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마음챙김, 단일개념인가, 복합개념인가?

        조옥경 ( Ok Kyeong Cho ),윤희 ( Hee Jo Youn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3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9 No.2

        마음챙김이 서구에 도입된 지 100여년이 지난 현재 연구자들은 효과검증을 넘어서 작용기전과 과학적 모델수립을 위한 연구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연구자들은 다양한 이론적 배경, 연구목적에 따라서 마음챙김을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마음챙김의 정의, 발생과정, 작용기전, 척도를 살피고 불교의 수행적 맥락에서 보는 마음챙김과 심리학의 마음챙김이 어떻게 조우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일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심리학에서 마음챙김은 알아차림과 특정 태도가 핵심을 이룬다. 태도는 현재중심적, 의도적, 비판단적, 수용적, 개방적인 태도를 말한다. 불교의 마음챙김 확립과 발생의 차원에서 볼 때, 마음챙김은 분명한 알아차림, 태도, 감각기능의 단속이라는 측면을 가진다. 태도와 관련해서는 중도적인 태도, 감각기관의 단속, 지혜라는 측면은 심리학에는 찾아볼 수 없는 불교적 요소가 될 것이다. 이렇듯 마음챙김은 단일개념이라기 보다는 복합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마음챙김의 작용기전과 관련된 IAA 모델과 DAH 모델뿐만 아니라 마음챙김 척도의 하위구성개념에서도 마음챙김은 복합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마음챙김 척도는 마음챙김이 특질일 수도 있고 상태일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심리학에서 사용되는 10가지 대표적인 마음챙김 척도에는 특질과 상태가 혼재되어 있다. 최근에는 불교수행의 맥락을 고려하여 마음챙김을 특질이 아니라 특정한 ‘상태’로 보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경험내용보다는 경험에 대한 태도를 강조하고, 마음챙김 수행은 과정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불교의 수행적 맥락을 고려하여 마음챙김을 올바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마음챙김이 불교에 그 기원을 두고 있음을 고려할 때 수행적 맥락과 발생적 맥락을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이 지점에서 불교와 심리학의 조우가 가능하다고 하겠다. Almost a hundred years have pas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mindfulness in the western society. Researchers have scientifically proved its beneficial effects for mind and body, and they are now trying to set up its proper theoretical model. Their approaches are different depending upon their theoretical backgrounds and research goals. This study aims to search meaning of mindfulness, occurrence, mechanism, and the mindfulness scales and to show how Buddhism has come across western psychology in the fruitful way. Definition of mindfulness in psychology presupposes two components of mindfulness: awareness and special attitude. The attitude should be open, acceptive, present-centered, intentional, non-judgmental. Considering the occurrence and the establishment of mindfulness in early Buddhism, it clearly involves clear awareness, attitude, control of sensation and wisdom. The monitoring of sense organs, the middle-way attitude, and wisdom are found only in Buddhism, not in psychology. Accordingly mindfulness can be seen as a complex concept rather than a single concept. As mechanism of mindfulness, IAA model and DAH model was proposed to explain how mindfulness affects positive changes. And various mindfulness scales have been developed as the methods for assessing it to answer questions. Two models and those scales also tend to show that the construct of mindfulness is multi-dimensional. In recent years, mindfulness researchers and clinicians begin to perform their researches on it as a mental behavior, which is statelike variable consistent with traditional Buddhist practices. Here it is emphasized that the attitudes toward our experiences are more important than the experiences themselves, and the mindfulness is just a process-oriented practices. When we take account of the fact that the original mindfulness comes from Early Buddhism, we have to examine why mindfulness was so important in Buddhist practices and how psychology comes to terms with Buddhism.

