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둔상 이후 소아에서 발생한 급성 슬개골 골수염 - 증례 보고 -

        정회정 ( Hoe Jeong Chung ),김두섭 ( Doo Sup Kim ),염준섭 ( Seop Yeom ),장영환 ( Young Hwan Jang ) 대한골절학회 2016 대한골절학회지 Vol.29 No.4

        소아에서 발생하는 슬개골 골수염은 흔치 않은 질환이다. 게다가 비특징적이며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이는 골수염은 정확한 진단을 내리지 못하고 진단이 지연되기도 한다. 그리고 종종 슬개골 활액막염이나 슬관절의 화농성 관절염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기 진단과 초기에 적절한 치료는 그것이 만성 골수염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는 데 중요하다. 저자들은 소아에서 둔상을 당한 후 슬개골에 발생한 급성 골수염을 초기 진단을 정확히 하지 못하고 치료한 케이스가 있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Osteomyelitis of the patella is a very uncommon condition that occurs mostly in the pediatric population. In addition to its rarity, nonspecific and variable clinical presentations usually lead to postponement in making the correct diagnosis. Moreover, it is often missed as prepatellar bursitis or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Nonetheless making early diagnosis and initiating prompt treatment is most important to preventing this condition from becoming chronic. In this case report, the authors encountered this rare condition of the patella in a child that was first misdiagnosed with pyogenic arthritis or prepatellar bursitis of the knee. The delay in making the diagnosis led to intractable progression of the disease, and sequestrectomy was required to stabilize the condition.

      • KCI등재

        흉쇄관절 전방 탈구에서 세 가지 재건술식에 따른 전방전위 비교

        김두섭(Doo-Sup Kim),정회정(Hoe-Jeong Chung),박일환(Il-Hwan Park),신지수(Ji-Su Shin),이준표(Jun-Pyo Lee),장영환(Young-Hwan J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2

        목적: 흉쇄관절의 안정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방구조물 재건술 간의 생역학 및 기능적 비교 분석은 많지 않다. 이에 저자는 사체에서 대표적인 세 가지 재건술 시행 후 흉쇄관절의 전방전위를 측정하여, 기능적인 면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4개의 흉쇄관절 사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햄스트링건 팔자 재건술(Group 1), 쇄골하근건 재건술(Group 2), 햄스트링건 걸이 재건술(Group 3)을 시행한 후, 그룹 간 전방전위를 위팔어깨관절을 0도에서 90도까지 10도 단위로 증가시키며 측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세 가지 재건술식 모두 흉골 대비 쇄골의 상승이 유의하게 관찰되었다. Group 1 평균 1.68±0.25 mm, Group 2 평균 1.81±0.23 mm, Gorup 3 평균 2.8±0.58 mm의 전방전위가 관찰되었다(Group 1: p=0.004, Group 2: p=0.001, Group 3: p=0.002). Group 1은 60도부터, Group 2는 50도부터, Group 3은 20도부터 유의한 전방상승이 관찰되었다. 결론: 대표적인 세 가지의 흉쇄관절 재건술을 사체 실험에서 평가한 바 Group 1이 정상 흉쇄관절의 전방전위와 가장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Currently, biomechanics and function comparison of the reconstruction of structures play important roles in the sternoclavicular joint stability is not much. In order to confirm the improvement in the functional aspects of the sternoclavicular joint after the three most widely used reconstruction methods, we measured the degree of anterior translation of the sternoclavicular joint after the operation using cadavers.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24 sternoclavicular joints in the cadavers. First, we measured the anterior translation of the clavicle, which was compared with the sternum in 24 normal sternoclavicular joints. We divided the cadaver into three groups and performed each of the three current operations: figure of eight hamastring tendon reconstruction operation (Group 1), subclavius tendon reconstruction operation (Group 2), and hamstring tendon reconstruction operation (Group 3); then we compared the degree of anterior translation in each group. We did the measurement by adding 10 degrees to the glenohumeral joint each time from 0 degrees to 90 degrees. Results: In the normal joint, the clavicle was significantly ascended compared with the sternum. The Group 1 had a 1.68±0.25 mm anterior translation while the Group 2 had 1.81±0.23 mm and Group 3 had 2.8±0.58 mm (Group 1: p=0.004, Group 2: p=0.001, Group 3: p=0.002). The Group 1 showed a low ascending rate of up to 60 degrees, whic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at of the normal joint. However, after 60 degrees, the ascending rat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ase of Group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normal joint of up to 50 degrees. Group 3 showed significant anterior ascending from 20 degree. Conclusion: Through measuring the anterior translation of subjects that underwent three representative sternoclavicular joint reconstructions, we found that the result from the Group 1 was most comparable normal translation of the sternoclavicular jo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