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의 생태계 서비스 증진을 위한 보호 관리 방안

        이은혜 ( Eun Hye Lee ),정흥락 ( Heung Lak Jeong ),오충현 ( Choong 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2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은 2006년 4월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일대 지역은 지정학적인 이유와 더불어 군사적인 이유로 철책선을 통해 민간인의 접근이 통제되어 온 곳(민간인 통제구역 ; Civilian Controlled Area)으로 산업화에도 불구하고 개발압력이 낮은 지역이어서 생태계교란이 최소화되어 생태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는지역이다. 한강하구는 넓은 기수역, 생물서식처, 평화의 상징적 공간 등으로서의 의미를 가지며 생태적, 인문 사회적, 높은 경제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지역으로 다양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한강하구는 서울과 인접해있고, 파주, 김포, 일산 등 개발이 활발한 지역에 근접해있어 개발압력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으로 이로 인한 습지면적의 감소, 습지 훼손, 철새 도래 개체수 감소 등 다양한문제의 발생으로 생태 및 환경 등의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한강하구 훼손위협 및 관리에 대한 대응책 마련하고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에서 제공되는 생태계 서비스 증진을 위하여 한강하구의 생태, 인문 사회적 현황 조사를 바탕으로 보전 관리 방안을 마련하였다. 한강하구의 공급서비스 증진을 위해서는 어족자원의 확보와 어로 생산성 증대, 습지 담수 기능 향상 등이, 조절서비스 증진을 위해서는 훼손된 습지의 건강성 회복과 환경개선이 필요하며, 지원서비스의 증진을 위해서는 습지에서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을위한 서식지 보전 및 관리 강화 및 생물다양성관리계약 등을 통한 생물다양성 증진이, 문화서비스 증진을 위해서는 한강하구 탐방시설, 방문자센터 등의 거점 관리시설 구축과 한강하구 습지 생태탐방을 위한 생태관광과 습지 보전 및 체험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조종천 상류 인접지역의 식생

        이호준 ( Ho Joon Lee ),이재석 ( Jae Seok Lee ),전영문 ( Young Moon Chun ),정흥락 ( Heung Lak Jeong ),강재구 ( Jae Gu Kang ),방제용 ( Je Yong Bang ),류병혁 ( Byung Hyuk Yu )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3 理學論集 Vol.18 No.-

        본 조사는 환경처의 자연생태계 보전구역 지정계획의 일부로서 반딧불 서식지로 알려져 있는 조종천 상류 집수역 주변의 삼림식생의 종조성과 군락특성을 밝힌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지역 내의 유관속 식물은 94과 418종이였으며, 양치식물계수(Pte-Q)는 l.27, 도시화지수(UI)는 14.55로 나타나 인간 간섭에 의한 자연파괴가 우려된다. 2) 조사지역의 식물군락은 종조성표와 중요치에 따라 신갈나무 군락, 고로쇠나무 군락, 소나무 군락, 잣나무 식재림, 일본잎갈나무 식재림 등 5개 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계층구조가 잘 발달되어 있었다. 3) 본 조사지역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삼림군락인 신갈나무는 표고 500m 이상에 주로 분포하며, 중요치는 186.1, 출현종(20m×20m, 방형구)은 70종, 교목층과 아교목층의 식피율은 각각 90%, 50%로 잘 보존된 상태였다. 4) 삼림식생의 토양 pH는 5.70~6.06이었으며, 특히 신갈나무림의 litter층과 A층의 심도가 38cm, B층 112cm로 성숙한 토양임을 알 수 있다. 5) 소나무림은 표고 500m 이상에서는 분포하지 않았으며, 해발 450m 이하의 소나무림, 잣나무 식재림, 일본잎갈나무 식재림은 인간 간섭으로 언해 종조성과 계층구조의 발달이 빈약하며 중요치도 낮게 나타났다. 6) 녹지자연도의 등급별 분포는 등급 2가 3.8%, 조림군락 16.3%, 초기 2차렴 2.5%, 자연림 77.5%였으며, 평균 녹지자연도는 8.2였다. As part of a program for the designation of natural ecosystem preserves worked out by the Office of Environment,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991 through October, 1992 in order to grasp a clear of the characteristic and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forest vegetation around the upper reaches of Chojong Stream(southeast slope of Mt. Ch`onggye and southwest slope of Mt. Myongji) which was known as the habitat of fireflies. 1) The vascular plant of the stud y area consisted of 418 species and 94 families, and the Coefficient of the Pteridophytes and Urbanization Index which show the destruction degree of natural vegetation are 1.27 and 14.55, respectively. 2) The surveyed area was classified into five plant communities of Quercus mongolica, Acer mono,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and Larix leptolepis. It was well developed in vegetation profile. 3) Quercus mongolica which formed a major forest community was distributed in an area of more than 500m above the sea level. The number of species appeared(20m×20m) in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as 70 species and their Importance Value was 186.1. The vegetation cover of tree layer and subtree layer was 90% and 50%, respectively, which show a well preserved condition. 4) Soil pH measured under Quercus mongolica forest was from 5.70 to 6.06 and the depth of litter layer and A layers was 38cm and B layer 112cm, which indicate mature soil condition. 5) Pinus densiflora community could not be observed at all in area of more than 500m above the sea level. Pinus densi/lora, Pinus koraiensis and Larix leptolepis communities(distributed in area of less than 400m above the sea level) showed poor formation of species and low Importance Value due to human interferences. 6) The distribution of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DGN) was 3.8% in the 2nd grade, 16.3% in the afforestation, 2.5% in the secondary forest and 77.5% in the natural forest and the average value of DGN was 8.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