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원 사상이 제자 정이에게 미친 영향

        정환희 동양고전학회 2021 東洋古典硏究 Vol.- No.82

        도통적 관점에 따르면 정이는 주돈이를 사사했다. 이러한 관점은 학자들로 하여금 주돈이와 정이의 사승관계 여부에 관해 초점을 갖게 하면서 정이가 진실로 스승으로 모셨던 호원을 간과한다. 1056년 정이는 낙양의 태학에서 호원을 만나 스승으로 모셨다. 본 논문은 정이의 스승인 호원(胡瑗)의 사상을 논한 뒤, 정이의 주요 저작이라 할 수 있는 「안자소호하학론(顏子所好何學論)」과 『이천역전(程氏易傳)』에서 호원 학문의 영향을 논한다. 호원은 본성은 선하고 감정은 악의 내원이라 규정하였는데, 정이가 청년시기 작성한 「호학론」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또한 호원은 『주역구의(周易口義)』에서 역을 변역(變易)의 의미로만 간주하고 유가적인 입장에서 『주역』을 해석한다. 이 점 역시 정이의 『이천역전』에 반영되어 있다. 이러한 관찰을 근거로 하여 필자는 정이의 사상 형성에 있어 그 누구보다도 호원의 역할이 상당했다고 결론 내린다.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n daotong(道統, transmission of Dao), Chengyi did sit at Zhoudunyi's feet. This description brings the focus to whether or not they had a master-pupi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nd also leads to the overlook of Chengyi’s true master, Huyuan. In 1056, Chengyi met Huyuan at Taixue(Imperial University) in Luoyang and enlisted him as a master. This paper discusses the thought of Huyuan, and the influence of Huyuan's scholarship on the main works of Chengyi. Huyuan recognizes that human nature is good and emotions are the source of badness, and it is also reflected in Chengyi's the Yanzisuohaohexuelun. Huyuan emphasizes Yi(易) as a meaning of change(變易) and interprets the Yijing from the Confucian perspective. These Huyuan’s perspectives are also reflected in Chengyi's the Yichuanyizhuan. From this point of view, I conclude that Huyuan's academic role is more significant than anyone else in shaping Chengyi's thought.

      • KCI등재

        만물일체와 리일분수 -「서명」을 바라보는 두 시선과 그 공부론

        정환희 한국교육사상학회 2021 敎育思想硏究 Vol.35 No.3

        Zhangzai`s Ximing argues that all beings in the universe are born in the same origin, heaven and earth, so that we all have a moral obligation to others. The universal meaning of this Ximing was praised by Chenghao who defined ren(仁) as Wanwuyiti(all things as one body, 萬物一體). Yangming also incorporated the concept of Wanwuyiti into his ideas. However Chengyi and Zhuxi emphasized both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while proposing the concept of Liyifenshu(one principle and many manifestation, 理一分殊). These two views of ximing also align with their thinkerʼs each theory of education. Chenghao and Yangming seeks to find a state where all things are united by intuition of their inner self. On other hand, Chengyi and Zhuxi emphasized a daily study(日用工夫) and Gewu(格物, investigation of things) that proposes to investigate principles of individual things and ultimately realize a universal principle penetrating the individual principles. Originally, the keyword to explain Zhangzai`s Ximing, Wanwuyiti and Liyifenshu implies the major ideological divergence of Confucianism, and later became the terms representing the school of principle(理學) and mind(心學). 장재의 「서명(西銘)」은 우주의 모든 존재가 건곤에서 근거하였으며, 우리 모두가 타자에 대해 도덕적 의무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서명」에 대해 정호는 만물일체론적 관점을 제기하였으며, 양명 역시 만물일체 개념을 자신의 사상에 취입시켰다. 이에 반해 정이와 주희는 리일분수 개념을 통해 보편적 원리와 차등적 질서 모두가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서명」을 보는 시각으로서 만물일체와 리일분수는 그들의 공부론과도 조응한다. 정호나 양명은 자기 내면에 직입해 만물일체적 경지를 구하고자 한다. 즉 자기 자신의 본래성을 직관하여 이원적 분별을 버리고자 한다. 이에 반해 정이와 주희는 개별적 사물・사태의 이치를 학습하는 것으로부터 배움을 착수할 것을 강조하는데, 그것의 대표적인 사례가 쇄소응대나 격물 공부를 강조하는 것이다. 본래 장재 「서명」을 해명하는 키워드였던 만물일체와 리일분수는 유학의 주요한 사상적 분기를 노정하므로, 심학과 리학을 대표하는 용어가 되었다.

      • KCI등재

        소식과 정이의 마음공부론 비교 - 소식의 경(敬) 공부론 비판을 단초로 하여

        정환희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인문학연구 Vol.32 No.-

        본 논문은 소식이 정이의 경 공부론을 비판한 것을 단초로 하여, 소식과 정이의 마음공부론을 상호 비교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유와 무의 범주를 통해 촉학과 낙학의 공부론적 특징을 근원적으로 살펴볼 것을 제안한다. 소식은 감정과 의도란 현상적 자아를 소거해나가야 한다는 ‘없음’의 논리로 나아가고 정이는 자아의 주재를 통해 삿됨을 대체해나가야 한다는 ‘있음’의 논리로 나아간다. 마찬가지로 소식이 세간의 예법을 넘어서는 탈세간주의의 방향으로 나아간다면, 정이는 엄숙주의와 예법주의로 교육의 방향을 정립한다. 이러한 점은 인간 및 도덕수양에 관한 근원적 사유노선의 차이를 노정하므로, 소식이 정이의 경 공부론을 비판한 것은 필연적인 것이었다.

