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7세기 중국인들의 對高句麗 ‘三韓’호칭에 관하여

        조영광(Jo, Yeong-Kwang) 백산학회 2008 白山學報 Vol.- No.81

        Samhan originally referred to a tribe, who resided in central and southern Korean Peninsula, or referred to the land. Meanwhile, by the 7th century it was found that Chinese named Koguryo Samhan. This is closely related to Koguryo ruined two Chinese commanderies of the Korean Peninsula, Naglang commandery and Daebang commandery and then completely made the territory their own domain. From a Chinese central government’s standpoint, Naglang commandery and Daebang commandery were a remote commandery established in the non-Chinese residents, the important duty of their’s ruled over a native within the jurisdiction and controlled a strong non-Chinese around, Han(韓). By this, Naglang commandery and Daebang commandery were most likely to considered of Han(韓) itself. And also from a Chinese point of view, Koguryo, which occupied these two commanderies which were a negotiation window with Han(韓) and controlled Han (韓), and by extension transferred the capital to a central place and aggressively sought to enter Han territory was seen another Samhan. However, what Koguryo had been referred to Samhan was not the result of historical process. It is regarded that Koguryo, Ye-maek(濊貊) nation, had a racial similarity with Han in southern Korean Peninsula. From a Chinese point of view, there had been considered same of kin between Koguryo and Han, and then Koguryo was designated Samhan in a very natural way.

      • KCI등재
      • KCI등재

        고구려·부여계 유이민의 남하와 백제 부여씨의 등장

        조영광(Jo Yeong-Kwang) 한국고대학회 2017 先史와 古代 Vol.- No.53

        부여씨는 백제의 王姓으로서, 삼국사기 에 의하면 시조 온조왕부터 마지막 의자왕까지 모든 왕이 부여씨였던 것으로 나온다. 그러나 사료와 고고학상의 문제 등을 고려할 때 국가형성기부터 멸망기까지 백제 왕통이 부여씨에 의한 단일 계보로 이어졌다는 것은 신빙성이 낮은 편이다. 백제 건국 설화는 시조에 따라 溫祚, 沸流, 仇台 설화로 나뉜다. 세 시조 설화는 모두 북에서 남으로 이동해 와 정착하였다는 모티프를 공유하고 있다. 백제 건국 세력이 북쪽의 고구려, 부여 지역에서 내려왔음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근거는 임진강과 한강 중류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고구려식 적석총의 존재이다. 특히 비류 설화에 등장하는 비류는 고구려 5부 중 하나인 비류부 및 그 전신인 비류국과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2세기 후반 산상왕의 즉위에 반대해 비류부 세력이 고구려 중앙에서 이탈한 사건을 백제 시조 비류의 남하와 관련지어 볼 수가 있다. 이들 비류 집단은 부여 정체성도 보유하고 있었으므로, 고구려화한 부여계 집단으로 추정된다. 3세기 후반이 되면 선비 모용씨의 흥기로 부여와 고구려는 큰 타격을 입게 된다. 이때는 모용 연으로 끌려간 대규모 사민도 발생하였거니와, 남쪽으로 이동하는 이탈 세력 역시 적지 않게 나오게 된다. 이때 남하한 고구려 부여계 유이민 집단은 상대적으로 높은 선진적인 문화수준을 배경으로 고이왕계에 밀려난 백제의 구 왕족인 온조-초고계와 연합해 고이계를 축출하고 백제 왕권을 차지하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것이 곧 백제 부여씨 왕실의 등장 배경이다. 그리고 모용 선비는 4세기 전반에 부여와 고구려 양국에 더욱 큰 타격을 가한다. 다수의 부여인들이 전연으로 끌려갔고, 이들 중 귀족 출신 인물들은 스스로를 부여씨로 칭하며 자신의 부여 정체성을 강조하며 북중국에서 활동하였다. 거의 비슷한 시기에 백제도 본격적으로 부여 씨를 칭한 근초고왕이 등장하게 되는데, 그 역시 부여를 강조함과 동시에 강한 한 문화의 지향성을 보여주고 있어 중국으로 사민된 부여계 집단과의 연관성을 추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은 자신 종족의 영웅 왕자인 구태를 시조로 표방하였다. According to “Samguksagi”, the Buyeo clan succeeded the throne of Baekje, and all the king from Onjo to the last one Uija to be buyeo. However, it is unreliable that the Baekje kingdom led to a single genealogy from the time of the formation of the nation to the time of the destruction, due to the uncertainly of forage and archeology. There are three kinds of traditional stories in foundation of Baekje, Onjo, Biryu and Gutae. All three narrative share a motif that they moved from north to south and settled. The Goguryeo type mooring stone is an archaeological basis that the Baekje founding forces, which are concentrated in the Imjin River and the middle Han River, descended from the Goguryeo area in the north. Particularly, in the late second century, biryu-bu withdrew from the center of Goguryeo opposing the throne of king Sansang, Biryu narrative seems to have deep relationship with biryu-bu, one of the five bu of Goguryeo, and its predecessor biryu-guk. As Biryu group hold an identity as a Buyeo person, they are assumed to be one of Buyeo member that. In the second half of the third century, the Buyeo and Goguryeo suffered a great deal of damage because of Xianbei Murong’s growth. At that time, there was a large-scale of citizens dragged to the Yan of the Murong, and a lot of the emigrants escaping to the south were also many. At that time, the Buyeo and the Goguryeo emigrants group, based on the relatively advanced culture, united with the Onjo-Chogo group which was the royal family of Baekje and ousted the Goi group from the royal family of Baekje. This story provides a background for the appearance of Baekje. For the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Murong Xianbei made an bigger blow to both Buyeo and Goguryeo. Many of the Buyeo people were forced out to the former Yan, and among them, the noblemen called themselves Buyeo clan and acted in North China, emphasizing their Buyeo identity. Almost at the same time, the king Geunchogo appeared in Baekje who pushfully emphasized himself Buyeo clan, showed a strong cultural orientation, which could deduce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Buyeo group deporated in the China. And they proclaimed the Gutae, the Prince of the hero of his own tribe, as the progenitor.

