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한판의 관통균열과 유한판의 반타원 표면균열의 하한계응력확대계수 및 피로한도 연구

        박환성(Hwan-Seong Park),김민헌(Min-Heon Kim),남기우(Ki-Woo Nam) 대한기계학회 2021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45 No.2

        선형파괴역학은 금속 및 세라믹의 균열문제를 정량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특히 파괴인성(Kc)과 피로균열진전의 하한계응력확대계수(△Kth)는 균열 크기에 의존한다. 선형파괴역학은 균열선단부에 발생하는 소성 영역이나 비선형영역이 균열 크기에 비하여 매우 작은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작은 균열은 이 조건이 만족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Ando 등이 제안한 피로 특유의 소성거동과 응력비를 고려한 식을 사용하여, 피로 하중에 의한 표면 작은 균열 크기의 하한계응력확대계수(△Kth) 및 피로한 도(△σω)을 평가하였다. 또한, 비교하기 위하여 무한판의 관통 균열에 대해서도 평가하였다. Linear fracture mechanics can quantitatively address the problem of cracks in metals and ceramics. In particular, the fracture toughness (Kc) and threshold stress intensity factor (△Kth) of fatigue crack propagation depend on the crack size. Linear fracture mechanics assume that the plastic zone or nonlinear zone occurring at the crack tip is very small compared to the crack size. However, short cracks do not satisfy this condition. Hence, the threshold stress intensity factor (△Kth) and the fatigue limit (△σω) of short surface crack size due to fatigue load were evaluated using an equation that considers the stress ratio and the plastic behaviors of peculiar fatigue proposed by Ando et al. In addition, the through crack of the infinite plate was evaluated for comparison.

      • 견갑부 탄성섬유종

        강현귀,환성,원서,이주혁,김한수,Kang, Hyun-Guy,Cho, Hwan-Seong,Park, Weon-Seo,Lee, Joo-Hyuk,Kim, Han-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2 No.2

        Purpose: We report elastofibroma which is a rare fibrous lesion that most commonly occurs in the between subscapularis and thoracic cage. Materials and Methods: Four patients include one man and three women, the average age was 70 years and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six months. Two patients had on left side, two patients had on both sides. Main symptom was palpable mass. One patient complained mild pain, two complained scapular snapping. Results: All four masses removed with marginal or wide margin. Average mass size was 9.7${\times}$7.2${\times}$3.8 cm. Preoperative symptoms disappeared after surgery. All of the patients have returned to their daily living and showed no recurrence. There was no serious complication such as limitation of shoulder motion and winged scapula. Conclusion: Elastofibroma scapulae can be diagnosed through patient's age, tumor location and radiological finding without preoperative biopsy. When patient is symptomless, observation is enough without surgical operation. Surgical operation considered for relieve of symptoms of pain and snapping. 목적: 탄성섬유종은 드물게 견갑하부와 흉벽사이에서 발생되는 양성 연부조직 종양으로 단기간에 경험한 예에 대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총 4예로 남자 1예 여자 3예이며, 평균 연령은 72세(65~77세), 추시 기간은 6개월(4~8개월)이었다. 4예 모두 견갑골과 흉곽 사이의 견갑골 하방부에 발생하였다. 2예에서 좌측에 발생되었고 2예에서 양측으로 발생하였다. 환자의 증상은 촉지되는 종괴 외에 1예에서 견갑부 동통, 2예에서 견갑부 탄발음, 1예는 무증상이었다. 결과: 4예 모두 변연절제술 이상의 절제연을 가지고 제거하였으며 절제해 낸 종괴의 크기는 평균 9.7(7.5~11.5)${\times}$7.2(4.4~11)${\times}$3.8(3~5) cm 이었다. 술전 증상들은 술후 모두 소실되었고, 4예 모두에서 술후 1개월부터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가능하였다. 추시 기간 동안 관절부 운동범위 제한, 익상견갑 등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고, 증상 재발의 소견도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견갑부에 발생된 탄성섬유종은 환자의 연령, 발생위치, 방사선학적 소견으로 술전 진단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진단적 생검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증상이 없을 경우 수술적 치료 없이 추시 관찰이 가능하고 동통 및 탄발음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증상의 호전을 위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압축잔류응력 분포에 따르는 무해한 균열 크기 평가

        김민헌(Min-Heon Kim),박환성(Hwan-Seong Park),김동규(Dong-Kyu Kim),남기우(Ki-Woo Nam) 대한기계학회 2019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9 No.11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harmless crack size according to the compressive residual stress as a basic study to evaluate the safety of hydrogen storage tank. The harmless crack dimension depends on the residual stress and the crack aspect ratio(As). As = 1.0 and 0.6 were determined as crack depth at large residual stresses and crack lengths at medium and small residual stresses. As = 0.3 was determined as the crack depth regardless of the magnitude of the residual stress. The harmless crack size by shot peening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sidual stress and the crack aspect ratio.

