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모바일 러닝 실태 및 인식 분석

        조규락 ( Kyoo Lak Cho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2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5 No.6

        본 연구는 최근 모바일 러닝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고등학생들의 모바일 기기와 모바일러닝에 대하여 현 실태와 인식을 독립변인(성별, 학년별, 계열별)에 따라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였고, 통계는 백분율과 t/F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모바일 기기와 모바일 학습의 실태에 있어서 독립변인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결과가 있었다. 또한 2010년은 모바일 러닝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 연도가 될 수 있으며, 고등학생들은 자투리 시간에 모바일 러닝을 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학습방법에 있어서는 아직 앱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하는 방식은 아직 보편화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모바일 러닝에 대한 인식도에 있어서는 사용능력 측면에서, 학습수행력 증진 측면에서, 모바일 기기의 지속적 관심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actual conditions and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mobile learning. Survey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and percentile, t-test and F-test were conduct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revealed that in the case of actual conditions on mobile device and mobile learning, slight differences were shown in various sub-variables, depending on independent variables (gender, grade, track); year 2010 can be the most important year for the mobile learning; high school students seldom utilize mobile learning in a small piece of time; mobile learning using Apps was not widespread yet. In the case of awareness of mobile learn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use capacity of mobile devices, the increase of learning performance, and the continual interests of mobile devices.

      • KCI등재

        e-러닝을 통한 지방공무원 교육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 - 16개 시,도 지방정부의 지방공무원 교육원을 중심으로 -

        조규락 ( Kyoo Lak Cho ),김병주 ( Byoung Joo Kim ),김선연 ( Sun Yun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2

        공무원 교육훈련의 새로운 대안으로 대두된 e-러닝은 현재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공무원 교육의 격차를 줄이거나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도 의의가 있다. 그러나 현실은 기존의 면대면 교육훈련이 주로 중앙정부의 공무원에 집중된 것처럼 e-러닝을 통한 교육훈련 역시 중앙정부의 공무원 교육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여러 공무원 교육관련 e-러닝 연구는 주로 중앙정부 공무원의 e-러닝 실태를 분석한 연구가 주를 이룬다. 때문에 이 같은 연구결과를 중앙정부와 여러 조건이 각기 다른 지방정부에 그대로 적용하거나 일반화하는 데에는 큰 무리가 따른다. 본 연구의 목적은 e-러닝 필수적 제반 요소를 통하여 우리나라 전체 16개 시·도 지방정부의 e-러닝을 통한 공무원 교육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여 그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관련 문헌과 지방공무원 교육원의 홈페이지를 분석하고, 지방공무원 교육원의 e-러닝 담당자를 대상으로 전화면담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e-러닝을 통한 지방공무원 교육의 실태분석은 e-러닝의 다섯 가지 요소와 그 세부 요인들을 중심으로 기술되었다. 다섯 가지 요소와 그 세부 요인은 첫째, 인적 요소로서 운영자 관련(자격, 역할, 인센티브), 교수자 관련(자격, 구성, 역할, 수당, 인센티브), 학습자 관련(자격, 인센티브)의 세부 요인을 분석하였다. 둘째는 조직요소로서 부서명 및 e-러닝 조직의 성격 및 특성, 인적자원 개발관련 업무의 세부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셋째는 과정요소로서 교육계획 수립시 참고사항이나 과정개발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방법을 분석하였다. 넷째는 학사운영요소로서 개설강좌 수, 학습자수, 수강료, 이수기준, 평가방법을 분석하였고, 다섯째는 인프라요소로서 서버, 매체제작 장비, 네트워크와 같은 하드웨어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기타 요소로서 e-러닝 개설년도, 사이트 주소, e-러닝 교육 상태, e-러닝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이유, 법률적, 행정적 지원방안 등을 분석 정리하였다. 활성화 방안도 실태분석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e-러닝의 다섯 가지 요소와 세부요인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As an alternative educational and training system, e-Learning has a potential to lessen the educational gap of civil servants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However, since many existing studies focused mainly on the civil servants of central government, it is unreasonable for their results to generalize and apply to civil servants` education and training of local governments whose situations and conditions are varied from those of the central gover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actual conditions of e-Learning and then find the optimal way of e-Learning, specifically focused on civil servants`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entire 16 local governments in Korea.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study analyzed related documents, literatures, Internet home pages and then conducted phone interviews and survey, subjects of which were persons in charge of e-Learning in the training institutes of the 16 local governments. The results of analysis and suggestions were categorized and presented as follows: 1. Human: Operator (qualifications, roles, incentives), Instructor (qualifications, members, roles, allowances, incentives), Learner (requirements, incentives) 2. Organization: Name, Characteristics and Attributes 3. Course: References for educational plan,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e-Learning course 4. Management of Academic Affairs: The number of courses, The number of learners, Fees, Completion criteria, Assessments 5. Infra: Servers, Equipment of media production, Network 6. The others: Opening year, URL, Conditions of e-Learning, Reasons of e-Learning, Administrative supports.