      • KCI등재

        高句麗 左, 右輔의 起源과 性格

        조영광(Jo Yeong Kwang) 한국고대학회 2016 先史와 古代 Vol.50 No.-

        고구려의 좌, 우보는 기본적으로 강한 전통적 지배 체제 아래에서 배태된 제도이다. 그리고 왕권과 밀접한 연관 관계를 맺으며 초기 고구려의 최고 관제로 기능하였다. 이는 백제 초기에 존재하였던 좌, 우보를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고, 유목 국가인 흉노에서 그 전형적인 예가 찾아진다. 또한 좌, 우보제는 수도권 관리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그 명칭이 중국 漢代 수도권 관리를 담당하였던 三輔制에서 유래하였음과 일부 기능이 유사함을 통하여 알 수가 있다. 이와 유사한 형태는 주로 유목 민족들이 세운 중국 5호 16국의 사례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The Jwabo(左輔) and Ubo(右輔) of Goguryeo are fundamentally embraced under the tradition of strong tribal rule. And it was closely related to the kingship and functioned as the supreme control of the early Goguryeo. Thi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Jwabo(左 輔) and Ubo(右輔) of Baekje early period. A typical example is found in the nomadic Xiongnu. Also, politics seem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the capital area. The name is derived from the Sanpu(三輔) system, which was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of the capital area of the Chinese Han Dynasty, and can be found through the similarity of some functions. A similar form can be found in the case of the Chinese 16 countries(十六國) established by nomadic peoples.