      • 유한판 중의 반타원표면균열의 피로한도 예측

        김민헌(Min-Heon Kim),박환성(Hwan-Seong Park),김동규(Dong-Kyu Kim),남기우(Ki-Woo Nam) 대한기계학회 2019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9 No.11

        Fatigue fracture is the result of repetitive cyclic short-time stress or tensile stress, or deformation well below the tensile or flexural strength of the material. In order to use the structure safely,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life of small cracks. In this study, using Ando formula considering plastic deformation, fatigue limit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Nakagawa et al. Since the fatigue limit of the surface crack should be evaluated as the crack with the larger stress intensity factor, As = 1.0 should be evaluated as surface, and As = 0.4 should be evaluated as depth. At this time, evaluation by equivalent crack length showed good agreement.

      • KCI등재

        악성 골종양의 부분 피질골 절제술의 결과

        조완형(Wan-Hyeong Cho),공창배(Chang-Bae Kong),전대근(Dae-Geun Jeon),박환성(Hwan Seong Park),송원석(Won Seok S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2

        목적: 골표면 또는 편심성으로 위치하는 골종양은 골수강 내의 침습이 적어서 부분 피질골 절제술(hemicortical resection)을 시도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악성 골종양에서 부분 피질골 절제술의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부터 2014년 사이에 부분 피질골 절제술을 받은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골성 골육종이 10예, 골육종 5예, 골막성 연골육종 2예, 연골 육종 1예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61개월(24-125개월)이었다. 부분 피질골 절제술 후 종양학적 결과, 골 유합률, 합병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3명(16.7%)의 방골성 골육종 환자에서 국소 재발이 발생하여 재절제를 시행하였으나 1명은 전이가 발생하여 사망하였다. 재건술을 시행한 15명의 환자 가운데 감염으로 이식물을 제거한 2명을 제외한 13명의 환자 중 12명(92.3%)에서 평균 8개월(5-13개월)후 골 유합이 이루어졌다. 합병증으로 골절은 2명(11.1%)의 환자에서 발생하였고, 감염은 3명(16.7%)의 근위 경골 골육종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편심성 또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악성 종양의 경우 부분 피질골 절제술을 시행하여 비교적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근위경골의 경우 감염의 위험성이 높은 점을 주의해야 할 것이다. Purpose: Hemicortical resection may be applied to bone tumors arising at the bone surface or of eccentric location due to minimal medullary invol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s of hemicortical resection for malignant bone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8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hemicortical resection between 2005 and 2014. The study included 10 patients with parosteal osteosarcoma, 5 patients with osteosarcoma, 2 patients with periosteal chondrosarcoma, and 1 patient with chondrosarcoma, who were followed-up for a mean duration of 61 months (24–125 months). We evaluated 1) the oncologic outcome (recurrence, metastasis), 2) the rate of bony union, and 3) complications, such as fracture or infection, after hemicortical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Results: There were local recurrences in 3 parosteal osteosarcoma patients (16.7%). After subsequent re-excision for recurrence, one patient died of metastasis. The defect after hemicortical resection was reconstructed by bone graft in 15 patients and the grafts were removed for infection in 2 patients. Bone grafts were united in 12 (92.3%) out of 13 patients at 8 months (5–13 months) after reconstruction on average. Host bone fractures occurred in 2 patients (11.1%); infection developed in 3 patients (16.7%), who received hemicondylar resection for osteosarcoma in proximal tibia. Conclusion: Hemicortical resection for eccentric tumors or small tumors showed good clinical results. There is relatively a high risk of infection in the lesion of proximal tibia.

