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영어교과 과정을 통한 실질적 영어 교육 및 평가의 방법: I대 항공운항 전공을 중심으로

        조동인 ( Cho Dongi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6 외국어교육연구 Vol.30 No.3

        이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을 둔 영어교과 과정을 통한 실질적 영어교육 및 평가 방법에 대한 항공운항 전공 학생들의 인식을 탐색한다. 주된 발견은 실험집단 참여자들은 직무능력의 향상, 영어수업에 몰입 유도, 학습 자율성 신장, 토익 점수 향상이라는 점에서 NCS 기반 영어수업모형이 긍정적이었다고 인식했다. 실험 집단 D의 유의미한 결과는 심층 면접과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된 네 가지 요소 때문으로 설명될 수 있다. 직무와 관련된 과제에 학생 집중을 장려한 짝활동, 직무내용 중심으로 편성된 교재로 인한 학생 자율성을 향상시키는 학습전략, 다양한 직무와 관련한 의사소통활동에 대한 관심, 그리고 특수목적영어와 관련된 의미있는 영어사용에 있어서의 실력향상을 들 수 있다. 이 결과들은 NCS에 기반을 둔 특성화된 항공운항과의 전공자중에서 영어 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높은 토익점수, 높은 수업 참여도, 자율성 신장과 같은 학업 성취도를 위해 NCS의 교육 목표가 규정한 내용을 포함하는 특수 목적에 부합하는 교재를 사용한 수업모형을 가져야 한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perception of the curriculum and evaluation method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of 100 aircraft cabin service management students.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perceived the NCS English teaching model positively in terms of improving competency, causing English class immersion, boosting learning autonomy, and enhancing a TOEIC score. The experimental groups contained meaningful four factor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as follows: 1) pair work encouraging students` concentration on tasks related with their future jobs; 2) learning strategies to enhance students` autonomy caused by the special course book including the contents of NCS; 3) students` interest in various communicative activities relative to their jobs; 4) an improvement in meaningful use of English for special purpo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w-level English learners with a specialized majors such as aircraft cabin service management based on NCS should have the English teaching model to use the specially fitted course materials including the contents with the educational objective which NCS regulates for their learning achievement such as a high TOEIC score as well as high class participation and enhancement of autonomy.

      • 기후변화 적응체계의 신뢰도 평가 방법론 연구

        조동인(Dongin Cho),박창근(ChangKeun Park),박지영(Jiyoung Park),강진원(Jinwon Ka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5

        현재 국제사회에서 논의되는 중요한 의제 중 하나로 기후변화 문제를 들 수 있다.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영향을 지역수준에서 평가하고 그에 따른 적응대책을 적절하게 수립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 대책에 대한 평가가 전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기후변화 적응대책 평가 방법론이 제안되고 있으나, 평가 관련 신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론이 부족하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예측 시 각 지역별 및 부문별 적응대책의 평가 결과를 활용하는데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신뢰도 평가체계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정성적 혹은 정량적 방법과 함께 현실내재적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평가체계의 신뢰도 평가 모형을 개발 할 때, 신뢰도 평가가 탄력적으로 고려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통합적 평가방법론의 신뢰도 평가체계는 기후변화로 인한 다양한 대응책 평가에 대해 신뢰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평가된 결과를 기후변화 적응대책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신뢰도 평가모형은 향후 기후변화 대응책의 신뢰성을 표준화해서 국내 실정에 맞는 적응정책 신뢰도 평가가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한국형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및 평가 시 과학적 근거에 기반을 둔 신뢰성을 제공한다는 측면이 본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Climate change is one of most dominantly discussed issues in the world. Evaluating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at a regional level and setting up an appropriate adaptation policy for issues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require a proper evaluation process on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jects implemented already. Although various evaluation approaches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grams have been proposed, it is rare to find a proper systematic approach to evaluating the reliability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grams. Under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system to evaluate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theoretical and standardized evaluation system on the reliability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grams. The new approach suggested in this paper will be appropriate when requiring a confidence level for adaptation programs that are especially localized and categorized. Using various quantified and qualified evaluation methods with the inherent reality mechanism, we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to measure the reliability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grams with the flexible adjustment process. Via the proposed framework,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nfidence level on the results collected from the evaluation systems and construct a standardized, system-wide assement procedure toward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By applying this approach for a scientific evidence on the reliability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appropriate and efficient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grams will be properly prepared for and implemented in Korea.

