높은 캐스팅 솔루션의 분리막으로 제조된 전지는 높은 IR 손실과 낮은 방전용량을 보였으며, PVP 함량이 높은 캐스팅 솔루션의 분리막으로 제조된 전지는 낮은 IR손실과 높은 방전용량을 보였다. Porous flat sheet membranes for separators in Zn air batteries were prepared with polyethersulfone (PES) sol-utions by immersion precipitation phase inversion method. PES/polyvinylpyrrolidone(PVP)/N-methylpyrrolidone(NMP) mix-tures were used for casting solutions and water was used for coagulant. With the separators, Zn air batteries were fabricated. The separators were characterized by means of stress-strain test, impedance test and SEM. The Zn air batteries were tested by current interrupt method (CIM) and galvanostatic discharge method. The tensile strength increased with increasing PES content in the casting solution while the ionic conductivity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ionic conductivity increased while the tensile strength decreased with increasing PVP content. The effect of ionic conductivity trend of the separator in the Zn air battery was confirmed through current interrupt method and galvanostatic discharge method experiments. The bat-tery with the separator from casting solution with higher PES content showed higher IR drop and lower discharge capacity. And the battery with the separator from casting solution with higher PVP content showed lower IR drop and higher dis-charge capacity.

      • KCI등재

        Polyetherimide-PVP 용액의 상전이를 통한 아연공기전지의 다공성 분리막 제조

        조유송,김영경,구자경 한국막학회 2014 멤브레인 Vol.24 No.3

        아연공기전지의 분리막으로 사용하기 위한 Polyetherimide (PEI) 재질의 막을 제조하였다. 막의 제조는 상전이법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캐스팅 용액은 PEI, n-methylpyrolidone (NMP) 및 polyvinylpyrolidone (PVP)으로 이루어졌다. 제조한 분리막을 이용하여 아연공기전지를 제작하였다. 캐스팅 용액 내의 PEI 함량과 캐스팅 용액에 대한 PVP 첨가량이 분리막의 모폴로지, 기계적 강도와 이온전도도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SEM, 인장강도실험 및 임피던스 실험을 통하여 측정, 평가하였다. 아연공기전지의 전기화학적 성능은 정전류 방전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캐스팅 용액 중의 PEI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는 증가하였으며, 캐스팅 용액에의 PVP 첨가는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용액 내의 PEI 함량이 증가하면서 분리막의 이온전도도는 감소하였다. 용액에 PVP를 첨가하는 데에 있어서 첨가량 10 wt%까지는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분리막의 이온전도도는 증가하였다. PVP 첨가량이 10 wt%에서 이온전도도는 0.1 S/cm의 최대값을 보인 후 추가의 첨가에 따라서는 이온전도도가 감소하였다. 분리막의 이온전도도는 공기아연전지의 용량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높은 이온전도도를 갖는 분리막으로 제조한 전지가 높은 용량을 보였다. Polyetherimide (PEI) membranes for separators in Zn air batteries were prepared via phase inversion process from casting solution composed of PEI, n-methylpyrolidone (NMP), and polyvinylpurrolidone (PVP). Furthermore, Zn air batteries were fabricated with the separators. The effects of PEI content and PVP addition in the casting solution on the morphology, mechanical strength, ionic conductivity were investigated through SEM, stress-strain test and ac impedance test. The elelctrochemical performances of the batteries were evaluated through galvanostatic discharge analysis.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membrane increased with increasing PEI composition in the casting solution. Little effect of PVP addition in-to the solution on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membrane was investigated. The ionic conductivity value decreased with increasing PEI composition in the solution. With addition of PVP, ionic conductivity of membrane increased until 10 wt% to show the maximum value of 0.1 S/cm. In the higher range of PVP addition over 10%, the ionic conductiv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PVP addition. Ionic conductivity of separator strongly affected the capacity of Zn air battery, and the battery assembled with the separator which showed high ionic conductivity showed high capacity.