      • KCI등재

        교육정보미디어연구(2002-2021)의 저자 현황 및 공저 네트워크분석

        조규락 ( Kyoo Lak Cho ),김찬희 ( Chan Hui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교육공학 분야의 대표적 학술지 중의 하나인 『교육정보미디어연구』에 게재된 논문의 저자의 현황 및 공저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저자 관계의 구조적 모습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2년 8권 1호부터 2021년 27권 3까지 수록된 논문 총 655편에 등장하는 저자와 공저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총 704명의 저자가 등장했으며 해가 갈수록 단독저술 보다는 공동저술이 증가하고 있었다. 공동저술은 2인 공저가 제일 많았고, 3인 공저가 뒤를 이었다. 저자수와 논문수의 관계는 적은 수의 논문을 게재한 저자가 매우 많고, 많은 논문을 게재한 저자가 적어지는 멱함수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단독 저자를 제외한 662명의 공저자(노드)가 형성하는 공저 네트워크는 총 1138개의 링크로 구성되었다. 매우 복잡한 양상을 보이는 전체 공저 네트워크는 군집분석(cluster)을 통해 총 66개의 군집으로 분리할 수 있었다. 다수의 군집(37개)이 2-4인의 연구자로 구성되어 연구자의 공저 관계 대부분은 소규모라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10명이 넘는 연구자가 모여있는 군집도 20개가 넘어 대규모 공저 관계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공저 네트워크에서 공저 빈도의 변화에 따른 중앙성(또는 중심성) 수치의 변화를 파악하여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중심 저자가 누구이며 이들이 공저 빈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논의하고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structural features of author relationship by conducting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authors and coauthor relationships in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For doing this, the study analyzed authors and coauthor relationships appearing in the total 655 articles from 2002 to 2021. The total 704 researcher wrote articles as single author or coauthor and the number of coauthorship has increased rather than single authorship as year passed. In coauthorship, two authorship are the most and followed by three authorshi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authors and the number of articles showed the power law distribution in that while the number of authors publishing a few articles is many, the number of authors publishing a lot of articles is few. Coauthor network, which is formed by 662 coauthors (nodes), is composed of the total 1138 links. The whole coauthor network looking very complex aspects can be classified into the total 66 clusters by the cluster analysis. Whereas most of coauthorship was small scale as many of clusters (37 clusters) consisted of 2 through 4 researcher, large scale of coauthorship also emerged as some of clusters consisted of more than 10 researcher. The study identified as well who key authors are affecting network and how these key authors change as coauthorship frequency changes, by figuring out the change of centrality value according to the change of coauthorship frequency.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and presented implications and following studies.