      • KCI등재

        예맥 족명과 부여, 고구려 국호의 유래와 의미

        조영광(Jo Yeong-Kwang) 韓國古代學會 2015 先史와 古代 Vol.44 No.-

        부여, 고구려의 주된 구성 종족인 예맥은 본래 중국인들이 자신들의 동북방, 즉 만주와 한반도 일원에 있던 이민족을 칭하던 ‘예’에서 나온 것이며, 이민족에 대한 멸시적 뜻을 지닌 ‘맥’과 결합해 예맥으로 불린 것이다. 그러나 예족 내부에서 고구려가 그 세력을 키워나가자 여타 예족과 구분해 맥으로 칭하기 시작하며 맥은 고구려의 종족명으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예의 뜻은 동녘, 쇠 또는 ‘새롭다’라는 의미를 지닌 것으로 파악된다. 부여라는 국명은 그 의미가‘벌(평야)’, ‘사슴’, 종족명인‘예(濊)’ 등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지만 본 연구를 통하여 부여는 고대 한민족에게 신성한 나무로 숭배되었던‘소나무’의 뜻을 지닌 것으로 밝혀졌다. 고구려는 그 국호의 의미가 대체로 ‘큰 성’, ‘수도’ 등의 뜻을 지닌 것으로 알려졌고, 고을이라는 단어의 어원이 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나라(국가)’ 자체를 일컫는 말이었음이 밝혀졌다. Yemaek(濊貊) were an ethnic group who dwelt in Manchuria and the Korean Peninsula. They were a major group which had ancestral ties to Buyeo(夫餘) and Goguryeo(高句麗).The naming of ‘Yemaek’ is believed to be derived from a combination of two words, ‘Ye(濊·穢·薉)’ and ‘Maek(貊·貉)’. Chinese people originally called the different ethnic groups dwelt in northeast of China as ‘Ye’, and used ‘Maek’ as an opprobrious word toward these groups. However, ‘Maek’ gradually became Goguryeo’s own tribal name. Because Goguryeo remarkably increased in power and it began to call them ‘Maek’ to separate from other Ye tribes. ‘Ye’ is considered to have the meaning of ‘east’, ‘iron’, or ‘fresh’. It has been known that the name of Buyeo originated from the meaning of ‘field’, ‘deer’, and ‘Ye’ the tribal name. However, this study traces the etymology of ‘Buyeo’ came from ‘pine trees’ that ancient Korean worshiped as sacred trees. It has been generally known that Goguryeo had the meaning of ‘large castle’, ‘capital’, and so on. It was also the origin of Goeul(korean for county or town). However, through this study it is verified that Goguryeo meant ‘the state’ itself.

      • KCI등재
      • KCI등재

        고구려 王都, 王畿의 형성 과정과 성격

        조영광(Jo, Yeong-Kwang)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1

        고구려 수도권의 구조는 왕성, 왕도, 왕기라는 위계성을 가진 공간으로 구성되었다. 즉 왕도는 왕의 거소인 왕성을 중심으로 한 핵심 지역이고, 왕기는 그 배후 지역을 뜻한다. 집안 도읍기 고구려의 왕도는 왕성인 국내성을 중심으로 대체로 집안 분지 일대로 상정할 수 있으며, 방위명의 5부는 중부인 왕성(국내성)을 비롯하여 그 주변에 설정된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의 왕기는 중국, 신라와 마찬가지로 왕도에 대한 효율적 방어를 목적으로 설치된 군사적 성격이 강한 지역이었다. 대체로 오늘날 집안시 전역에 해당하는 지역이었다. 고구려에서 왕도, 왕기가 성립되었던 가장 중요한 정치 사회적 기반과 계기는 部의 형성이다. 대무신왕은 국왕의 직할지를 계루부로 편제하는 것을 시작으로 기존 고구려 연맹체에 복속되어 있던 소국을 那部로 재편하면서 국왕 중심의 원심력을 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國邑보다 강력하고 규모가 큰 왕도와 왕기를 형성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나부와 방위부는 일정 시기 동안 공존하였고, 나부가 상존할 때 수도의 행정 구획으로서 왕도에 설치된 것으로 파악되는 방위부는 ‘評’이 집미사로 붙어 불리었을 가능성이 크다. 고유어 評이 고대 사회에서 수도나 큰 도시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음은 여러 기록과 용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고구려에서 수도 혹은 큰 도시와 관련하여 評의 음역에 속하는 平壤이 여러 차례 등장하는 것 역시 이에서 기인한 바이다. 그리고 고구려 초, 중기 수도인 집안의 입지적 특성이나 고구려의 전통에 입각해 볼 때 방위부는 절대적 방위명인 동, 서, 남, 북보다는 지형지물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방위명인 전, 후, 좌, 우의 명칭을 달고 있었을 개연성이 크다. The capital city and its environs in Goguryeo (高句麗 Koguryo) was the hierarchical space consisted of the royal castle (王城), capital (王都), and capital region (王畿). The capital meant the core area that had the royal castle in the middle. The capital region meant the periphery areas surrounding it. When the capital was located in the Ji’an basin area (modern Ji’an County, Jilin Province, China), its royal castle was Gungnae Fortress (國內城). In the capital city, there were five provinces called ‘Bu (部)’ including the royal castle, the central district. They were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all their names presented the directions. The capital region was the area that had strong military purposes to protect the capital effectively like China and Silla. The most important political and social base of constructing the capital and its region was the development of Bu. In order to do this, King Daemusin (大武神) implemented several policy such as reorganizing the district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king into Gyerubu (桂婁部), one of the five lineages of Goguryeo, and governing through a centralized system named ‘Nabu (那部)’ by reforming small countries under the control of Goguryeo. He paved the way to construct more powerful and larger capital and its region than provincial capitals, Gukeup (國邑). It is possible that the Bu which was built inside of the capital named with a ‘Pyong (評)’ suffix during the time that Nabu(tribe) and Bu(district) coexisted. The old Korean ‘Pyong’ was originally used as a term for a capital or a large city in ancient society. The word ‘Pyongyang (平壤)’ also appeared several times regarding a capital or a large city in Goguryeo. Because it belonged to the range of ‘Pyong’.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 of Ji’an and tradition of Goguryeo, it would be a high probability that the names of Bu presented the relative directions (前 front, 後 back, 左 left, 右 right) according to geographic features, not the absolute directions (東 east, 西 west, 南 south, 北 north).

