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일반논문 : 위험형법에서 허용된 위험이론의 전개

        조광훈 ( Kwang Hoon Cho ) 영산대학교 법률연구소 2014 영산법률논총 Vol.11 No.2

        현대사회가 위험사회라는 것을 극명하게 보여준 사고가 바로 세월호 사고였다. 과학기술문명이 발달할수록 수많은 위험은 발생하고 이를 통제하고 제어하기 위한 위험형법은 강조된다. 그러나 물질문명의 유용성에 의한 다소의 법익침해는 사회적 상당성 때문에 허용될 수가 있다. 하지만 위험형법에서 말하는 위험과 허용된 위험이론의 개념의 모호함은 어느 행위가 위험하고 위험하지 않은지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위험사회에서 허용된 위험이론은 죄형법정주의의 훼손을 방지하지만 위험의 확장에 따른 안전의 위협을 불러오기도 하고, 피의자의 인권을 보호하는 반면 국가형벌권의 약화를 초래하기도 한다. 위험사회에서 허용된 위험이론은 전통형법과 위험형법에서 허용된 위험이론의 역학구도는 안전과 위험의 공존의 순환법적 도그마틱을 형성하고, 허용된 위험이론의 한계가 드러난다. 위험사회에서 허용된 위험이론은 인권보호의 균형추와 충실한 좌표역할을 담당한다. 국가에 의한 형사정책적 관점에서 위험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 국민들은 위험의 사회적 상당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평가가 곁들어 지고 국가의 안전사회를 위한 책무와 과제를 다한다면 위험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좀 더 안전사회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What clearly showed that modern society is a risky society was the MV Sewol Incident. As scientific & technological civilization advances, numerous risks occur and according Riskostrafrecht to control such risk is emphasized. However, a certain degree of Rechtgut infringement from the usefulness of material civilization can be permitted because of social reasonability. As for the ambiguity of concept of Risk Theory permitted and risk being referred to in Riskostrafrecht, however, there is no specific criteria for determining which action is risk or no. The Risk Theory permitted in risky society causes the threat of safety from expansion of risk while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principle of legality, as well as causes weakening of state punishment power while protecting the human right of suspect. As for the Risk Theory permitted in risky society, the dynamics of Risk Theory permitted in traditional criminal law and Riskostrafrecht form circular dogmatic of the coexistence of safety and risk as the path of limitation of permitted Risk Theory. The Risk Theory permitted in risky society plays a key part as balance weight of human rights protection and faithful coordinat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anage risk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criminal policy. Along with correct recognition and assessment on social reasonability of risk by people and the nation``s fulfillment of its responsibilities and assignments on safe society, a safer society can be maintained by effectively managing risk.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형사소송법 제106조의 쟁점과 개정안 검토

        조광훈 ( Kwang Hoon Cho ) 법조협회 2014 法曹 Vol.63 No.7

        There have been many controversies on the extensive search and seizure of digital evidence during its according process. Upon the revision of Paragraph 3, Article 106, Criminal Procedure Act on July 18, 2011, various articles/paragraphs on search and seizure of information storage device were revised. It focused on stipulating ‘the principle of output and reproduction seizure’ and ‘exceptional seizure of original storage device’ and adding ‘relation’ phrase to correct the wrongful practice of existing extensive search and seizure. However, there are still controversies in the interpretation such as not having clearly defined whether electronic information is still object of seizure, or the issue of whether to regard the act of analyzing information storage device seized from search and seizure location to a third location as a part of search and seizure, and the issue of determining the circumstances of allowing exceptional enforcement related to exceptional seizure of original information storage device. In the sense that search and seizure of electronic information is increasing in the field, electronic information should be stipulated as object of search and seizure in Paragraph 1, Article 106, Criminal Procedure Act. In the present discussions on revision, it is being asserted that the act of analyzing seized materials by transferring them to a third location should be regarded as an extension of search and seizure act, or that such act requires the court permission. Such assertion is not valid since it should be seen that the act of analyzing seized materials is included at the time of determining whether to issue search and seizure warrant.