      • KCI등재

        장애인과 건강보험인구의 다빈도 상병과 진료비 비교: 시각, 청각, 지적장애를 중심으로

        조유송 ( Yusong Cho ),한은아 ( Eunah Han ),전보영 ( Boyoung Jeon ),이혜재 ( Hyejae Lee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022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8 No.1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더 많은 건강문제를 갖는다. 장애인이 어떤 질환을 앓고 있으며, 이를 관리하기 위해 지출하는 의료비의 현황을 살펴보는 것은 장애인의 보건정책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이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다빈도질환별 의료비 지출 현황을 일반인구와 비교하고 후속연구와 장애인 보건정책을 위한 기초근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자료원으로 국가승인통계인 ‘장애인건강보건통계’와 ‘건강보험통계’를 사용하였으며, 다빈도 상병별 의료비 지출에 대한 통계지표를 동일한 정의 하에 재구성하여 비교하였다. 특히 시각, 청각, 지적장애인들은 비장애인과 동일한 만성질환을 앓게 되어도 의사소통의 문제로 적절한 예방, 치료 및 재활에 어려움을 겪어 정책적 대상이 되는바, 전체 장애인에 대한 결과와 함께 이들 장애유형별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장애인구에서 건강보험인구에 비해 근골격계 상병과 치과계 상병을 앓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장애인은 건강보험인구에 비해 동일 상병에 대한 1인당 진료비 지출 수준이 낮았고, 본인부담 비율도 낮았다. 각 장애유형에 따라 다빈도 상병 및 지출은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시각장애인에서는 녹내장과 기타 망막장애가, 청각장애인에서는 전음성 감각신경성 청력소실이, 지적장애인에서는 뇌전증으로 인한 의료이용과 이로 인한 의료비 지출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기 구축된 국가승인통계를 재구성하여 장애인의 다빈도 상병과 의료비 지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 결과로 향후 필요한 심층연구를 제안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more health problems than people without disabilities, and it is important to look at the patterns of medical expenses of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edical costs by diagnostic code between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general population, and to provide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and policies for the disabled focusing on the visual, hearing,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data sources, the nationally approved statistics, ‘Healthcare Statistic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Statistics’ were used, and the statistics for medical costs by diagnostic code were re-constructed under the same definition and compared. There were more cases of musculoskeletal morbidity and dental morbidity in the disabled people than in the health insurance population. Compared to the NHI population, the disabled had lower medical costs per capita for the same disease, and their out-of-pocket payments were also lower. Some diagnostic code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type of disability, such as ‘glaucoma(H40)’ for the visually disabled, ‘conductive and sensorineural hearing loss(H90)’ for the hearing disabled, and ‘epilepsy(G40)’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ranked higher than in the NHI population, and the expenditures of the diseases were large.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frequent morbidity and medical costs of the disabled were derived by re-constructing the previously developed statistics, and it is meaningful that further researches can be proposed.

      • KCI등재

        순수용매와 혼합용매를 이용한 상전이를 통한 Poly(L-lactide) 스캐폴드 막의 제조

        김영경,조유송,구자경 한국막학회 2015 멤브레인 Vol.25 No.1

        순수용매와 혼합용매를 사용한 상전이를 통하여 poly(L-lactic acid) (PLLA) 스캐폴드 막을 제조하였다. 순수용매로서 chloroform과 1,4-dioxane을 사용하였으며, 이들 순수용매를 혼합하여 혼합용매를 제조하였다. 스캐폴드 막의 모폴로지, 기계적 특성 그리고, 물질전달 특성을 각각 SEM, 인장강도실험 및 당 확산실험을 통하여 측정, 평가하였다. 순수 chloroform 용매를 사 용한 용액으로부터는 격벽-공극 구조(solid-wall pore structure)의 스캐폴드 막이 제조되었다. 반면, 순수 1,4-dioxane 용매를 사용 한 용액으로부터는 나노섬유 구조의 스캐폴드 막이 제조되었다. 혼합용매의 경우 용매 내의 조성이 변화하면서 다양한 구조의 스 캐폴드 막이 제조되었다. 혼합용매 내 1,4-dioxane 함량이 20% 이하인 경우에는 격벽-공극 구조의 스캐폴드 막이 제조되었으며, 1,4-dioxane 함량이 20%인 경우에는 최대직경 100 μm의 거대공극을 갖는 구조를 보였다. 1,4-dioxane 함량이 25% 이상인 구간 에서는 나노섬유 구조의 스캐폴드 막이 제조되었다. 이 구간에서는 혼합용매 내 1,4 dioxane 함량이 변화함에 따라 나노섬유의 직경이 함께 변화하였다. 나노섬유의 최소직경은 15 nm 가량이었으며, 혼합용매 내의 1,4-dioxane 함량이 80 wt%일 때에 얻어졌 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용매의 조성은 스캐폴드 막의 구조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paper reports a fabrication of poly(L-lactic acid) (PLLA) scaffold membranes through phase separation process using pure and mixed solvents. Chloroform and 1,4-dioxane were used as pure solvents and mixed solvents were obtained by mixing the pure solvents together. Morphologies, mechanical properties and 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scaffold membranes were investigated through SEM, stress-strain test and glucose diffusion test. Scaffold membranes from the solution with pure chloroform showed solid-wall pore structure. In contrast, nano-fibrous membranes were fabricated from the solution with pure 1,4-dioxane. In case of mixed solvents, the scaffold membranes showed various structures with changing composition of the solvents. When 1,4-dioxane content was lower than 20 wt% in the solvent, scaffold membrane showed solid-wall pore structure. When the content was 20 wt%, scaffold membranes with macropores with the maximum size of 100 μm was obtained. 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1,4-dioxane over 25 wt%, the scaffold membranes showed nano-fibrous structures. In this range, the fibers showed different diameters with changing composition of the solvent. The minimum fiber diameter was about 15 μm, when 1,4-dioxane composition was 80 w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position of the solven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ructure of scaffold membrane.