      • KCI등재

        불교와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자애와 연민

        조옥경(Cho, Ok-Kyeong),윤희(Youn, Hee-Jo)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6 No.4

        불교적 전통에서 자비는 하나의 단어로 사용됨으로 인해서 유사한 마음상태를 지칭하는 것처럼 보이나 ‘자’와 ‘비’는 각각의 의미, 수행방법, 반대되는 마음상태의 측면에서 구분된다. 빨리어 멧따에 해당하는 자애는 이익과 행복을 주려는 마음이고, 까루나에 해당하는 연민은 불이익과 괴로움을 없애려는 마음이다. 악의와 상해가 각각에 대한 대표적인 반대되는 마음이다. 수행법에 있어서도 둘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다. 초기불교에서 대승불교로 나아가면서 연민을 강조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심리적 역동에서 연민은 부정적 정서에 대한 회피로 인해서 의지적으로 마음을 내는 것이고, 긍정적 정서를 불러오는 자애는 대상에 접근하려는 동기가 작용하고 주의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뇌과학적 메커니즘에서 자애명상, 연민명상 모두 전측 대상피질과 섬엽이 관여하고 있지만 세부적인 뇌 기전에는 차이가 있다. 심리적 역동과 뇌과학적 메커니즘 둘 다에서 연민은 자애에 비해서 복합적이고, 다층적이고, 다면적인 마음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분에도 불구하고 자애와 연민은 개념과 방법상의 혼란으로 인해서 자비명상으로 함께 다루어지거나, 구태여 구분하지 않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자기자비라는 개념으로 인해서 이러한 혼란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이러한 혼란의 한 원인을 수행의 주체에서 찾아볼 수 있다. 명상의 주체와 수행의 목적에 따라서 명상의 효과가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연민적 사랑은 명상의 주체와 목적이 비교적 분명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자비연구에 있어서 자애와 연민을 자비라는 하나의 개념으로 포괄하는 것을 지양하고 개념, 수행법, 심리역동 등을 구분할 필요와 함께 연민적 사랑과 같이 명상의 주체와 목적을 명시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had been coined one word in Buddhist tradition, but really are separated into different states of mind in meaning and practice. Whereas loving-kindness or mettā in pāli is the state of mind wishing to give benefit and happiness, compassion or karuṇā in pāli is the state of mind wishing to remove harm and unhappiness. Ill-will and vexation are a contrary state of each mind respectively. In methods of practice they have common and different aspects. In Mahayana Buddhism compassion has been emphasized. Compassion and loving-kindness are also different in terms of the psychological dynamics. Compassion often brings up the negative emotion of suffering by way of empathy, so it tends to motivate us to avoid the emotion at first. But we usually exercise our will to approach and help sufferers. Loving-kindness, on the other hand, brings up positive emotion, which tends to expand our attention, and motivate us to approach the object. Neurological studies demonstrated that the anterior cingulate cortex and insula are related to compassion and loving-kindness, but they are distinguished in the detailed brain circuits. 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dynamics and the neurological mechanism, compassion is more complex than loving-kindness and has multi-levels and multi-aspects. In spite of those differences,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are treated as one concept in many studies and researches. The concept of self-compassion, moreover, seems to intensify the confusion. One of the reasons why such confusion occurs may be related to the subject of each meditation practice. The effects of meditation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practitioners are laymen or enlightened persons, and what purpose they practice it. In this respect, compassionate love seems to make clear the subject and the purpose of medit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요가테라피