      • KCI등재
      • KCI등재

        정보저장매체 등의 압수 · 수색에서 참여권

        조광훈(Cho Kwang-hoon) 한국법학원 2015 저스티스 Vol.- No.151

        수사기관의 정보저장매체 또는 전자정보에 대한 압수수색절차에서는 자칫 위법수집증거 배제법칙의 논란에 휩싸이기 쉽다. 이는 전자정보의 특성상 해당사건과 관련성이 없는 전자정보까지도 광범위하게 압수수색의 대상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압수수색절차에서의 참여권에 관한 규정은 일반 물건에 대한 압수수색절차에서 보다는 정보저장매체 등에 대한 압수수색절차에서 더욱 중요한 의미가 있다. 정보저장매체의 압수수색절차에서 참여권은 최초의 압수수색현장과 수사기관의 사무실에서는 포괄적 탐색행위도 억제한다. 그리고 피압수자 등의 재산권과 정보기본권을 보호하여 압수수색절차에서 적정절차를 유지시켜준다. 그리고 피압수자 등의 재산권과 정보기본권을 보호해 준다. 정보저장매체의 압수수색절차에서 참여권을 논함에 있어 압수수색의 종료시점과 관련된 문제, 수사기관의 분석행위와 관련성의 상관성 문제에 대한 합리적 해석이 전제되어야 한다. 또한 피압수자 등에 대한 참여권의 사전통지의 문제와 분석행위에서 참여권의 남용 문제도 적절하게 해결되어야 한다. 정보저장매체의 압수수색절차에서 참여권의 합리적 보장방안으로는 현장 압수수색절차(제1의 장소)와 정보저장매체나 복제 또는 출력한 전자정보를 옮겨 분석하는 장소(제2의 장소)에서 참여권을 분리하여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1의 장소에서부터 제2의 장소까지 4단계별로 분리하여 참여권을 검토하여야 한다. 최초의 정보저장매체가 놓여 있던 장소에서 정보저장매체나 복제 또는 출력한 전자정보를 수사기관의 사무실 또는 디지털 포렌식센터로 옮겨 봉인을 해제하기 전까지의 단계(제1단계), 당사자의 참여하에 정보저장매체의 봉인을 해제하는 단계(제2단계), 해당사건과 관련성 있는 전자정보를 탐색하여 이를 출력한 후 원본을 재봉인하는 단계(제3단계), 출력한 전자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제4단계)로 나누어 참여권을 검토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따라서 제1-3단계까지는 참여권을 반드시 보장할 필요가 있겠지만 해당사건과 관련성이 있는 부분을 출력한 이후에 순수한 분석절차가 이루어지는 제4단계에서는 참여권을 인정하지 않아도 무방하다고 본다. 여기에 해당사건과 관련성 없는 전자정보에 대한 분석은 금지되어야 한다. 궁극적으로는 참여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정보저장매체 등의 압수수색절차에서 참여권에 관한 규정을 명문으로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search and seizure procedure on information storage device or electronic information by investigative agency is prone to a controversy of the exclusionary rule of the illegally obtained evidence. It is because electronic information unrelated to corresponding incident can also become the subject of search seizur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nic information. The regulation on the participation right in search and seizure procedure has more important significance in the search and seizure procedure of information storage device compared to the search and seizure procedure of general items. In regards to the participation right in the search and seizure procedure of information storage device, comprehensive search action is also suppresses at the initial search and seizure site and the investigative agency office. In addition, it maintains reasonable procedures during search and seizure procedure by protecting the property rights and information rights of those subject to seizure. In the discussions of participation right in the search and seizure procedure of information storage device, reasonable interpretation is required regarding the issue related to the completion time of search and seizure and the correlation issue of the analysis action and relevance of investigative agency. In addition, issue of prior notification of participation right regarding those subject to seizure and issue of abuse of participation right in analysis action also need to be reasonably resolved. In regards to reasonable assurance measures of participation right in the search and seizure procedure of information storage device,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review the participation right during the site search and seizure procedure (location 1) and the participation right at a location (location 2) to where information storage device or replicated/printed electronic information is moved for analysis. It would be necessary to review participation right by separating in four steps from location 1 to location 2. It would be reasonable to review participation right by dividing into four steps, namely the step of moving information storage device or replicated/printed electronic information from a location where information storage device was initially placed to investigative agency office or digital forensic center for unsealing (step 1); the step of unsealing information storage device in the presence of involved parties (step 2); the step of searching and printing electronic information related to corresponding incident and resealing original text (step 3); and the step of analyzing printed electronic information (step 4). Accordingly, it would be required to guarantee participation right in steps 1-3 but it would be fine to not recognize participation right in step 4 in which analytical procedure is conducted after printing information related to corresponding incident. During this procedure, it should be prohibited to analyze electronic information unrelated to corresponding incident. For the purpose of guaranteeing participation right, it would be necessary to stipulate regulations on participation right during the search and seizure procedure of information storage device.