      • KCI등재

        아프리카 농업분야 ODA 사업 성과분석 및 시사점: KOPIA 사례를 중심으로

        조동인(Dongin Cho),박종훈(Jonghoon Park),이성우(Seongwoo Lee),박지영(Jiyoung Park) 한국지역학회 2021 지역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에서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하는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rea Program on International Agriculture; KOPIA)의 성과분석을 위해 아프리카 3개 지역을 대상으로 개별 추진 사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각 사업이 가지는 생산성 및 효과성 요인을 분석하였다. 각 국가별 현황에 따라 사업 참여 농가와 미 참여 농가 간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시범사업 참여 농가의 생산 및 수익성이 미참여 농가에 대비하여 크게 개선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ODA 사업 참여 만족도 조사에서도 미참여 농가와 비교하여 크게 개선된 실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아프리카 농업분야 ODA 사업의 성과분석에 주목하는 까닭에, 사업별 성과 및 경제성 분석 결과를 통해 사업운영 효과성 제고에 공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를 통해 ODA에 대한 성과적 측면에서 국민적 인식제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nalyzed investment effects for Practical Field Studies conducted by the KOPIA (Korea Program on International Agriculture) centers, which are part of the ODA project operat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ocusing on the productivity and effectiveness factors of each project, a questionnaire survey was sent to each KOPIA center associated with each project. The results demonstrated the production and profitability of farms participating in the pilot project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ose of farms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ject. Also, in the satisfaction results of taste, nutrition, and freshness, the participating firms could significantly improve them when being compared to those of non-participating farms. It is highly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operational effectiveness of Practical Field Projects conducted in Africa based on the results of each project’s performance and economic feasibility. This study also can lead to a change in the social perception of ODA projects by raising people’s awareness of ODA projects.

      • KCI등재후보

        기후환경 변화에 따른 한국사회 위기의 경제성평가 개념모형

        박지영 ( Jiyoung Park ),조동인 ( Dongin Cho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5 국정관리연구 Vol.10 No.1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과 재난의 발생가능성을 예측하여 사회·경제·문화·환경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세밀하게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재난발생에 따른 경제성 피해를 평가할 수 있는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여, 한반도 재난관련 빅데이터와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통합하고, 재난발생가능성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정밀하게 정량화 하고자 한다. 재난발생의 경제성평가를 위한 여러 정량적 모형들이 통합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경제성평가 통합모형의 개념적 개발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여러 문헌과 사례를 바탕으로 현재까지 자연재난의 경제적 평가모형을 조망한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기후환경 리스크의 경제성평가 개념모형을 제안한다. 셋째, 제안한 개념모형의 실질적 구축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여 완성된 개념모형을 개발한다. 이러한 경제성평가 개념모형은 다양한 정책적 제안들의 평가를 바탕으로 국가 재난대응역량을 고도화하기 위한 재난안전 연구개발 종합계획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자연재해가 국경을 초월하는 특성상, 여러 나라에 전파하여 일관성 있는 글로벌 평가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선진적 표준화에 앞장설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conceptual framework that quantitatively assesses economic impacts on various Korean contexts including societies, environments and economies stemming from climate change. While experiencing numerous disasters, the absence of rigorous models that could quantify various impacts stemming from natural or man-made disasters has made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difficult to financially allocate their resources to targeted regions and sectors. This framework considers various disaster risks that provide risk probabilities and are combined with data collected from historical events and/or surveys. To analyze various events, this conceptual framework needs to includ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Via iteration process, numerous anti-disaster policy scenarios will be tested and cumulated into database if effective to policy implementations. This framework suggests an integrated, systematic assessment approach that quantifies disaster damages, classifying the disaster types, impacted regions and impacted sectors. Based on this framework, therefore, various policy suggestions can be prepared and compared so they are promptly implemented to a future disaster. Hence, it will be effective to apply for an emergent event.

