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一带一路”与“新北方政策”对接的背景下铁路网络连接的影响分析

        조국봉 대한중국학회 2022 중국학 Vol.78 No.-

        The global economy has been hit hard by the COVID-19 pandemic, and countries around the world urgently need to restore economic growth. As countries in Eurasia become more and more closely connected, it is inevitable for China's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South Korea's new Northern policy to connect. In this context, what matters is the connection of the railway net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integration of the Korean Terminal Railway (TKR) into the Eurasian railway network by connecting the Korean Terminal Railway (TKR) with China's China-Europe freight train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n interactiv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ailway freight volume and GDP, and South Korea is expected to become the logistics center of East Asia and improve its status and influence in the world center. Within the Korean peninsula, the railway connection can draw North Korea into a larger multilateral agreement system, and South Korea can use external forces within the system to push North Korea to seek more economic cooperation and actively promote the reunification process. The economic development of Northeast Asia also plays a positive role in the economic recovery of the three provinces in northeast China.

      • KCI등재

        ICT인프라가 아프리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장새,조국봉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Analysis of the Impact of ICT Infrastructureon the African EconomyZhang Sai & Zhao Guofe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mpact of several aspects of ICT infrastructure on African economy, and find out the reasonable investment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impact degree. This study mainly used factor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regression analysis as research methods. In this paper, five indicators related to ICT infrastructure, including electricity access, fixed and mobile broadband, per capita international bandwidth and internet users, are taken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top 20 countries in Africa with GDP are taken as research objects and their per capita GDP is taken as dependent variable to study the impact degree of ICT infrastructure on economic development and living standards in Afric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among the five indicators, access to electricity and international bandwidth per capita have the greatest impact on Africa’s GDP per capita. Therefore, this paper believes that when investing in ICT infrastructure, it should first be invested in the improvement of electricity access and the enhancement of international bandwidth. In addition, the Korean ICT industry should first consider the local international bandwidth when entering the African market, as the quality of the international bandwidth will directly affect the trade between countries. Key Words: Africa’s Economic Development, Digital Economy, ICT Infrastructure, Factor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Regression Analysis ICT인프라가 아프리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장 새*ㆍ조 국 봉** 연구 목적: CT 인프라의 몇 가지 측면이 아프리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분석하고 그 정도의 크기에 따라 합리적인 자금 투입 배치를 찾아내는 것이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주로 요소 분석 및 주성분 회귀분석을 연구 방법으로 한다. 연구 내용: 전력 접근, 고정 및 모바일 광대역, 1인당 국제 대역폭, 인터넷 사용자 등 5개 ICT 인프라와 관련된 지표를 독립변수로 하고 아프리카 GDP 상위 20개 국을 연구 대상으로 하며 그들의 1인당 GDP를 종속변수로 삼아 ICT 인프라가 아프리카 지역의 경제 발전과 생활수준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연구하고자 한다. 결론 및 제언: 연구 결과에 따르면 5개 지표 중 전력 획득과 1인당 국제 대역폭이 아프리카의 1인당 GDP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문은 ICT 인프라에 자금을 투입할 때 전력 접근 개선과 국제 대역폭 강화 두 가지에 우선 투입해야 한다고 본다. 또한 국제 대역폭의 질은 국가 간 무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본고는 한국 ICT 기업이 아프리카 시장에 진출할 때 현지 국제 대역폭의 상황을 먼저 고려해야 한다고 건의한다. 핵심어: 아프리카 경제 발전, 디지털 경제, ICT 인프라, 요소 분석, 주성분 회귀분석 □ 접수일: 2022년 11월 9일, 수정일: 2022년 11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주저자, 중국 절강사범대학교 아프리카 연구원 조교수(First Author, Professor, Zhejiang Normal Univ. of China, Email: zhangsai89@163.com)** 교신저자,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박사과정(Corresponding Author, Doctoral Course, DongA Univ., Email: zhaoguofeng19880316@gmail.com)

      • KCI등재

        중국 교육산업의 경제적 효과분석

        이혁진,원팅팅,조국봉,배기형 한국상품학회 2018 商品學硏究 Vol.3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conomic effect of Chinese educational industry and to contribute to the policy of development strategy for continuous growth of Chinese educational industry. For this purpose, the 2010 Input-Output Table issued by the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in 2013 was used.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of inducement coefficient of the Chinese educational industry by row was 1.75 in 2010, and the total by column was 1.06, so it can be interpreted that educational industry is yet to be matured. Second, the sensitivity coefficient of Chinese educational industry was 0.58 in 2010, and the impact coefficient was 0.35. As both are less than 1, it is understood that it is still at the final demand type and primitive type industry. Third, the income inducement coefficient of the Chinese educational industry was 0.757, the production tax inducement coefficient was 0.044, and the added value inducement coefficient was 0.992. Finally, if the final demand of the Chinese education industry in 2010 is 1.6 trillion yuan into the Chinese economy, the total industrial production induced by the whole industry is 198.2 trillion yuan, 1.7 trillion yuan (0.9% of total) (3.1%) of the education industry itself, 0.5 trillion yuan (3.8% of the total) in the education industry itself, and the total amount of the production tax is 4.9 trillion yuan And 0.003 trillion yuan (about 0.1% of the total) in the industry itself.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교육산업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중국 교육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정책적 추진전략에 일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국 통계국이 2013년에 발행한 2010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교육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의 열합계는 2010년 1.75, 행 합계는 1.06으로 매우 낮아 교육산업이 아직 성숙되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중국 교육산업의 감응도계수를 보면 2010년 0.58, 영향력계수는 0.35로 모두 1보다 작아 최종수요적 원시산업형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중국 교육산업의 소득유발계수는 2010년 .757, 생산세 유발계수는 0.044, 부가가치유발계수는 0.992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2010년 중국 교육산업의 최종수요 1.6조 위안을 중국경제에 투입할 경우 전 산업에서 유발되는 총생산유발액은 총 198.2조 위안 중 교육산업자체에서는 1.7조 위안(전체의 0.9%), 부가가치유발액은 총 31.1조 위안 중 교육산업 자체에서는 0.6조 위안(1.95%), 소득유발액은 총 13.8조 위안 중 교육산업 자체에서는 0.5조 위안(전체의 3.8%), 생산세 유발액은 총 4.9조 위안 중 교육산업 자체에서는 0.003조 위안(전체의 약 0.1%) 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