      • KCI등재

        성과 학교급에 따른 중·고교학생들의 이모티콘 사용실태 및 인식조사

        조규락 ( Kyoo Lak Cho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4 중등교육연구 Vol.62 No.4

        본 연구는 컴퓨터매개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중고등학생들의 이모티콘 사용에 대한 실태와 인식도를 성과 학교급에 따라 조사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서 자료조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통계분석은 χ² 검정과 t-검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이모티콘 사용실태에서 성과 학교급은 주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는데, 전체적으로 중고등학교 학생들은 의사소통할 때 이모티콘을 부담없이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이 가능하다. 이모티콘 인식에 대해서는 성의 차이가 분명하게 드러났다. 여학생들이 거의 모든 항목에서 남학생들보다 긍정적으로 이모티콘을 인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 가지 예외는 대화 상황이었는데, 공적인 대화상황에서는 남학생의 인식이 높았다. 반면에 이모티콘 인식에 대한 학교급에 대한 차이는 그 결과가 일관되지 않았다. 대화의 상황과 대화의 상대에 따라 이모티콘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있음을 이해하여 교수설계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actual conditions and awaren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moticon use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MC), depending upon gender and school level (middle vs. high school). Survey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and t-test and χ² test were conduct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gender and school level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tudents` emoticon use, which indicates that they use emoticons naturally without any difficulties when communicating among students. Another result is that gender greatly affects the awareness on emoticon use; female students are more positive than male ones in almost all aspects. One exception was communication situation; in a formal situation, male students are more positive than female ones. In contrast, as research result was not consistent, the effect of school level on emoticon awareness was not sure. Overall, it is noted that we need to understand that the awareness of emoticon c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communication situations and communication partners.

      • KCI등재

        Dewey의 교육론에 기반한 스마트폰 학습환경이 제공하는 학습자의 경험 탐구

        조규락 ( Kyoo-lak Cho ),김선연 ( Sun-yun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1

        교육은 학습자의 경험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교육환경에서 학습자의 경험을 이해하는 일은 교육을 이해하고 처방하는 데 중요하다. Dewey의 교육이론은 이런 학습자의 경험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한 이론적 관점을 제공한다. 최근 스마트폰이 거의 모든 학습자에게 보급되면서 이를 활용한 학습도 실행중이며, 더욱 비중이 커져 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 학습이 제공하는 환경에서 학습자는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탐구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생이었으며, 연구방법으로는 현상학적 방법을 이용한 정성적 연구와 설문지를 이용한 정량적 연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들은 Dewey의 교육적 경험의 3가지 관점에서 여러 다양한 경험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기에는 긍정적 경험(스스로 직접 찾아보는 자기주도적 학습, 내게 맞는 개별화된 교육과정, 관련 있는 다양하고 풍부한 지식, 접근성이 용이한 정보와 지식, 시공간적 제약을 극복한 언제 어디서나 가능한 환경, 휴대성과 편리성이 담보된 환경)과 부정적 경험(낮은 몰입도, 진중하지 못한 즉흥성, 단조로운 지식, 권위나 공신력이 의심되는 지식, 통제감이 부족한 환경, 선의의 동료 학습자나 경쟁자가 부재한 환경) 모두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Dewey 이론의 경험 주체, 경험 내용, 경험 환경 관점과 Dewey의 교육의 원리인 연속성과 상호작용성의 원리를 기반으로 논의하였다. Since education is based on learner’s experience, understanding learner’s experience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is important in understanding and prescribing education. Dewey’s philosophy of education provides very suggestive theoretical perspectives to understand the learner’s experiences. With the spread of smart phone to almost learners lately, learning service using it is now in progress and is expected to be more expanded.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experiences learners had in learning environments in which smart phone provides.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llege students and research methods used were a qualitative method using phenomenological approach and a quantitative one using survey.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in terms of Dewey’s three educational experiences learners have varied experiences including not only positive experiences but negative ones. Positive experiences include self-directed learning, individualized curriculum, varied and enriched knowledge, information and knowledge easy to access, environments above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and portable and convenient environments. Negative experiences include low flow, unserious improvisation, monotonous knowledge, knowledge in doubt, uncontrolled environments, and environments without peer students and competitors. The study discussed the results based on two main perspectives of Dewey’s theory of education, Included are three educational experiences (the subject of experience, the contents of experience, and the environment of experience) and the principles of education (the principle of continuity and the principle of interaction).

