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조생식술의 성과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기저 난포수의 유용성

        조권문 ( Jo Gwon Mun ),정난희 ( Jeong Nan Hui ),정소은 ( Jeong So Eun ),정언석 ( Jeong Eon Seog ),김탁 ( Kim Tag ),김선행 ( Kim Seon Hae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10

        배경 : 성선자극호르몬 투여에 대한 다수의 난포 동원과 발달은 보조생식술에 의한 성공적인 치료결과를 예측하는데 아주 중요한 요인이다. 또한 난소 반응의 예측은 각각의 보조생식술 환자를 상담하고, 성선자극호르몬의 용량을 조절하는데 아주 유용할 것이다. 목적 : 양측 난소의 기저 난포수의 측정이 보조생식술의 결과를 예측하는데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2000년 1월부터 2001년 6월까지 본원에서 과배란 유도를 통하여 체외수정 첫 주기를 Background : Recruitment and development of multiple follicles in response to gonadotropin stimulation are the key factors leading to successful treatment by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Prediction of ovarian responses prior to stimulation is usefu

      • KCI등재

        노화에 따른 남녀간의 코골이 빈도에 관한 연구: 폐경의 위험 인자 연구를 위한 예비 연구

        김탁 ( Kim Tag ),정화경 ( Jeong Hwa Gyeong ),임지은 ( Im Ji Eun ),조권문 ( Jo Gwon Mun ),박성훈 ( Park Seong Hun ),이규완 ( Lee Gyu Wan ),김선행 ( Kim Seon Haeng ) 대한폐경학회 2003 대한폐경학회지 Vol.9 No.2

        목적 : 남성과 여성의 코골이 발생빈도의 차이와 여성의 코골이 빈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고려대학교 안산병원에 내원한 남자 2277명, 여자 1893명을 대상으로 코골이 유무 및 정도에 관한 문진과 호르몬 검사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남성과 여성, 코골이군과 비코골이군, 그리고 나이에 따른 코골이 발생빈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 코골이 발생빈도는 남성과 여성에서 각각 39.91%, 19.65%로 남성에서 더 높았다. 그러나 50대 이후에서는 각각 29.67%, 30.40%로 비슷한 발생빈도를 보였다. 폐경 전과 후 여성에서 코골이 발생빈도는 각각 15.19%, 29.67%로 통계적으로 유의 있게 페경 후 여성에서 더 높았다(p<0.0001). 코골이군에서 안드로스테네디온, 에스트라디올,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설페이트는 낮게, 테스테스테론 수치는 낮게 나왔다. 결론 : 폐경 상태를 코골이의 변동성의 원인 인자 중 일부를 설명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폐경 후 여성에서 호르몬 분비 변화가 코골이 발생빈도에 영향을 주는 지의 여부는 더 연구가 필요하겠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prevalence of snoring between aging male and female, and to explore a risk factor affecting snoring in female. Methods: A total of 4170 subjects (male:2277(54.6%), female:(45.40%)) enrolled in ANSAN Health Study were randomly recruited and questions related snoring including demographic information and sleep-related symptoms were taken by well trained surveyors. We calculated the prevalence of snoring in male and female, and compared the difference of prevalence distribution. Results: The overall prevalence of snoring was higher in male than that of female (M: 39.91%, F: 19.65%). The peak age in male was 40-50s and in female was 50s, but the prevalence of snoring became almost same level with the progress of age after 50s. And the prevalence in postmenopausal group is same as that in more than 50s group (29.67%, 30.408).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wo interesting results; (1) The snoring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menopause. (2) After menopause, the prevalence of snoring becomes almost same in both male and female. This data provide that post-menopausal hormonal change may influence the mechanism of snoring leading to increase the prevalence of snoring in menopausal women. The further patho-physiologic evaluation may be needed in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