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FDC 모델을 이용한 새만금 담수호 수리해석

        정희영 ( Heeyoung Jeong ),이흥수 ( Heungsoo Lee ),류인구 ( Ingu Ryu ),정세웅 ( Sewoong Chung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2006년 4월 21일에 국내 최대의 간척사업이자 세계 최장인 새만금 방조제(33 km)의 최종 체절이 완료되면서, 새만금사업은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게 되었다. 그러나, 새만금사업의 성공을 좌우할 수 있는 담수호의 수질목표 달성과 효과적 관리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과제로 남아 있다. 방조제 완공 후 새만금호 내부 수역은 전과는 완전히 다른 수리 환경 변화가 예상되므로, 새만금호의 최적 수질관리 대안 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수치모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범용 수리 및 수질 해석모델인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를 적용하여 모델의 적용성을 평가하고, 신시갑문에서 해수유통 여부에 따른 추적자 수치 모의를 통하여 오염물질의 확산과 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지형자료는 한국농어촌공사 새만금사업단에서 2008년 새만금호를 대상으로 측량한 수치 지도를 이용하여 SMS 10.0 프로그램으로 격자를 구성하였다. 총 활성화 된 Cell의 개수는 1,593개이고, 수층은 3개의 Layer로 나누었으며, 수평방향으로는 직교곡선 좌표계, 수직방향으로는 시그마 좌표계를 사용하였다. 지형자료의 적합성 판별을 위해 모델에서 계산된 저수지 수위별 저수용량과 실측자료를 비교한 결과, AME(Absolute Mean Error)와 RMSE(Root Mean Square Error)는 각각 15.68×10<sup>6</sup> ㎥, 19.08×10<sup>6</sup> ㎥으로 총 저수용량에서 2.03%의 오차를 보였고 R<sup>2</sup>는 0.999로 나타났다. 유입유량은WWASS(Watershed Water balance And Streamflow Simulation)모형을 이용하여 만경대교와 동진대교를 대상으로 산정한 일 유입량 자료를 사용하였다. 방류량은 유입량과 내측 수위자료로부터 산정한 저수용량을 이용하여 저류함수식으로 산정하였다. 물수지의 신뢰성 확인을 위해 신시 갑문 내측에서의 실측수위와 모의수위를 비교한 결과 AME와 RMSE는 각각 0.249 m, 0.345 m로 나타나 모델이 실측수위를 적절히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새만금호 내 각 지점별 수온 실측치와 모의치를 시계열로 비교한 결과, 비교적 신뢰할만한 결과를 보였다. 추적자(보존성물질) 모의 결과 1일부터 시작하여 145일 정도에 호내 전체적으로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담수호일 경우가 신시배수 갑문을 개방하여 해수 유통했을 경우보다 Dye 농도가 높게 모의되어 어느 정도 해수유통이 오염물질 확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동진수역에서는 신시 갑문의 개방 여부에 따른 추적자 농도의 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신시 갑문의 해수 유통이 동진수역까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기지국용 Cross Post-Distortion 평형 선형 전력 증폭기에 관한 연구

        최흥재(Heungjae Choi),정희영(Heeyoung Jeong),정용채(Yongchae Jeong),김철동(Chul Dong Kim) 한국전자파학회 2007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8 No.11

        본 논문에서는 feedforward와 post-distortion 기법을 이용하여 평형 증폭기 내에서 발생하는 혼변조 왜곡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왜곡 상쇄 메커니즘인 cross post-distortion 선형화 기법을 제안한다. 출력 동적 영역과 대역폭 측면에서 제안하는 선형화 방식은 기존의 feedforward 방식에 뒤지지 않는 성능을 가지고 있으면서 상대 적으로 높은 효율을 제공한다. 이론적 뒷받침을 위해 제안하는 시스템과 feedforward 방식의 전력 증폭기와 오차 증폭기의 전력 용량을 비교 분석하였고, IMT-2000 대역에서 실제 구현을 통하여 이를 실험적으로 뒷받침하였다. 최대 출력 전력 240 W의 기지국용 상용 대전력 증폭기에 적용했을 때,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4FA 신호에 대하여 평균 출력 전력 40 ㏈m에서 약 18.6 ㏈의 개선 효과를 얻었다. 제작된 전력 증폭기는 WCDMA 신호 기준으로 feedforward 방식에 비해 약 2 % 개선된 효율을 보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distortion cancellation mechanism for a balanced power amplifier structure using the carrier cancellation loop of a feedforward and post-distortion technique. The proposed cross post-distortion balanced linear amplifier can reduce nonlinear components as much as the conventional feedforward amplifier through the output dynamic range and broad bandwidth. Also the proposed system provides higher efficiency than the feedforward. The capacities of power amplifier and error power amplifier in the proposed system a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feedforward amplifier. Also the operation mechanisms of the three kind loops are explained. The proposed cross post-distortion balanced linear power amplifier is implemented at the IMT-2000(f?=2.14 ㎓) band. With the commercial high power amplifiers of total power of 240 W peak envelope power for base-station application, the 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measurement with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4FA signal shows 18.6 ㏈ improvement at an average output power of 40 ㏈m. The efficiency of fabricated amplifier improves about 2 % than the conventional feedforward amplifier.