      • KCI등재

        근거이론을 활용한 SNS에서 발생하는 학습경험 탐구

        조규락 ( Kyoo-lak Cho ) 한국교육공학회 2022 교육공학연구 Vol.38 No.1

        SNS는 전 세계의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거의 매일 사용하고 있는 사회문화적 현상이다. 학습에 활용될 때 SNS는 학습에 유용한 도구나 환경으로서 작동하며, 학습자는 학습경험을 하게 된다. 그러나 SNS에서의 학습경험에 대한 체계적 이해가 부족하고 SNS에서의 유의미한 학습경험을 위한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심층적으로 경험의 내용을 분석할 수 있는 질적 접근을 이용하여 SNS에서 발생하는 학습경험의 모습을 체계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6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질적 자료를 수집하고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방코딩 단계에서 97개의 개념을 도출하였고, 축코딩 단계에서 33개의 하위범주와 15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상위범주 간의 관계를 Strauss와 Corbin이 제시한 6개의 패러다임 요소로 나누어 정렬하고 학습경험의 패러다임 모형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모형은 1) 학습정보/조언 획득, 학습기록과 공유가 SNS에서 발생하는 중심현상으로, 2) 학습정보 존재, 연결과 확장, 편리한 정보 접근이 그 중심현상을 발생하게 하는 원인과 조건인 인과적 조건으로, 3) 의문점 해소, 휴식과 충전, 주변 지인의 참여가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상황인 맥락적 조건으로, 4) 긍정적 조건들, 부정적 조건들이 중심현상을 촉진 혹은 완화시키는 중재적 조건으로, 5) 다양한 기능 활용, 행위규칙이 중심현상에 대처하기 위한 행위인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그리고 6) 새로운 분야경험, 지식습득, 부적경험이 중심현상으로 인해서 나타나는 결과로 구성되었다. 선택코딩 단계에서는 이전 분석결과를 유추함으로써 변화와 자각이라는 ‘성찰’을 SNS에서 학습자가 하게 되는 학습경험의 핵심범주로 도출하고 이를 중심으로 이야기 윤곽을 기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SNS에서 발생하는 학습경험을 논의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Social network service (SNS) is socio-cultural phenomenon that people throughout the world employ virtually every day. When utilized in learning, SNS is a useful tool or environment for learning in which learners are afforded learning experience. However,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learning experience in SNS is lacking. Furthermore, there is a paucity of research on utilization plans for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in SNS. Thus, by employing a qualitative approach that affords an in-depth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experiences, the features of learning experiences that are prevalent in SNS were examined systematically. Accordingly, qualitative data from 26 learn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employ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results revealed that 97 concepts from the open coding stage and 33 sub-and 15 upper-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axial coding stage. In this stage, these upper-categories were classified into the 6 paradigm model elements Strauss and Corbin recommended and a paradigm model of learning experiences was designed. The following aspects were included: causal conditions (existence of learning information, connection and extension, convenient information access), contextual conditions (resolving doubts, rest and recharge, and participation of acquaintance), key phenomena (acquisition of learning information/advice, learning record and sharing), intervening conditions (positive conditions, negative condition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utilization of varied functions, rules of conduct), and consequences (experience of new domain, knowledge acquirement). Finally, by employing the previous analysis in the selective coding stage, the core category named the reflection of change and awareness was derived.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learning experiences in SNS a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studies are outlined.