      • KCI등재

        내사와 수사의 구별에 관한 고찰

        조광훈(Cho, Gwang-Hoon)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2 法學論叢 Vol.19 No.3

        내사는 ‘수사기관이 피내사자의 범죄 혐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통상의 수사를 개시하기 이전에 행하는 은밀한 조사활동’을 말한다. 내사와 수사를 구별하는 학설 중에서 피내사자의 인권보호를 기할 수 있고 형사절차법정주의에 부합한다는 점에서 형식설보다는 실질설이 타당하다. 이를 구별할 필요성은 법적통제의 유·무, 조사방법의 차이, 조사대상자들에 대한 인권보호 등의 이유로 구별되어야 한다. 수사기관의 최초의 수사행위로 볼 수 있는 구체적인 징표들로는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요구하거나 피의자 신문을 개시한 때, 피내사자가 자술서를 작성하기 시작한 때, 고소·고발인에게 출석을 요구한 때, 고소·고발인을 상대로 조사를 개시한 때, 고소·고발을 접수하고 공·사무소에 대한 사실조회를 요청한 때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사법경찰관 또는 검사가 체포영장을 신청하거나 청구한 때, 수사기관이 현행범을 체포하거나 긴급체포한 때, 준현행범을 상대로 신문을 개시한 때, 현행범을 인수받고 범죄혐의를 확인하고 입건절차를 밟은 때, 일반적인 압수·수색영장을 신청하거나 청구한 때, 긴급 압수·수색을 실시한 때, 변사체 검시(또는 부검)한 후, 범죄혐의를 포착하고 최초의 수사행위를 한 때, 피내사자를 지명수배를 한 때 등으로 살펴볼 수 있다. The internal investigation means ‘the secret investigating activity of investigative agency, which is performed before the beginning of the ordinary investiga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crime suspicion of a suspect.’ Among the theories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internal investigation and the investigation, the form theory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substance theory since it allows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the suspect and corresponds with the principle of crime procedure. Not only does the need for the distinction depend on whether the legal control exists or not, but it also arises from the reasons including the difference between investigation methods, and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of suspects. The concrete signs in the early investigation activities of the investigative agency can be found in the activities consisting of requesting for attendance as a suspect or beginning the examination of a suspect, starting to make a suspect write an affidavit, requesting for attendance of an accuser, beginning to investigate an accuser, and filing the accusation and requesting for the fact-finding inquiry of the public/government office. In addition, they can be also examined in the activities related with the request or claim for an arrest warrant by the judicial police officer or the prosecutor, the arrest(or arrest without warrant) of the red-handed, the beginning of examining the quasi-flagrant offense, the identification of crime suspicion and progress of criminal charge procedure after taking over the red-handed, the request or claim for a general seizure and search warrant, the enforcement of search and seizure without warrant, the autopsy(or postmortem) of body, the implementation of early investigation activities after detecting the crime suspicion, and the arrangements of a suspect for the search for an identified criminal.

      • KCI등재

        내사의 허용범위와 법적통제

        조광훈 ( Gwang Hoon Cho ) 영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영남법학 Vol.0 No.34