      • 새만금호 유입하천의 수질과 유사 특성 (2008년)

        이흥수 ( Heungsoo Lee ),조영권 ( Youngkweon Cho ),류인구 ( Ingu Ryu ),정희영 ( Heeyoung Jeong ),정세웅 ( Sewoong Chung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새만금호 체절 이후 예상되는 유입 유사의 장기적인 퇴적변화와 관리대책 수립을 위해 하천 유입수의 수질과 유사 특성을 조사 중이며, 본 논문은 1차년인 2008년도 실험결과에 해당한다. 새만금호 내로 유입되는 부유사의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만경강의 대천지점과 동진강의 신태인지점에서 강우시 1회(‘08년 8월 17-18일), 비강우시 3회(’08년 8월 5일, 10월 10일, 11월 10일) 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조사지점의 단면을 등간격(좌안, 중앙, 우안)으로 나누어서 부유사 채취기(D-74)와 하이드로채수기를 이용하여 시료를 대표성 있게 채취하였고, 수온, DO, pH, 전기전도도, 염도 및 탁도는 다항목 수질자동측정기인 YSI 6600 meter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측정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실험실에서 SS, VSS, CODMn, T-N, T-P 등의 항목을 수질오염공정시험법에 준하여 즉시 분석하였다. 비강우시 조사결과, 만경강과 동진강에서 계절적 영향이 지배적인 수온의 범위(평균)는 각각 15.0~30.9℃(22.4℃), 14.4~26.4℃(20.1℃)로 만경강에서 평균 2.3℃ 높았고, DO의 평균값(범위)은 각각 8.4 mg/L(7.6~9.3 mg/L), 10.1 mg/L(8.3~12.8 mg/L)로 동진강에서 평균 1.7 mg/L 높았다. 만경강과 동진강에서 pH의 평균값은 각각 7.5와 7.3으로 차이가 미미하였고, 탁도(SS 농도)의 평균값은 각각 3.5 NTU(7.7 mg/L) 및 18.6 NTU(20.6 mg/L)로 동진강에서 높았다. 만경강과 동진강에서 수중에 용존되어 있는 이온들의 총량을 나타내는 전기전도도의 평균값은 각각 1,049.3 μS/cm, 202.8 μS/cm로 만경강이 동진강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 5배정도 높았다. 이는 염도의 평균값이 각각 0.5 psu(practical salinity unit)와 0.1 psu로 만경강이 동진강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 5배정도 높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유기물 농도의 간접지표인 COD를 평균값으로 비교하였을 경우, 만경강(12.6 mg/L)이 동진강(5.4 mg/L)에 비해 상대적으로 2.3배 높았다. 또한 영양염류인 T-N과 T-P의 농도도 만경강이 동진강에 비해 3배 높았고, 특히 만경강과 동진강에서 T-P중 PO4-P가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80.9%, 24.0%로 만경강은 무기인, 동진강은 유기인의 함량이 풍부하였다. 만경강에서 용존상 무기인 비율이 높은 것은 전주, 익산에서 유입하는 하수처리 방류수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2001년 정부종합대책에서 제시된 침전지 등 만경수역의 유입부 수질관리 대책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판단된다. 강우시 조사결과, 만경강에서 유기물과 영양염류의 농도는 평균 2~3배 급감하였다. 동진강의 경우, 탁도와 SS(VSS) 농도의 평균값은 각각 77.6 NTU, 154.5 mg/L(16.2mg/L)로, SS가 높을수록 무기물의 함량이 많았다. 또한, 유기물과 영양염류의 농도는 평균 1.2~1.6배 증가하였다. 2008년 홍수기 동안 강우량이 적어 다양한 유량 조건에서 부유사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지 못하였으나, 2009년도의 다양한 유량 조건에서 부유사의 이화학적 특성자료를 분석하여 신뢰도를 높일 계획이다.

      • 새만금호 유입 유사량의 조사 분석

        김형산 ( Hyungsan Kim ),조영권 ( Youngkweon Cho ),황주하 ( Juha Hwang ),정희영 ( Heeyoung Jeong ),정세웅 ( Sewoong Chung ),맹승진 ( Seungjin Maeng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호의 유사퇴적량을 산정하기 위해 만경강의 대천지점과 동진강의 신태인지점에서 유량과 유사량을 측정하여 유량-총유사량 관계곡선식을 산정하였다. 총유사량은 수정아인슈타인 식에 의해 산정하였고 만경강의 대천지점과 동진강의 신태인지점의 일유출량은 DIROM 모형에 의해 과거 14년(1994∼2007년)간 모의하였으며, 이를 본 연구에서 산정된 유량-총유사량 관계곡선에 입력하여 연 유입유사량을 산정하였다. 대천지점의 14년 평균 유입유사량은 28,590(ton/yr)로 산정되었으며, 신태인지점은 23,616.1(ton/yr)로 나타났다. 새만금호 유역의 총 유입유사량을 산정하기 위해 만경강과 동진강 유역은 각각 대천과 신태인 지점의 유입 유사량을 면적비를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새만금호 지구로 유입되는 전체 유사량은 만경강과 동진강 유역의 유입유사량을 합산하여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새만금호 지구의 유입유사량은 연평균 115,122(ton/yr)으로 추정되었는데, 이 중 만경강 유역에서 52,841(ton/yr)과 동진강 유역에서 111,502(ton/yr)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새만금호의 연 평균 비유사량은 63(ton/㎢/yr)로 추정되었다. 동진강이 만경강보다 비유사량이 더 큰 이유로는 만경강의 경우 전주, 익산 등과 같은 도시 및 공단지역이 상대적으로 넓게 분포하여 유사발생량 자체가 적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연구을 통해 만경강 및 동진강의 비유사량을 도출하였으나, 2008년도에는 홍수기 유량 및 유사량 실측자료가 전무하여 2009년도에 보다 많은 실측자료를 활용한다면 2008년도 보다 신빙성 있는 새만금 유역내로 유입하는 비유사량을 산정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