      • KCI등재

        개인 문제해결 상황에서 인지양식과 메타인지가 비구조 문제해결 및 논증에 미치는 효과

        조규락 ( Kyoo Lak Cho ),김선연 ( Sun Yun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 문제해결 상황에서 시각형 대 언어형의 인지양식에 따라 비구조 문제해결 및 논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살펴보며, 메타인지를 메타인지지식과 메타인지조절로 구분하여 비구조 문제해결과 논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에 참여한 83명의 학부생들의 인지양식은 시각형 학습자가 63명, 언어형 학습자가 20명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언어형 학습자들이 시각형 학습자들보다 비구조 문제해결과 논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그러나 논증의 하위 영역별로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구조 문제해결 성취도와 논증에서 메타인지지식 상위집단과 메타인지조절 상위집단의 비교 및 메타인지지식 하위집단과 메타인지조절 하위집단의 비교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기에는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한데, 한 해석은 메타인지 자체가 영향을 미치지 않았기 때문에 메타인지를 지식과 조절로 나누어 비교하여 검증하는 것이 무의미했을 것이라는 점이며, 또 하나의 해석은 처음부터 메타인지를 지식과 조절로 구분하여 비교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셋째, 비구조 문제해결과 논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비구조 문제와 논증뿐만 아니라 논증의 하위영역에서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구조 문제해결과 논증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style (visualizers vs. verbalizers) and metacognition (knowledge of metacognition vs. regulation of metacognition) on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when students individually tried to solve ill-structured problems. Each subject was asked to complete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test after he or she completed both questionnaires that identify his or her cognitive style and the level of metacognition. Eighty-three students were identified as visualizers twenty as verbalize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as follows: First, verbalizers had higher score than visualizers i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This indicates that verbalizers performed better than visualizers i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However, no effects of cognitive styles were found on the sub-elements of argumentation. Second, no effects of both the knowledge of metacognition and the regulation of metacognition were found o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There are two possible explanations. One explanation is that because metacognition did not a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s, there would be no necessary to divide metacognition into the knowledge of metacognition and the regulation of metacognition and verify them. The other explanation is that from the first, there would be no necessary to divide metacognition into the knowledge of metacognition and the regulation of metacognition in comparing the scores of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Third, the correlations were identified betwee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which indicates that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a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 KCI등재

        국내 교육공학 학문공동체의 지식 구조의 모습과 특성 탐색: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조규락 ( Kyoo Lak Cho ),김찬희 ( Chan Hui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공학 학문공동체의 지식 구조의 모습과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교육공학의 대표 학술지인『교육공학연구』와『교육정보미디어연구』에서 초록과 키워드가 제시된 모든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초록과 키워드가 제시된 2002년부터 2016년까지 총 897편의 논문에서 3,694개의 키워드를 수집하였고, 정제와 코딩을 거쳐 최종적으로 2,010의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이 중에서 주요 키워드들을 중심으로 빈도분석과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고 교육공학 학문공동체의 지식 구조를 보여주는 네트워크 지도와 지표를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공학 학문공동체의 지식 구조는 좁은 의미에서 테크놀로지의 교육적 활용을 탐구하는 것이지만, 핵심적 사항은 교육이론 기반의 주제들과 연결되어 함께 연구된다는 것이다. 둘째, 대표적인 교육기반 키워드들은 학업성취도, 상호작용, 교수학습설계, 협력학습, 효과성, 만족도, 학습환경, 학습전략, 현존감, 문제해결, 역량, 몰입, 자기조절학습,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문제중심학습 등등이며, 대표적인 테크놀로지 기반의 키워드들은 이러닝, 사이버교육, 사이버대학, 온라인교옥, 원격교육, ICT, 블랜디드러닝, 사이버가정학습, 디지털교과서 등등이다. 교육공학 학문공동체는 이런 키워드들과 관련한 주제들을 연구한다. 셋째, 연구경향성 측면에서 교육이론 기반의 주제는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고 있지 않지만, 테크놀로지 기반 주제들에 대한 연구는 시대상을 반영한다. 때문에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등장하면 이에 대한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탐구할 가능성이 크다. 넷째, 교육공학의 연구주제는 매우 다양하며 인접 분야와의 융복합연구가 가능하며, 필요한 학문이다. 다섯째, 교육공학의 대표적인 학술지인『교육공학연구』는 다양한 이론적, 학술적 측면의 논문들이,『교육정보미디어연구』는 실천중심으로 연구된 논문들이 게재되는 경향을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 Educational Technology Community (KETC). For this purpose, all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two main Korean journal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JET) and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JEIM),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3,694 original key words collected from total 897 articles in 2002 2016 were cleaned and coded into the 2,010 key words. Then, the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nd the network text analysis centering around the main key words, and presented network maps and important indicators showing KETC’s knowledge structure.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rom narrow view, the KETC’s knowledge structure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use of technology, but the KETC’s core is to investigate educational-theory-based themes ‘with’ various technology-based themes connected to the educational-theory-based themes. Second, the KETC’s knowledge structure consists not only of the educational-theory based key words, such as accomplishment, interaction, instructional-learning design, collaborative learning, effectiveness, etc., but also of the technology-based ones, such as e-Learning, cyber education, cyber university, online education, etc. Third, in terms of research trend, the technology-based themes reflect the current times, thus the KETC will keep studies on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uses, when new technology arrives. Fourth, Educational Technology studies various themes, which allows collaborative studies with neighbor fields of inquiry. Finally, JET and JEIM are the two main journals for KETC, but the former tends to mainly publish varied theoretical articles, the latter tends to mainly publish practical ones.