        내사는 ``수사기관이 피내사자의 범죄혐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행하는 수사개시권을 행사하기 전의 은밀한 모든 조사활동``을 말한다. 현재 내사의 명 확한 법적근거는 존재하지 않는다. 내사와 수사의 구별은 형식설과 실질설로 나누어진다. 수사기관이 수사를 내사로 포장하여 피내사자의 각종 제반권리를 좌지우지하는 것을 피내사자의 인권보호에 충실할 수 있다는 면에서 형식설보다는 실질설이 타당하다. 내사의 허용범위는 세간의 풍문, 뉴스, 방송, 정보원 등으로부터 범죄혐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수집 활동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수집을 핑계로 피내사자에 대한 불필요한 감시와 미행을 남용 해사는 안된다. 내사에서 기초적인 주변조사로는 피내사자의 인적사항과 주소지 확인, 주민등록지 이동상황, 피내사자와 그의 가족상황, 개인별 부동산 소유와 변동사항, 개인별 출입국 내역, 여권 및 비자발급 내역 등 공무소 둥에 대한 각종 사실조회를 예시적으로 들 수 있다. 내사절차에서도 참고인이나 피내사자를 조사할 수 있지만 피내사자를 임의동행을 빙자하여 강제연행을 하거나 피의자에 대한 조사방법을 사용하면 안된다. 내사절차에서도 제한적인 대물적 압수· 수색을 할 수 있고, 통신사실 확인 및 통신제한조치, 출입국 조회 및 출국금지, 금융거래조 사와 계좌추적을 실시할 수 있으나 매우 제한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피내사자의 법적통제는 피내사자의 인권보호를 위하여 수사기관의 자제적인 법적통제의 시스템을 확립하는 것이 팔요하다. 국회의 국장감사나 국정조사권이나 언론에 의한 통제도 필요하며 법원에 의한 법적통제가 강조된다. 경찰내사의 경우는 내사로 포장된 실질적인 수사행위는 검사의 수사지휘권의 발동이 가능하여야 한다. 경찰내사에 비하여 사회지도층이나 사회적으로 이목을 끄는 내사를 진행하는 검찰내사에 대한 법적통제의 필요성이 더욱 요구된다. 내사의 명확한 법적근거를 형사소송법에 마련하여야 한다. Internal investigation is a secret investigative activity by investigative agency before exercising the investigation-start right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 person under internal investigation can he charged a criminal offense or not. At present, there is no clear legal basis on internal investigation. There are substance theory and formality theory in the differentiation of internal investigation and investigation. The substance theory is more appropriate from the perspectives of; preventing the deprivation or unjust limitation of defense tights and other rights warranted in the Constitution and Criminal Procedure Code by masking the investigation as an internal investigation and warranting the human right of the person under internal investigation. The allowance scope of internal investigation would be the basic information collecting activities from the rumors, news, broadcasting and other information source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criminal charge or not. However, unnecessary surveillance and following the person under internal investigation under the pretext of information collection should not be abused. For example, various fact inquiries on the official documents; such as personal detail, address of residence, movement record of resident registration, family status of person under internal investigation and his/her family members, ownership of real estate and subsequent changes by individual, individual immigration detail and issuance record of passport/visa can be done as basic investigations of surrounding during internal investigation. Regarding the internal investigation procedure, it is possible to investigate a testifier or a person under internal investigation: however, the person under internal investigation should not be forcibly taken under the pretext of voluntary accompaniment, and investigation method on a suspect should not he used. It would be also possible to perform limited seizure/search of an asset, confirm the fact of communication, limit the communication, inquire the immigration record, prohibit the exiting from the country, investigate the financial transactions and track the bank account; however, they should be limited as far as possible. Regarding the legal contro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rnal legal control system in the investigative agency to protect the human right of the person under internal investigation. Controls by the inspection conducted by the National Assembly, inspection by the exercise of investigation right on state administration and media are also required. The legal control by the Court is also emphasized. If the internal investigation by police is actually an investigation under the pretext of internal investigation, the investigation supervision right of prosecutor should be exercised. The necessity of legal control on the internal investigation by prosecutory authority is more demanding; because such internal investigations attract more attention of society and the person under internal investigation is in the leading class of society. A clear legal basis on internal investigation in the Criminal Procedure Code should be also established.