        조옥경(Cho, Ok-Kyeong) 한국요가학회 2017 요가학연구 Vol.- No.18

        세월호 사태 이후 트라우마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의 트라우마 치료방법은 트라우마가 정신적인 현상일 뿐 아니라 신체 적인 현상임을 파악하고 심신통합적인 관점에서 트라우마에 접근하고 있다. 심신치료 개입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요가는 트라우마 치료 및치유에 효과적임이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입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트라우마가 무엇인지를 개괄하고 요가가 트라우마 치료와 접목된 배경과 원리를 서술하였다. 이와 더불어 트라우마 환자나 내담자에게 주로 적용되는 트라우마 중심 요가 (trauma-sensitive yoga) 와 그 원리를 소개하였 다. TSY는 내담자 중심의 요가자세, 내담자 중심의 자연스러운 호흡, 마음챙김, 권유형 안내, 주의를 기울인 도움을 그 원리로 삼고 있다. 본문 에서 이런 원리들을 자세히 설명하고 그 실제적인 적용 및 TSY를 실시할 때의 주의사항을 서술하였다. 현대인의 심신건강 회복과 증진을 위해 요가의 다양한 기법들을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적용하는 요가테라 피는 트라우마라는 비교적 새로운 분야에 통합되어 빠르게 성장,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을 계기로 한국의 요가테라피스트들이 트라우마 분야에 관심을 기울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e Sewol tragedy has attracted nation’s attention on treating trauma related syndromes. The recent therapeutic techniques for PTSD are more or less focusing on the mindbody interventions having realized that trauma is the physical insults as well as the mental insults. Accordingly researchers begin to examine and prove the various beneficial effects of yoga on the trauma related symptom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ow how yoga is applied to trauma and what is required to invite trauma survivors to trauma-sensitive yoga(TSY). The principles of TSY include 5 elements; client-centered asanas, client-centered natural breathing, mindfulness, invitatory languages, and attentive help. Some of TSY’s asanas are shown with detailed descriptions for the practical purpose. The evidence-based yoga therapy is now in the stage of introduction in Korea. TSY will offer us a good chance to inform the public the value of yoga therapy as a useful tool for trauma.

      • KCI등재

        의식의 상태와 구조를 중심으로 한 견성성불의 심리학적 이해

        조옥경(Cho Ok-kyeong),윤희(Youn Hee-jo) 불교학연구회 2011 불교학연구 Vol.30 No.-

        본 논문은 견성성불을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 가운데 세 번째 관점을 중심으로 견성과 성불을 서양심리학의 의식구조에 대한 발달론적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세 번째 관점에서 견성은 최초의 깨달음을 의미하고 성불은 최고의 깨달음을 의미한다. 둘 사이에 수행이 개입되므로 '견성-수행-성불의 구조'를 가진다. 서구심리학의 의식구조에 대한 발달론적 관점과 명상에 관한 뇌과학적 연구에 의하면 의식의 상태와 구조는 분명히 구분된다. 의식의 구조는 연속적이고 지속적인 반면 의식의 상태는 일시적이고 전이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의식상태는 자연스러운 의식상태와 변성 의식상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의식의 발달은 '변성의식상태-구조화-새로운 의식구조'로 변화한다. 이는 견성성불의 세 번째 관점과 유사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이때의 변성의식상태는 일종의 절정경험으로 초개인단계의 상태를 잠시 엿본 상태로 아직 구조화되지 않은 가변적인 상태이다. 개인의식의 정점에 도달한 의식이 초개인적 의식구조로 나아가기 위한 도약을 성취하는 것이 세 번째 관점에서의 '견성'에 대한 서구심리학적 이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체험 이후에 수행을 통하여 전개되는 심령 정묘 원인 궁극의 초개인적 의식영역으로 나아갈수록 자각 포용 사랑 정체성 실재 자기 진리에 대한 범위와 심도는 증가하게 된다. 이는 '견성'의 체험이 '수행'에 의해서 공고화되고 새로운 지평에서 구조화되면서 '성불'의 단계로 나아가는 과정에 대한 서구심리학적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Satori and becoming a Buddha traditionally has three meanings; the process of self-affirmation by which the mind comes to apprehend its true nature the simultaneous attainment of satori and becoming a Buddha after long period of Zen practices and the gradual attainment of becoming a Buddha after the initial satori.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third meaning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al approach to the structures of consciousness in western psychology. From its perspective satori is the first enlightenment and becoming a Buddha is the last. As this involves the Zen practices between two it has the structure of 'satori-Zen practices-becoming a Buddha'. The states and the structures of consciousness are quite different according to the western developmental approach to human consciousness and the recent research of brain sciences. While the latter is continuous and lasting the former is transitory and passing. The states might be distinguished into natural states and altered states. The consciousness tends to develop gradually from altered states to a new structure by way of structuralization. This process seems similar to the third viewpoint of satori and becoming a Buddha. The altered state of consciousness is a kind of peak experience in that it is a variable one without a firm structure accompanying a glimpse of some transpersonal states. From the perspective of western psychology satori might be understood as a sudden leap towards transpersonal stages of consciousness which often comes after one has reached one's peak of personal stages of consciousness. The long-term Zen practices after those experiences appear to bring more awareness acceptance love stable identity and a greater sense of reality. With Self and Truth the transpersonal stages of psychic subtle causal and ultimate tend to unfold. This process might seem to be analogous to the gradual steps from satori to becoming a Buddha by which the first experience is consolidated for the new level of consciousness.