      • KCI등재

        순수용매와 혼합용매를 이용한 상전이를 통한 Poly(L-lactide) 스캐폴드 막의 제조

        김영경,조유송,구자경,Kim, Young Kyoung,Cho, Yu Song,Koo, Ja-Kyung 한국막학회 2015 멤브레인 Vol.25 No.1

        순수용매와 혼합용매를 사용한 상전이를 통하여 poly(L-lactic acid) (PLLA) 스캐폴드 막을 제조하였다. 순수용매로서 chloroform과 1,4-dioxane을 사용하였으며, 이들 순수용매를 혼합하여 혼합용매를 제조하였다. 스캐폴드 막의 모폴로지, 기계적 특성 그리고, 물질전달 특성을 각각 SEM, 인장강도실험 및 당 확산실험을 통하여 측정, 평가하였다. 순수 chloroform 용매를 사용한 용액으로부터는 격벽-공극 구조(solid-wall pore structure)의 스캐폴드 막이 제조되었다. 반면, 순수 1,4-dioxane 용매를 사용한 용액으로부터는 나노섬유 구조의 스캐폴드 막이 제조되었다. 혼합용매의 경우 용매 내의 조성이 변화하면서 다양한 구조의 스캐폴드 막이 제조되었다. 혼합용매 내 1,4-dioxane 함량이 20% 이하인 경우에는 격벽-공극 구조의 스캐폴드 막이 제조되었으며, 1,4-dioxane 함량이 20%인 경우에는 최대직경 $100{\mu}m$의 거대공극을 갖는 구조를 보였다. 1,4-dioxane 함량이 25% 이상인 구간에서는 나노섬유 구조의 스캐폴드 막이 제조되었다. 이 구간에서는 혼합용매 내 1,4 dioxane 함량이 변화함에 따라 나노섬유의 직경이 함께 변화하였다. 나노섬유의 최소직경은 15 nm 가량이었으며, 혼합용매 내의 1,4-dioxane 함량이 80 wt%일 때에 얻어졌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용매의 조성은 스캐폴드 막의 구조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paper reports a fabrication of poly(L-lactic acid) (PLLA) scaffold membranes through phase separation process using pure and mixed solvents. Chloroform and 1,4-dioxane were used as pure solvents and mixed solvents were obtained by mixing the pure solvents together. Morphologies, mechanical properties and 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scaffold membranes were investigated through SEM, stress-strain test and glucose diffusion test. Scaffold membranes from the solution with pure chloroform showed solid-wall pore structure. In contrast, nano-fibrous membranes were fabricated from the solution with pure 1,4-dioxane. In case of mixed solvents, the scaffold membranes showed various structures with changing composition of the solvents. When 1,4-dioxane content was lower than 20 wt% in the solvent, scaffold membrane showed solid-wall pore structure. When the content was 20 wt%, scaffold membranes with macropores with the maximum size of $100{\mu}m$ was obtained. 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1,4-dioxane over 25 wt%, the scaffold membranes showed nano-fibrous structures. In this range, the fibers showed different diameters with changing composition of the solvent. The minimum fiber diameter was about $15{\mu}m$, when 1,4-dioxane composition was 80 w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position of the solven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ructure of scaffold membrane.

      • KCI등재

        우리나라 프로톤펌프저해제 사용 양상에 대한 연구 : 2016-2020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데이터를 이용한 분석

        오주아(Joo-Ah Oh),이규민(Gyu-Min Lee),정서연(Seo-Yeon Chung),조유송(Yu-Song Cho),이혜재(Hye-Jae Lee) 대한약학회 2021 약학회지 Vol.65 No.4

        Proton Pump Inhibitors (PPIs) are drugs that inhibit gastric acid secretion and are widely used globally. With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rising prevalence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in Korea, the number of patients using PPIs is increasing.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PPI utilization at the national level using the nationwide database, Healthcare Bigdata Hub compiled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HIRA). We extracted the statistics from 2016 to 2020 and re-organized them into monthly utilization by treatments. The cost and volume of use by region, provider type, and diagnostic code were extracted for five PPIs: pantoprazole, rabeprazole, omeprazole, esomeprazole, and lansoprazole. The volume of use was converted into Defined Daily Dose (DDD), which is the standardized unit of utilization. Esomeprazole and rabeprazole were the most commonly used PPIs, and esomeprazole has shown a sharp increase recently. The crude utilization of each region was the highest in Seoul, but that in Daegu and Jeonbuk was the highest after adjusting for the population size. The utilization of PPIs has increased in all diagnostic codes, an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accounts for the highest proportion. Despite emerging concerns on the adverse outcomes of long-term PPI utilization, their consumption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These results on the variations by region and trends by diagnostic code thus address a good basis for future research and policies regarding PP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