      • KCI등재

        e-러닝과 u-러닝의 차이점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실태 분석

        조규락 ( Kyoo Lak Cho ),김선연 ( Sun Yun Kim ),우석구 ( Suk Koo Wo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현장의 교사들이 e-러닝과 u-러닝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직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e-러닝과 u-러닝에 대한 인식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와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익숙성 측면에서 절대 다수의 교사들이 u-러닝과 달리 e-러닝 개념에 익숙해 있었다. e-러닝은 널리 퍼진 개념이지만 u-러닝은 서서히 알려져 가고 있는 개념으로 보인다. 둘째, 친근성 측면에서도 다수의 교사들이 u-러닝에 친근성을 갖고 있지 못하였다. u-러닝은 자신의 체험과 업무와 관련이 없다고 인식한 것이다. 셋째, "e"와 "u"의 의미와 정의에 관해서도 e-러닝보다는 u-러닝에 있어서 훨씬 다수의 교사들이 그 알파벳의 의미와 정의를 모르고 있었다. u-러닝에 익숙하지도 친근하지도 않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넷째, 관심도의 경우에도 u-러닝이 e-러닝보다 관심도가 많이 낮았다. e-러닝 만큼 u-러닝이 학교에 보급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다섯째, e-러닝과 u-러닝의 교사와 학교교육에 영향력 측면에서는 e-러닝과 u-러닝 모두 영향을 줄 것으로 믿고 있었다. 그러나 어느 것도 교사의 자발적인 교육체제로 보지는 않았다. 때문에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다수의 교사들이 모두 e-러닝과 u-러닝 모두 연수 경험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다양한 연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수업경험에 있어서도 다수의 교사들이 현장의 수업에서 e-러닝과 u-러닝을 이용한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많은 교사들이 기회가 되면 연수를 받을 의향이 있으며 수업에서의 이용을 고려하고 있었다. e-러닝과 u-러닝의 보급에 노력을 해야 할 명분으로 보인다. 끝으로 많은 교사들이 e-러닝과 u-러닝은 다르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별개의 교육체제가 아니라 e-러닝을 대체할 발전된 교육체제로서 u-러닝을 파악하고 있었다. u-러닝으로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e-러닝이 자연스럽게 교수-학습과정에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e-Learning and u-Learning.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survey research, subjects of which were school teachers. The results and its interpretations were as follows: First, unlike u-Learning, absolute majority of teachers was well acquainted with e-Learning. It appears that the concept of e-Learning is widespread, whereas that of u-Learning is not. Second, unlike e-Learning, many teachers were not familiar to u-Learning. They answered that u-Learning would not be related to their work yet. Third, some teachers did not know the meaning of "e" while majority of teachers did not know the meaning of "u". One possible reason is that they are not familiar and intimate with u-Learning. Fourth, teachers` interest in u-Learning was lower than that in e-Learning. It seems that u-Learning is less popular than e-Learning in school settings. Fifth, majority of teachers agreed that not only e-Learning but also u-Learning would affect on teachers and schooling. Sixth, majority of teachers barely had training experience on u-Learning as well as on e-Learning. Seventh, many teachers did not utilize e-Learning and u-Learning in their classes. Varied training and education about e-Learning and u-Learning would be necessary. Finally, many teachers regarded e-Learning and u-Learning as being different each other. However, they did not think e-Learning and u-Learning were totally different education systems, but they thought of u-Learning as an alternative, developed education system. It shows that for u-learning to be successfully introduced into schooling, e-Learning should be implemented gradually.