      • KCI등재

        대퇴골 전치환술 받은 악성 골종양 환자의 생존인자와 합병증

        조완형(Wan Hyeong Cho),전대근(Dae-Geun Jeon),송원석(Won Seok Song),박환성(Hwan Seong Park),남희승(Hee Seung Nam),김경훈(Kyung Hoo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3

        목적: 대퇴골 전치환술은 사지재건술의 극단적 술식 중 하나이며 증례가 드물어 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술식 후의 합병증에 대한 분석이며 본 술식의 적응증에 대한 분석은 미미하다. 저자들은 대퇴골 전치환술 36예의 1) 종양적 문제로 치환술을 받은 환자의 생존에 관련된 예후인자, 2) 치환물 및 하지의 생존율, 3) 치환물을 3년 이상 추시한 예의 합병증, 최종 하지 상태 및 기능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퇴골 전치환술을 받은 이유에 따라 원발성 종양에 의한 경우(15예, 1군), 오인 수술 및 국소재발로 인한 경우(16예, 2군), 재건물 실패로 인한 경우(5예, 3군)의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환자 생존인자 분석 항목은 나이, 성별, 전치환술 원인, 항암요법 전후 종양 부피 변화, 절제연, 국소재발이었다. 결과: 전체 36예의 5년 환자 생존율은 31.5%±16.2%였다. 종양과 관련된 적응증으로 치환술을 받은 31예의 5년 생존율은 21.1%±15.6%였다. 항암요법 전후 종양의 크기가 같거나 감소한 10예의 5년 생존율은 50.0%±31.0%로 크기가 증가한 13예의 0.0%±0.0%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2). 광범위 절제연을 얻은 12예의 5년 생존율은 41.7%±27.9%로 변연부 절제연의 0.0%±0.0%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3). 성별, 나이, 대퇴골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원인, 치환술 후 국소 재발여부와 생존율과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치환물 36예에서 5년 생존율은 16.6%±18.2%였다. 하지의 10년 생존율은 85.9%±14.1%였다. 최종 추시상 종양인공관절을 유지한 것이 12예, 회전성형술은 2예, 슬관절 상부 절단술 1예, 관절고정술 1예였다. 대퇴골 전치환술 후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16예 중 수술이 필요했던 주 합병증이 14예, 보존적 치료만 했던 저등급 감염이 2예였다. 수술한 환자 14예 중 감염이 10예(71.4%)예, 국소재발이 2예, 고관절 탈구, bushing 파손, 대퇴동맥 폐색이 각각 1예였다. 결론: 종양과 관련된 적응증으로 대퇴골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중 항암요법 후 종양의 크기가 커지거나 절제연이 불량한 경우, 환자가 조기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전치환술의 시행에 신중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장기 생존 환자에서도 감염률이 높고 기능적 결과도 만족스럽지 않으나 현재 적응증을 고려했을 때 대퇴골 전치환술은 사지보존을 위한 최선의 방법으로 보인다. Purpose: Total femoral replacement (TFR) is an extreme form of limb salvage. Considering the rarity of this procedure, reports have focused on the complications and a proper indication is unclear. This study analyzed 36 patients with TFR who were asked the following: 1)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survival in patients who underwent TFR with a tumoral cause; 2) overall implant and limb survival; 3) complications, functional outcome, and limb status for patients surviving for more than 3 years. Materials and Methods: According to the causes for TFR, 36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extensive primary tumoral involvement (group 1, 15 cases), tumoral contamination by an inadvertent procedure or local recurrence (group 2, 16 cases), and salvage of a failed reconstruction (group 3, 5 cases). The factors that may affect the survival of patients included age, sex, cause of TFR, and tumor volume change after chemotherapy. Results: The overall five-year survival of the 36 patients was 31.5%±16.2%. The five-year survival of 31 patients with tumoral causes was 21.1%±15.6%. The five-year survival of 50.0%±31.0% in patients with a decreased tumor volume after chemotherapy was higher than that of increased tumor volume (p=0.02). The five-year survival of 12 cases with a wide margin was 41.7%±27.9%, whereas that of the marginal margin was 0.0%±0.0% (p=0.03). The ten-year overall implant survival of 36 patients was 85.9%±14.1%. The five-year revisionfree survival was 16.6%±18.2%. At the final follow-up, 12 maintained tumor prosthesis, three underwent amputation (rotationplasty, 2; above knee amputation, 1), and the remaining one had knee fusion. Among 16 patients with a follow-up of more than three years, 14 patients underwent surgical intervention and two patients had conservative management. Complications included infection in 10 cases, local recurrences in two cases, and one case each of hip dislocation, bushing fracture, and femoral artery occlusion. Conclusion: Patients showing an increased tumor volume after chemotherapy and having an inadequate surgical margin showed a high chance of early death. In the long-term follow-up, TFR showed a high infection rate and the functional outcome was unsatisfactory. Nevertheless, this procedure is an inevitable option of limb preservation in selected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