      • KCI등재후보

        관찰하는 자기(observing self)에 관한 고찰

        조옥경(Cho, Ok-Kyeong) 한국요가학회 2009 요가학연구 Vol.1 No.1

        보는 자 혹은 관찰하는 자로서의 초월적 순수의식은 요가심리학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개념이다. 요가심리학에서는 집중, 명상, 삼매를 통해 도달할 수 있는 순수의식으로서의 관찰하는 자기에 개인의 정체성을 두고 현상적 자기를 해체시킴으로써 실존적 고통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의식 에 대한 이러한 관점은 서양심리학에서도 꾸준히 이어져 왔는데, 윌리암 제임 스는 인간의식을 심도 있게 성찰하는 가운데 정신의 내용인 사고의 흐름을 아는 자인 관찰하는 자기를 최초로 발견하였다. 로베르또 아싸지올리는 관찰하는 자 기를 심리치료에 적극 도입하여 환자들을 심리적 장애로부터 벗어나도록 도왔으며, 켄 윌버는 관찰하는 자기를 성장과 발달의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스스로 비추어 볼 수 있는 의식의 특성은 의식이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으로 환원된다. 인간의식에 대한 탐구는 최근 인지과학자들과 신경과학자들의 주된 관심사로서 이들은 의식을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하면서 연구성과들을 축적시켜가고 있다. 의식 자체의 독립적인 실체를 가정하지 않고는 주관적 의식경험 을 설명할 수 없다는 찰머스의 입장은 관찰하는 자기라는 개념을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조망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였다. 그의 관점을 적극 수용한 바스는 의식적 경험을 정보처리 과정에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특정 공간으로 파악하고, 이를 위해서는 관찰하는 자기의 개념이 유용함을 강조하였다. 관찰하는 자기에 대한 다 학문적 접근은 인간의식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뿐 아니라 이를 심리치료에 적용시킬 수 있는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The observing self draws more and more attention from modern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But it has been the main focus of yoga psychology, which attempts to achieve the freedom from the human suffering by developing it. William James was the first psychologist who found the observing self while exploring the human consciousness deeply. Roberto Assagioli adopted it as one of important concepts of his unique psychotherapy called psychosynthesis. Ken Wilber proposed that the observing self first emerges in the transpersonal stage of human consciousness development. Modern cognitive scientists and neuroscientists are much interested in the human consciousness and producing many valuable research results. Their major points of view are reviewed briefly in this article with regards to the observing self. It, which derives from yoga psychology, is full of suggestions to widen and deepen the scope of modern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 KCI등재후보