      • KCI등재

        충주 고구려비 관련 학술행사의 회고와 정리

        조영광 ( Jo Yeong-kwang ) 한국고대학회 2020 先史와 古代 Vol.- No.63

        한반도 유일의 고구려 비석인 충주 고구려비는 1979년 발견 후 많은 관심을 받아왔고 관련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충주 고구려비를 둘러싼 제논의는 사실상 발견 당해와 20년이 지난 후 치러진 두 차례의 판독 작업과 학술회의장에서 이루어졌다. 그리고 발견 40주년을 기념해 행해진 2019년의 판독회와 당해에 개최된 두 차례의 학술회의에서도 적지 않은 성과들이 나왔다. 이처럼 학술행사는 충주 고구려비 연구의 촉매제 역할을 하며 관련 연구 성과의 확산과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그 자체로도 연구사적 의미를 가진다고 평가할 만하다. 그러므로 그에 대한 회고와 정리는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The only remaining monument of Goguryeo on the Korean Peninsula, Chungju Goguryeo Stele, has been attracting much attention since its discovery in 1979. Also, many studies related to it are being conducted. The main discussion on the monument was held at the reading and academic conferences held at the time of discovery and 20 years later. In addition, many achievements were made in the two academic conferences held in 2019 to commemorate the 40th anniversary of the monument. As such, academic events served as a catalyst for the study of the Chungju Goguryeo Stele and played a decisive role in spreading the relevant research results and improving their level. In itself, it is worth noting that it has great significance in research history. Therefore, it is urgently needed to retrospect and summary the academic events.

      • KCI등재

        해방 후 첫 官認 교과서 『국사교본』의 한국고대사 서술 분석

        조영광(Jo, Yeong-Kwa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한국민족문화 Vol.70 No.-

        국사교본은 진단학회가 미군정청 문교부의 요청으로 편찬한 한국사 교과서이다. 저자는 김상기와 이병도로, 고대사 부분은 김상기가 집필하였다. 해당 도서는 해방 후 첫 관인 한국사 교과용 도서라는 의미가 있고, 저자들이 당시의 주요 고대사 연구자들이라는 점에서 역사교육사나 사학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국사교본의 한국고대사 부분은 이후에 나오는 임시 교육과정인 교수요목의 제정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파악된다. 국사교본은 한민족의 기원에 대해 민족 이동설의 입장에서 만주와 한반도로 이동해 온 것으로 서술하였다. 이것은 이후 말발굽형 동이 문화권설로 발전하게 된다. 고조선사는 전조선, 후조선, 위만조선으로 시기에 따라 3분하였고, 요서 지역까지 그 영향력이 미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신라의 삼국 통일기를 한국사의 중요한 분수령으로 파악하여 그 이전과 이후로 시대 구분하였다. 이러한 서술들은 오늘날 한국고대사의 기본 이해와는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많지만, 당시의 한국사 연구 상황을 고려한다면 가장 정제되고 심도 있는 내용이었음이 분명하다. Guksagyobon(國史敎本) was compiled by the Korean History Textbook by the Jindanhakwhae(震檀學會) at the request of the Education Ministr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authors are Kim Sang-ki and Lee Byeong-do, and the ancient history section is written by Kim Sang-ki. The book is meant to be the first official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And The authors are very important historians in that they are one of the foremost researchers of ancient history. The author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earchers of ancient history, so that is also historically important. Guksagyobon’s Korean ancient history section is considered to have also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teaching material, a temporary curriculum. Guksagyobon is known as Manchuria and move into the Korean Peninsula in a position of national drift about the origin of the narrative. It later developed into a Horseshoe shaped Dong Yi culture circle theory. As for the history of Gojoseon, it was divided into Jeonjoseon, Hujoson, and WimanJoseon. And the Silla Nation unification period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watershed of Korean history. These contents are not consistent with the basic understanding of ancient Korean history today. But Considering the history of Korean history at that time, it is clear that it was the most refined and profound contents.

