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쟈크 엘룰과 프란시스 쉐퍼를 통해 본그리스도인의 사회, 윤리적 과제 연구

        조만준(Cho, Man Joon) 개혁신학회 2017 개혁논총 Vol.44 No.-

        Jacques Ellul(1912-1994) and Francis A. Schaeffer(1912-1984) were both representative evangelical intellectuals devoted to a faithful Christian living while criticizing contemporary civilization. They believed that Christian faith was still meaningful in modern society and would correct the evil practices of modern society. They were not only the best intellectuals at the times who criticized many ill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based on their Christian faith but also activists who carried out significant actions. They proclaimed the Gospel to the world providing prophetic visions and insights so that lay Christians can have proper perspective upon the world. They offered social and ethical responsibility for Christians living in a technology-based-world regarding the Bible as the absolute value. By their actions and lives, Ellul and Schaeffer revealed Christian influence to the world and emphasized their role as ‘light and salt.’ Thus it is possible enough to say that their intellectual heights, passionate faith, influences and challenges to the world set the living standard for Christians in the 21st century. In this paper, I compared Ellul and Schaeffer’s theology and perception on the Christian society in order to describe Christian perspective upon the world. I believe that their historical understanding, spirituality, social and ethical role and responsibility as Christians deserve greater attention. I also believe that Christians can transform the world when they put their faith and teaching into actions with passion and holiness. 현대 문명을 비판하고 진실한 그리스도인으로서 삶을 살아가려 했던 복음주의의 대표적인 지성인 쟈크 엘룰(Jacques Ellul, 1912-1994년)과 프란시스 쉐퍼(Francis A. Schaeffer, 1912-1984년)는 기독교 신앙이 현대 사회 속에 서도 여전히 의미가 있으며, 현대 사회의 잘못된 병폐들을 치유할 것이라고 믿었다. 그들은 현대 사회에서 일어나는 많은 현상들을 기독교 신앙을 가지고 비판한 당 시대의 최고 지성인들이며 행동하는 실천가들이었다. 이들은 세상을 바라보는 선지자적 통찰력과 신앙의 이름으로 세상에 복음을 선포했고 그리스도인이 세상을 바라보아야 할 안목과 통찰력을 제공해 주었다. 그들은 모두 계시의 말씀인 성경을 절대적 가치로 보았고 기술 사회의 현실 속에서 그리스도인의 사회, 윤리적 책임을 제시하였다. 엘룰과 쉐퍼는 모두 삶과 행동으로 그리스도인의 영향력을 드러냈으며 세상이라는 무대에서 빛과 소금으로의 역량을 강조하였다. 그들이 후대 복음주의 자들에게 제시한 학문의 깊이, 열정적인 신앙, 세속 세계에 던진 영향력과 도전은 21세기 그리스도인들이 나아가야할 지표를 설정해 주기에 충분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엘룰과 쉐퍼 두 인물의 신학과 기독교 사회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면서 그리스도인의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에 대해서 기술해 보고자 한다. 특별히 그들의 역사 이해 방법과 영성(靈性, Spirituality), 그리스도 인의 사회, 윤리적 기능과 역할을 재조명해보려 한다. 그리스도인으로 세상을 살아가면서 거룩한 구별됨과 열정을 가지고 가르침을 삶과 행동으로 실천하며 살아갈 때 이 땅은 변혁될 것임을 믿는다.

      • KCI등재

        다문화 사회의 기독교 통일교육을 위한 제언

        조만준 ( Man-joon Cho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7 다문화와 평화 Vol.11 No.3

        한국 사회는 새로이 유입된 결혼이민자, 유학생, 이주 노동자, 북한이탈주민 등의 구성원들로 인해 다방면에서 사회통합과 사회 정의를 위한 다문화 정책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이 다문화라는 새로운 현실은 기존의 통일 담론에 대한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기독교인들의 통일의식이 갈수록 약화되는 즈음에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에서 기독교 통일교육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다문화 사회에서 사회통합을 이루는 통일 준비의 과정으로서 기독교 통일교육의 방안을 제시해보려 한다. 2장에서는 다문화 사회와 통일에 관한 선행 연구를 제시했다. 3장은 다문화 사회의 통일교육 담론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를 제시했다. 4장에서 기독교 통일교육의 현황과 분석을 통해 현주소를 진단했다. 5장은 기독교 통일교육의 대안을 제시했다. 다문화 사회를 준비하는 기독교 통일교육은 지금까지의 남북 간의 적대의식과 대결의식을 극복해야 한다. 새로운 시대를 향한 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된다. 기독교 통일교육은 그동안 강조되었던 민족과 당위적인 측면에서 더 나아가 기독교의 본래의 사명을 감당할 수 있는 성경의 보편적 가치와 세계시민으로서의 역할, 사회적인 공감대와 사회통합을 이루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문화 사회의 기독교 통일교육의 새로운 접근과 패러다임의 변화가 다가올 통일을 앞당기는 촉매제가 되길 기대한다. Due to the flow of immigrants including marriage migrants, foreign students and North Korean defectors, Korean society is facing an urgent call for multi-cultural policies aiming for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justice in many aspects. This new reality of Korea as a multi-cultural society requires a change in the previous discourse on unification. In the time when Christians' awareness on social unification is weakening, this study sought ways to vitalize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for a multi-cultural society. As a process that prepares social unifi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writer suggested some practical ways to conduct Christian unification eduction. As for the structure of this paper, chapter 2 deals with the change in the previous discourse on unification as the society is becoming more multi-cultural. Chapter 3 discusses the current status of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with an analysis. Chapter 4 suggests an alternative for vitalizing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It should be directed toward a path overcoming the pre-existing confrontation and competition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A paradigm shift is necessary for this new era.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take a step further than the previous cause underlining ethnic ties; it should practice the universal value of the Bible, the Christians' role as a world citizen, forming a social consensus and integration. By doing so, the original callings for Christians will be achieved. It is hoped that this new approach and a paradigm shift in the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for a multi-cultural society serve as a stimuli advancing the upcoming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 KCI등재