        척추측만 중심의 요가심신치료 경험에 관한 연구

        조옥경(Cho Ok-Kyeong),김안나(Kim Anna) 한국요가학회 2013 요가학연구 Vol.- No.10

        요가치료는 개인의 치료와 치유에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요가심신 치료는 요가치료의 하위 개념으로서 요가치료를 통한 몸과 마음의 치유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는 개별적 접근방법이다. 요가심신치료의 실질적 인 적용은 크라프트소우 (Kraftsow)의 비니요가 (Viniyoga) 자세법, 호흡법, 라세터 (Lasater) 의‘이완회복요가 (Restorative Yoga) ’를 사용하였으며, 현대인들 사이에 급증하고 있는 척추관련 질환 가운데 척추측만과 관련하여 3명의 참여자들과 요가심신치료 경험을 질적인 방법으로 탐구하였다. 참가자 3명의 요가심신치료 경험은 오래된 통증의 해소와 신체 불편감의 개선, 일상생활에서 긍정적인 생각과 기분 좋은 느낌들이 생겨남, 자신의 몸과 마음에 대한 수용력이 생김, 일상생활에서의 알아차림이 습관적 행동들을 조절함 등 5가지의 경험의 의미로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기존의 다이어트와 건강이라는 요가에 대한 단편적인 인식에서 벗어나 심신의 통합적인 치료가 가능한 새로운 치유기제로서 요가심신치료의 충분한 가능성을 검증해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the nature of personal experiences of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YTMB) for 3 adults with scoliosis. YTMB is a kind of yoga therapy which applies various yoga techniques of asana, pranayama and relaxation to clients and patients with mind-body disturbances. Each of three subjects took 10 sessions for 60-90 minutes once a week from November 2011 to May 2012. The final interview was taken a week after thelast session. The data of the study was confirmed by the 5 stages model of the narrative research method of Connelly & Clandinin. The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a lot of materials; verbatim records from each session, introspection journals of each participant during the sessions, home journals, observation reports and evaluations, X-rays, questionnaires, final interview data.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time-consuming procedure of repeatedly reading the field texts, reconstituting participants stories based on their actual experiences, and finding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The meanings of experience of YTMB for three participants with scoliosis are reorganized in five categories as follows; 1) They felt their bodies lighter and got relief from chronic pains and bodily discomforts. 2) They have changed more positive with their thoughts and feelings. 3) They have come to accept their bodies and minds as they are. 4) They have improved their self-awarenesses with their everyday activities and be better able to regulate their behaviors. 5) They have found their own ways to heal themselves with the help of personal yoga. From the above results, we have come to a conclusion as follows; All participants were relived from chronic pains and bodily discomforts through YTMB which consists of asanas, pranayamas and relaxation techniques. Also, they enjoyed more positive emotions, self-regulation and self-acceptance. In addition, they appeared to shift from the thought-focused to more body-focused life getting a fresh relationship with their bodies. By being aware of their unconscious and habitual patterns of behaviors, their self-regulations have significantly improved. The more attentive they become with their daily activities, the more they have positive experiences. This study seem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effort to apply narrative inquiry method in the field of yoga therapy to explore actual experiences of YTMB. This study also tries to show the worth of yoga therapy as an approach of the mind-body holism, and has the social value showing the possibility of YTMB to be regarded as one of mind-body intervention.