      • KCI등재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이 학생의 수업 참여도와 학업 성취도 도움에 미치는 영향

        조규락 ( Kyoo Lak Ch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수업상황에서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이 고등학생들의 수업 참여도 및 학업 성취도 도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독립변인으로 사용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은 신체언어(눈맞춤, 얼굴표정, 신체적 접촉, 제스처), 유사언어(어조, 말의 속도, 표준어/사투리), 공간적 행위(거리), 가공적 행위(의상, 화장)의 10개 요소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거의 모든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 안에서 교사의 긍정적인 비언어적 행동은 교사의 부정적인 비언어적 행동보다 더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와 학업성취도에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예컨대, 눈 맞춤 유형에서 "따뜻한 눈 맞춤"이 "찡그린 눈 맞춤"보다, 얼굴 표정 유형에서 "웃는 얼굴"이 "화난 얼굴" 보다 유의하게 더 도움을 주고 있음). 둘째, 긍정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들 사이에서는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예컨대, 얼굴 표정 유형에서 "밝은 표정"과 "웃는 얼굴"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부정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예컨대, 얼굴 표정 유형에서 "화난 얼굴"이 "걱정스런 표정"보다 더 부정적인 결과를 보임). 셋째, 연구참여자가 누구인가에 따라 결과가 상이할 수도 있는 연구결과도 있었다(예컨대, 지방에서는 사투리가, 수도권 지역은 표준어가 종속변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연구대상의 연령대에 따라 의상유형도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이 학생들의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의도적으로 긍정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사용하도록 노력해야 하며, 부득이하게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해야 할 경우에는 학생들이 납득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교수매체라는 시각에서 조망할 필요도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nonverbal communication of teachers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instru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help. Nonverbal communic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study included kinesics(eye contact, countenance, physical contact, gesture), paralanguage(tone, speed of talking, dialects), proxemics(distance/closeness), artifacts(clothes, make-up). Major findings i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most all the positiv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teachers significantly affected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instru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help more than the negative ones of teachers did. The positiv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include warm eye contact, bright and smiling countenance, patting one`s head, shoulder, and back, proper gestures, teaching at close, louder voice, proper speed of talking, and clean and neat clothes, while the negative ones included frowning, unsatisfied eye contact, angry and worried countenance, teaching without looking at students, teaching without moving, punching on the head, slow or fast speed of talking, and heavy perfume smell.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dependent variables among the positiv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teachers, whi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dependent variables among negative nonverbal ones of teachers. Finally, if subjects would be different from the study, the results could be different from in dialects teachers use and clothes teachers wear.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that teachers should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that affect students` learning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need to be dealt with as instructional media in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