      • KCI등재

        『滿洲源流考』 疆域편에 보이는 한국 고대국가의 영역 고찰

        조영광(Jo Yeong-Kwang) 한국고대학회 2018 先史와 古代 Vol.- No.58

        만주원류고는 청을 건국한 만주족 선조들의 역사를 정리하고 숭상하기 위한 목적으로 편찬 되었다. 그런데 여기에는 부여, 삼한, 신라, 백제, 발해 등 한국 고대국가들이 대거 포함되어 있어 문제의 소지가 있다. 그리고 강역 부문에는 이들의 영역을 보편적인 인식과는 다르게 서술한 부분이 많아 논란이 되고 있다. 만주원류고는 일반적으로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 있었다고 여겨지는 삼한, 백제, 신라 등을 만주 지역으로 비정하고 있다. 삼한을 요동 지역으로, 그리고 백제의 영역에는 요서·요동 지역을, 신라의 영역에는 길림 지역을 포함시켰다. 발해의 영역과 관련해서도 적지 않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는데, 우선 패수를 니하와 관련시켜 요양, 해성 일원의 어느 하천으로 비정하고 있다. 그리고 발해 5경 중 중경현덕부, 남경남해부, 동경용원부를 모두 요동으로 비정하고 나머지 부들의 상당수도 요동, 요서 지역에 둠으로써 발해의 역사지리 고증에 큰 혼란을 초래 하였다. 일반적인 견해와 맞지 않는 만주원류고의 이러한 역사지리 인식은 두 가지 측면에서 기인한 것이다. 첫 번째는 두찬인 요사 지리지와 그 계통의 역사지리서 등을 핵심 사료로 활용하고 하였다는 사실 때문이다. 두 번째는 정치적 동기, 즉 만주족 자족의 선양이라는 편찬의 목적이 강하게 작용하였다는 점이다. Manzhouyuanliukao was compiled to organize and honor the history of the Manchu ancestors who built the Qing Dynasty. However, there are problems in the book because it contains many ancient Korean states such as Silla ( 新羅 ) , Baekje ( 百濟 ) , Balhae ( 渤海 ) , etc. And the Jiangyu ( 疆域, Political Boundaries ) section is controversial because there are many different descriptions of the descriptions of territories of Korean ancient countries. Manzhouyuanliukao noted that the Baekje, Silla and other peninsular countries were located in Manchuria. It was said that Samhan ( 三韓 ) was in liaodong area. And Baekje territory included Liaoxi ( 遼西 ) , Liaodong ( 遼東 ) area. The territory of Silla included the Jilin ( 吉林 ) area. There are many problems related to the territory of Balhae. First of all, Paesu ( 浿水 ) is associated with Niha ( 泥河 ) , which means that it is a river near the Liaoyang ( 遼陽 ) , Haicheng ( 海城 ) . And it has caused great confusion in the historical geography of Balhae by having all of the Junggyung ( 中京 ) , Namgyung ( 南京 ) , and Donggyung ( 東京 ) in Balhae 5 capitals as Liaodong area and many of the remaining provinces in Liaodong and Liaoxi area. Manzhouyuanliukao s historical geographical awareness, which does not conform to the custom, is due to two aspects. The first is to use the problematic historical geographies like Liaoshi dilizhi ( 遼史 地理志 ) as the core data. The second is political motivation. And that the purpose of the compilation of the Manchurian to raise their ancestors was str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