      • KCI등재후보

        요가치료 : 요가의 새로운 흐름

        조옥경(Cho, Ok-Kyeong) 한국요가학회 2011 요가학연구 Vol.5 No.1

        요가의 “치료적 과정”을 강조하는 요가찌낏사, 즉 요가치료는 전통적인 고전요가와 현대 의학 및 심리학이 만나는 접점에 위치하면서 현대인들의 건강과 웰빙증진을 위해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분야이다. 올바른 자세, 올바른 정화, 올바른 식사습관, 올바른 이완, 올바른 사고방식을 주요 치료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는 요가는 특히 심신상관 질환에 효능이 있다는 사실이 증명되어 보완대체의학에서도 심신치료개입의 하나로 포함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요가의 새로운 흐름으로 부상하고 있는 요가치료의 세계적인 동향들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인도의 주요 요가치료센터를 소개하고, 국제요가치료연맹(IAYT)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는 미국의 요가치료 및 독일과 영국 중심의 유럽 요가치료 동향을 요약하여 소개하였다. 또한 한국의 요가에 가장 깊은 영향을 주어왔던 일본의 경우를 살펴보면서 요가치료 중심의 새로운 요가흐름을 소개하였으며, 학교, 병원 및 각종 임상장면에서 서서히 싹트고 있는 국내 요가치료의 현황도 정리, 소개하였다. 이와 더불어 최근 명상치료 분야의 성장과 함께 주목을 받고 있는 자각 중심의 MBSR 요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국내 요가치료의 전망을 1) 보완,대체의학 시장의 변화 2) 공식적 의료서비스 분야의 진입여부 3) 요가치료에 대한 인식전환 및 확산 4)자격있는 요가치료사의 양성과 공급 5) 적합한 인증제도의 도입 6) 과학적 자료의 생산 7) 심신치료로서의 위치 정립으로 요약하여 한국에서 요가치료가 정착되고 발전하기 위해 필요한 요건들을 살펴보았다. Yoga cikitsa is a Sanskrit word for yoga therapy, which originally means cikitsa krama , the therapeutic proceeding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Ayurveda and Patanjali yogasutra. In modern society, yoga therapy is regarded as a new wave of yoga aiming to maintain and enhance human health and wellbeing. It seems to play an important role of a bridge between classical yoga and modern medicine and psychology. Proper postures, proper purification, proper diet, proper relaxation, proper thinking are the main techniques of yoga therapy which has been proven to be particularly effective for mind-body problems and diseases. Accordingly America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CAM) has included yoga in the category of mind-body interventions. This study has examined the general trends of yoga therapy in the world. In the first place, three traditional yoga therapy centers in India are introduced: Kaivalyadhama Yoga Institute, Vivekananada Kendra and Krishnamacharya Yoga Mandiram. International Associations of Yoga Therapist(IAYT) in the United States now takes the lead in the field of the yoga therapy in the world. Yoga therapy also begins to rise in Europe, particularly in Germany and the United Kingdom. In Japan, people nowadays prefer to practice yoga in small groups primarily emphasizing on the therapeutic effects of yoga. Yoga therapy is developing in Korea centering around universities, hospitals and other clinical settings. MBSR yoga is a new therapeutic yoga which had been developed in the medical school as a stress-reduction program with the combination of meditation. This paper finally has examined 7 factors in order to establish yoga therapy in Korea ; 1) the rapid change in the market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 the possibility of adopting yoga therapy to various formal medical services 3) the need to change people s perception to yoga therapy and to promote it 4) the education and the supply of qualified yoga therapists 5) the introduction of appropriate certification systems 6) the production of reliable scientific data 7) the positioning of yoga therapy as a legitimate mind-body therapy.

      • KCI등재후보

        불안 해소를 위한 요가치료 프로그램이 불안, 우울 및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장진아(Jang, Jin-A),조옥경(Cho Ok-Kyeong) 한국요가학회 2014 요가학연구 Vol.- No.11

        본 연구는 요가의 심리치료적 측면에 초점을 둔‘불안 해소를 위한 요가치료 프로그램’이 불안, 우울 및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그 적용의 유용성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된 프로그램은 1:1 치료 요가인 비니요가에서 제시하는 만성 불안을 위한 요가 수련을 일반인들에게 맞도록 일부 내용을 재구성한 것이다. 불안은 상태-특성불안 척도 (STAI) 를 활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우울증은 BDI, 스트레스 반응은 공격성, 긴장, 분노, 신체화, 우울 등 7개 하위 요인으로 이루어진 스트레스 반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의 특성불안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스트레스 반응 하위 요인 중 신체화, 우울의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반면에 상태불안 및 우울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지 않았다. 따라서 비니요가를 이용한 요가치료 프로그램은 불안을 감소시키고, 스트레스 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이러 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내에서 비니요가의 치료적 측면에서 활용성을 높이고, 심리치료적 관점에서 요가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데 있어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and provide evidences of the usefulness of‘ Yoga Therapy Program for Anxiety Relief’and its effects on anxiety, depression and stress response. The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reconstructed to fit non-professionals and it is based on vini yoga program for chronic anxiety.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was used to measure anxiety and BDI was used to examine the depression. Stress response was examined by stress response inventory consisting of seven sub-item such as aggression, tension, anger, somatization, depression and so on. This study was conducted at the OOcenter of A university in Suwon and program participants were recruited publicly. The participants(13 person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friends of the participants (13 persons) were assigned to a non-treatment control group. This yoga therapy program was executed for 8 weeks, 1.5 hour per session each week.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yoga therapy program significantly reduced the trait anxiety of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 state anxie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is yoga therapy program significantly reduced the somatization, depression index in stress response of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aggression, tension, anger, frustration, fatigue index in stress respons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yoga therapy program based on vini yoga in this study can reduce anxiety and affect stress response positively, which can be incorporated into existing yoga therapy programs to enhance their psychotherapy effects and increase the therapeutic utilization of vini yog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