      • KCI등재

        지역단위 화재 위험도 저감의 고양시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손민수(Minsu Son),조동인(Dongin Cho),박창근(Chang Keun Park),고현아(Hyun A Ko),정승현(Seunghyun J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전국GIS건물통합정보표준데이터’의 건축물 공간정보 자료를 활용하여 고양시 지역단위의 화재발생 위험도를 산출하고 화재발생 확률에 따른 산업별 경제적 피해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편의상 공간적 범위는 경기도 고양시로 제한하였고, 지역 단위별로 동일한 화재위험 감소율을 적용하였다. 먼저, 지역별 화재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건축물 공간정보 자료를 이용하여, DB 구축, 지표 설정, 공간 분석의 과정을 거쳐 표준화된 화재 발생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은행 산업 연관표 대분류 30개 산업구분과 고양시 사업체조사 20개 산업구분과 매칭하여 고양시 산업연관표를 생성하였다. 최종적으로 화재 위험에 따른 고양시의 산업별 경제적 피해 산출은 고양시 산업연관표와 화재발생 가능성을 결합하여 산출하였다. 화재로 인한 6개월 생산 불가와 영업 손실이라는 기본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공급모형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산동구, 일산서구, 덕양구의 순으로 경제적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산업별로는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이 가장 큰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과 산업적인 측면에서 일산서구의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손실이 전체의 약 60% 비중을 차지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fire risk of the region in Goyang City using the spatial information data of buildings. The economic damage by industry was assessed according to the probability of fire risk. The study area was confined to Goyang-si, Gyeonggi-do, and the same fire risk reduction rate was applied to each region for the convenience of analysis. The possibility of fire was derived based on the buildings" density and usage in the area by National GIS building-integrated information standard data. The calculation of economic damage by industry in Goyang City due to the fire risk was calculated by combining the Goyang-si industry-related model produced by matching with 30 industrial categories in Input-Output Statistics of Korea Bank and 20 industrial categories in the Goyang-si business survey and the possibility of fire. The basic scenario of production impossibility during six months and business loss due to fire was established and analyzed based on the supply model. The analysis showed that Ilsan-dong-gu, Ilsan-seo-gu, and Deokyang-gu suffered the most economic damage. The "electricity, gas, steam, and water business" showed the greatest loss by industry.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과 도-농 공간구조 변화에 대한 탐색적 접근 - 공간적 정의의 관점에서 -

        박지영(JiYoung Park),박종훈(Jonghoon Park),조동인(Dongin Cho),이성우(SeongWoo Lee) 한국지방행정학회 2017 한국지방행정학보 (KLAR) Vol.14 No.3

        This study intends to explain how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 the urban and rural space,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urban economic models in order to propose a useful measure for new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that has centered massive resources on a particular region has led it grow and become a big city, inducing large migration of the rural population to the city. Experiencing hollow villages due to out-migration of the rural population, at the same time, the aging of the rural areas and the lack of basic infrastructure facilities have been threatening the existence of rural areas. Technological advances from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alternatively reverse this experience, revitalizing rural areas and resolving spatial and regional inequalit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is is possible i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ntributes to alleviating the disparity of regional utilit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f successful, it is highly expected that population migrating to a city as a result of the utility difference will experience reverse migration to rural areas. In addition, IoT and 3D-printing technologies will expand the flow of goods and service, which was mostly constrained by physical space, to the non-physical space; these technologies will lead contribute to increasing both the utility of urban and rural areas. To prepare the new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as well as other private firms and stakeholders need to collaborate for the future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