        쟈크 엘룰(Jacques Ellul)과 프란시스 쉐퍼(Francis A. Schaeffer)를 통해 본 그리스도인의 사회 윤리적 과제 연구

        조만준 ( Cho Man Joon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7 기독교사회윤리 Vol.37 No.-

        현대 문명을 비판하고 진실한 그리스도인으로서 삶을 살아가려 했던 복음주의의 대표적인 지성인 자크 엘룰(Jacques Ellul, 1912-1994년)과 프란시스 쉐퍼(Francis A. Schaeffer, 1912-1984년)는 기독교 신앙이 현대 사회 속에서도 여전히 의미가 있으며, 현대 사회의 잘못된 병폐들을 치유할 것이라고 믿었다. 그들은 현대 사회에서 일어나는 많은 현상들을 기독교 신앙을 가지고 비판한 당 시대의 최고 지성인들이며 행동하는 실천가들이었다. 이들은 세상을 바라보는 선지자적 통찰력과 신앙의 이름으로 세상에 복음을 선포했고 그리스도인이 세상을 바라보아야 할 안목과 통찰력을 제공해 주었다. 그들은 모두 계시의 말씀인 성경을 절대적 가치로 보았고 기술 사회의 현실 속에서 그리스도인의 사회, 윤리적 책임을 제시하였다. 엘룰과 쉐퍼는 모두 삶과 행동으로 그리스도인의 영향력을 드러냈으며 세상이라는 무대에서 빛과 소금으로의 역량을 강조하였다. 그들이 후대 복음주의자들에게 제시한 학문의 깊이, 열정적인 신앙, 세속 세계에 던진 영향력과 도전은 21세기 그리스도인들이 나아가야할 지표를 설정해 주기에 충분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엘룰과 쉐퍼 두 인물의 신학과 기독교 사회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면서 그리스도인의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에 대해서 기술해 보고자 한다. 그들의 역사 이해 방법과 영성(靈性, Spirituality), 그리스도인의 사회, 윤리적 기능과 역할을 재조명해보려 한다. 그리스도인으로 세상을 살아가면서 거룩한 구별됨과 열정을 가지고 가르침을 삶과 행동으로 실천하며 살아갈 때 이 땅은 변혁될 것임을 믿는다. This research delves into Ellul and Chaeffer`s theology and perception on the Christian society in order to describe Christian perspective upon the world as it concentrates on their historical understanding, spirituality, social ethical role and responsibility as Christians deserve greater attention. Jacques Ellul(1912-1994) and Francis A. Schaeffer(1912-1984) were both representative evangelical intellectuals devoted to a faithful Christian living while criticizing contemporary civilization. They believed that Christian faith was still meaningful in modern society and would correct the evil practices of modern society. They were not only the best intellectuals at the times who criticized many ill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based on their Christian faith as well as activists who carried out significant actions. They offered social ethical responsibility for Christians living in a technology- based-world regarding the Bible as the absolute value. By their actions and lives, Ellul and Schaeffer revealed Christian influence to the world and emphasized their role as the `light and salt.` Thus it is possible enough to say that their intellectual heights, passionate faith, influences and challenges to the world set the living standard for Christians in the 21st century.

      • KCI등재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의 신-칼빈주의(Neo-Calvinism)가 기독교통일교육에 주는 함의

        조만준(Man Joon Ch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7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3