      • KCI우수등재

        실무연구(實務硏究) : 형사조정제도에 관한 연구

        조광훈 ( Gwang Hoon Cho ) 법조협회 2008 法曹 Vol.57 No.5

        형사조정제도는 사기·횡령·배임 등 재산범죄의 고소사건과 소년·의료·명예훼손 등의 형사사건에 대하여 피해자와 가해자, 민간단체가 참여하여 분쟁을 원만히 해결하는 제도이다. 형사조정제도는 1960년대 미국의 필라델피아에 기원을 두고 우리나라는 2007년 6월부터 본격 시행되고 있다. 형사조정제도는 형사사법절차에 사적자치원칙의 부분적인 접목으로 피해자에게 신속한 피해를 회복시켜 주고 가해자에게는 낙인효과를 방지하여 재사회화를 촉진시키고, 지역사회구성원들의 재통합을 강조한다. 형사조정제도의 기본이념은 가해자, 피해자, 지역사회의 자율적 참여로 형사 분쟁을 스스로 해결한다는 점에서 전통적 형사사법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함을 추구한다. 그리하여 피해 회복적 형사사법모델, 대체적 분쟁해결절차와 같은 이념적 배경이나 유사한 구조를 취한다. 형사조정제도의 순기능은 피해자에 대한 신속한 피해회복 기능, 가해자에 대한 인권보장기능, 지역사회구성원들의 원활한 재통합 기능, 다이버젼의 기능, 사적자치원칙에 의한 자율적 해결기능 강화, 수사기관의 수사역량의 집중과 강화시키는 기능이 있다. 역기능으로는 민사사건의 형사사건화 경향의 심화, 실체적 진실발견의 약화우려, 유전무죄 무전유죄의 심화우려, 신속한 재판과 재판을 받을 권리의 침해우려, 형사사법비용의 증가우려, 국가형벌권의 기능의 약화우려 등이 있다. 형사조정제도의 올바른 운용과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형사조정제도에 관한 법적 근거의 마련, 경찰단계의 형사조정제도의 활성화, 형사조정위원의 엄정한 선정과 공정성·객관성·중립성 확보, 형사조정결정문에 대한 집행권원 효력부여, 민사사건의 형사사건화의 경향의 심화에 대한 대책마련, 형사조정제도에 대한 수사기관의 인식 전환, 수사기관의 엄정한 국가형벌권의 확보 등이 요구된다. 형사조정제도는 민사다툼의 성격이 짙은 재산범죄에서 사적 분쟁은 사적 해결의 원칙이라는 구조 속에서 가해자와 피해자의 화해로 형사 분쟁을 자율적으로 원만히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올바른 운용과 활성화가 이루어진다면 제도의 존재의미는 더욱 커지게 된다.

      • KCI등재

        대상청구권의 해석상 인정에 따른 문제점의 검토

        조광훈 ( Gwang Hoon Cho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法學硏究 Vol.21 No.4

        The claim right of vicarious compensation is the right of a creditor claiming to a debtor to assign the gain acquired by the debtor, which had been caused by the default in payment or other equivalent causes in the creditor-debtor relation between the parties. However, there is no provision on the claim right of vicarious compensation in our Civil Code. Nevertheless, the majority literature are acknowledging the claim right of vicarious compensation for a creditor based on the “principle of equitability” or “economic fairness”. The precedents also acknowledge the claim right of vicarious compensation in many cases on the reason that there is no reason to deny the right in its interpretation. However, the acknowledgement of claim right of vicarious compensation by interpretation, which does not have proper provision in our Civil Code, makes the balanced interpretation difficult and brings about substantial conflicts with the subjects in our Civil Code such as damage compensation, unjust gain, infringe on third party receivable, office management (“negotiorum gestio”) and contract termination right. All theories that serve as the bases for the acknowledgement of claim right of vicarious compensation have issues of their own. The reason is that the claim right of vicarious compensation in the German Civil Code had been accepted in Korea without criticism even though it could have been sufficiently resolved by existing provisions in our Civil Code. The biggest difficulty is that it is impossible to have a balanced interpretation with Article 537 of Civil Code. When contract parties get into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ignoring the legal effect which had been the purpose of contract performance, the unilateral possession of gain by vicarious compensation by the creditor is against the “principle of equitability”, which is the purpose of the claim right of vicarious compensation. Especially, it is very unfair if a creditor would unilaterally extend the creditor-debtor relation in order to possess the gain by vicarious compensation when the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had been occurred without fault of any party in a bilateral contract. A contract meets the purposes of the contract parties in a fair manner when the initiation, continuation and termination of the contract would be done by agreement between the contract parties. It is not a fair realization of creditor-debtor relation if a creditor would unilaterally extend the creditor-debtor relation and occupy advantageous posi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resolve the claim right of vicarious compensation by faithfully applying the existing provisions in our Civil Code such as the compensatory damage claim, the unjust gain and risk taking; rather than trying to forcefully adjust the legal relation between the parties by unnaturally acknowledging the claim right of vicarious compensation by interpretation without a solid provision in the Civil Code. If the claim right of vicarious compensation is required to be acknowledged, it is recommended to resolve it by legislation by providing with a legal provision so that the legal confusion would be avoided and the fairness would be secured in the creditor-debtor relation between the par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