        한반도의 통일은 시급한 시대적인 요청이며 민족적 과제이다. 그렇다면 통일을 준비하기 위해서 기독교인들에게 요구되는 것은 무엇일까? 무엇보다 그리스도 안에서 화해와 용서에 기초한 신학의 정체성을 세워가야 한다. 지금도 계속되는 이념의 양극화, 미성숙성, 정치성, 편파성을 벗어나 열린 자세로 복음에 확고히 서서 화해자(Reconciliator)의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한반도의 통일 과정을 꿈꾸고 평화의 실현과정을 기대해야 한다. 본 연구는 “우리 인간 삶의 모든 영역에서 만유의 주재이신 그리스도께서 “나의 것이다!” 라고 외치지 않는 영역은 한 치도 없습니다.”고 선언했던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1837-1920)의 신-칼빈주의(Neo-Calvinism) 세계관을 한반도의 통일 문제에 적용하는 것이다. 특별히 카이퍼가 강조했던 하나님 주권 사상은 남북문제는 물론 한국 교회와 사회 안에 분열된 갈등을 해결해 줄 실마리를 제공해 줄 것이다. 그는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고 말씀에 기초하여 교회와 사회의 개혁을 시도했다. 그는 신학적 이론을 토대로 정치가로 사역하면서 네덜란드의 현장에 구체적으로 적용했다. 그는 자유대학을 설립했고 네덜란드 교회를 개혁하면서 사회를 변화시켰다. 그는 기독교 학교를 통해 행동으로 실천하는 삶을 보여주었다. 카이퍼의 실례는 한국의 교회와 학교,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다가올 통일을 준비하는 실천가로서의 모범을 제시해 줄 것이다. 본 연구는 교회와 학교, 사회의 영역에서 구체적으로 적용 가능한 기독교통일교육의 과제를 제시해 주고 있다. 하나님의 주권과 섭리 하에 가치관의 변혁을 통하여 하나님의 나라를 회복하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일들이 이어지길 소망해본다.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an urgent demand of the age and a national challenge. So what is required of Christians to prepare for the unification? We must, above all, establish the identity of our theology based on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in Christ. We must now remain open to the Gospel and take on the role of the Reconciliator, beyond the ideological polarization, immaturity, politics, and favoritism. We should bear in mind the realization of peace by drawing the unification process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attempts to bring the perspective of Abraham Kuyper(1837-1920), who argued that“In all areas of human life, Christ, the sovereign of all things, claims his sovereignty,”and his Neo-Calvinism to the issue of unification upon Korean peninsula. The sovereignty of God, especially emphasized by Kuiper, will provide a clue to solve conflicts among the divisions in Korean churches and societies as well as inter-Korean issues. Kuyper acknowledged God’s sovereignty and tried to reform the church and society based on the Word of God. Based on the theological theory, he worked as a politician and applied it specifically to the Dutch case. He established a university (Vrije Universiteit) and changed the society by reforming the Dutch church. He showed an example of a life in action through the Christian school. In this regards, Kuyper as an exemplary activist provides a good lesson to Korean churches, schools, and society preparing for unification. This study presents the tasks of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which can be specifically applied in the field of church, school, and society. I hope that our values be transformed under God’s sovereignty and providence so that the kingdom of God is restored and more people glorify God.

      • 평화와 평화문화의 확산 평화에 관한 개혁주의적 관점

        조만준 ( Man-joon Cho ) 기독교통일학회 2019 기독교와 통일 Vol.10 No.2

        민족의 분단이 70년을 넘어서면서 우리 사회는 여전히 갈등과 반목을 경험하고 있다. 남북분단이 야기한 우리 민족의 고통은 현재진행형이다. 이 같은 분단 상황이 거의 고착화 단계에 이르고 있다. 실제 분단이 초래한 물리적, 정신적 분열은 우리 사회의 통합을 저해한다. 그로 인한 사회적 갈등은 나날이 심화되고 있다. 분단은 그 자체로 한반도에 거주하는 7,000만 한민족과 다수의 디아스포라 한민족들에게 치유되지 않는 고통으로 현존하고 있다. 분단 70년이넘은 시점에서 남북한의 이념과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고 마음과 마음을 이어주는 평화 문화 확산에 대한 구체적인 노력이 요청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기독교 평화문화 확산을 위해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기독교 평화 문화의 확산을 위해 신학적 공감대가 필요하다. 둘째, 기독교 평화가 무엇인지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기독교 평화 문화 확산을 위한 구체적인 사랑의 실천이 요구된다. 넷째, SNS나 인터넷, 대중 매체를 통해 기독교 평화문화 확산을 위한 노력을 알리고 홍보하는 일이 필요하다. As the division of nations has passed over 70 years, our society is still experiencing conflict and opposition. The suffering of our people caused by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is now ongoing. This division is nearing a level of consolidation. The physical and mental divisions brought about by real division hinder the integration of our society. The resulting social conflict is intensifying day by day. The physical and mental divisions brought about by real division hinder the integration of our society. The resulting social conflict is intensifying day by day. The division itself exists as unhealed pain for 70 million Koreans and many Diaspora Koreans residing on the Korean peninsula. More than 70 years after the division, concrete efforts are needed to overcome the ideology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Koreas and to spread a culture of peace that connects the hearts and minds. To this end,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suggest some suggestions for spreading Christian peace culture. First, theological consensus is needed for the spread of Christian peace culture. Second, education on what Christian peace is. Third, concrete love practices are required to spread Christian peace culture. Fourth, it is necessary to inform and promote efforts to spread Christian peace culture through social media, the Internet and mass medi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