      • KCI등재

        소강절의 심성론과 수양론 연구

        정환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8 선도문화 Vol.24 No.-

        본 연구는 소강절의 심성수양론을 분석·종합·평가하고자 한다. 그는 본성을 리법적으로 이해하고, 마음은 본래 허한 것이라 본다. 감정을본성과 대비되는 것으로 여겨 악의 내원으로 삼는다. 그는 사사로운 감정과 사려의 발출을 지양하는 무위의 수양법을 제시한다. 각 사물에 내재된 본연성을 존중하기 위해 사물의 이치에 대한 학습[觀物]을 강조한다. 이러한 소강절의 관점은 정주리학의 심성수양론에서 반복되므로, 정주리학의 형성과정에서 소강절의 영향은 상당한 것임을 추론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sis, synthesis, assess a ShaoYong(1011~1077)’s theory of xinxing and cultivation. Shaoyong understands xinxing metaphysically, regards emotion as contrasting with xinxing and makes it the source of badness. To preserve a degradation of xinxing, he suggests a method of restraint that limits the unwanted emotional and thoughtful output. This method respects the a inherent naturalness in each object, so it is associated with learning about the principle of things. Since his viewpoint is repeated in the theory of Chengzhu school, his influence on confucianism intellectual history was significant.

      • KCI등재

        통찰: 활연관통(豁然貫通)의 현대적 해석

        정환희 동양고전학회 2021 東洋古典硏究 Vol.- No.84

        정이와 주희는 『大學』의 격물치지 관념을 자신의 사유구조에 맞게 재해석하였고, 이때 활연관통 개념이 도입된다. 개별 사물의 이치에 대한 탐구를 누적하다보면 어느 시점에 개별적인 이치들을 보편적인 관점에서 종합할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활연관통이다. 활연관통의 순간에 “온갖 사물의 표리정조를 알 수 있고 마음의 전체대용이 밝아진다.” 그러나 주희의 이러한 활연관통 개념은 리일분수라는 형이상학을 전제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필자는 현대 형태주의자들이 강조한 통찰(insight) 개념을 경유하여, 활연관통 개념을 현대적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쾰러에 따르면 통찰은 문제 상황과 그 해결방안에 대한 관계를 새롭게 인식하는 것이다. 개개별의 지식들을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재조직할 때, 문제해결을 위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통찰의 개념을 경유하여 활연관통의 특징들을 논의하였다. 우선 활연관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사례나 이치를 일정 수준 이상 학습해야 하므로, 주희는 격물 공부를 선행할 것을 주장한다. 이어 활연관통은 창발적인 깨달음으로서, 천하사물에 대한 인식이 재조직화될 때 이루어진다. 활연관통은 나와 타자의 관계성을 확보하여 고립되고 억압된 나를 해방시킴으로, 개인은 긍정적인 감정(즐거움)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통찰 개념을 경유한 활연관통의 해석은 주자학을 보다 현대적인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hengyi and Zhuxi reinterpreted the concept of gewuzhizhi(格物致知) on Daxue to fit their own intellectual structure, when the concept of huoranguantong(豁然貫通) was introduced. Huoranguantong is a spiritual enlightenment in which individual principles are synthesized into one principle after countless investigations of things have been repeated. “There will be a thorough comprehension of all the multitude of things, external or internal, fine or coarse, and every exercise of the mind will be marked by complete enlightenment.” However, this Zhuxi’s concept is premised on the metaphysics of liyifenshu. Therefore, in this paper, I want to interpret the concept of huoranguantong in a contemporary perspective via the concept of insight emphasized by Gestalt theorists. According to Koehler, insight is a renewed recogni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problematic situation and its solution. Reorganizing individual knowledges in different ways would open a new psychological insight for problem solving. Through this concept of insight, I will discuss the features of huoranguantong. First of all, In order to reach huoranguantong, it is necessary to learn about individual cases first, having Zhuxi insist that gewu should precede. Huoranguantong is an emergent insight, and takes place when the perception of objects in the world is reorganized. Huoranguantong strengthens the relationship between me and the others in the world and helps the escape from isolation and oppression, which allows individuals to have positive emotions. This interpretations have the advantage of understanding huoranguantong from a more contemporary perspective.

      • KCI등재

        예비교사 대상 ‘동양윤리사상’ 교과목의 창의융합형 수업 사례 연구

        정환희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3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는 여러 학문의 접근 방법을 학제적으로 활용할 것을 강조하고있고, 또 여러 윤리적 문제에 대해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갖출 것을 학생들에게 요구한다. 즉 교원양성기관에서도 예비교사들이 창의융합적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필자는2020년 2학기 충북 소재 S대학에서 창의 및 융합형 교수학습전략을 통해 교과목 ‘동양윤리사상’ 을 개선하였다. 창의적 수업을 위해 Smart 기반 학습도구, 자기성찰도구, PBL활동을 활용하였고, 융합형 수업을 위해 동양윤리 영역이 타 학문과 접할 수 있는 학제적 내용요소를 추출하여 교수학습내용에 포함시켰다. 이러한 창의융합수업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 설문 조사를실시하고 Wilcoxon 대응표본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이 결과 예비교사의 창의교육과 융복합수업에 대한 인식 및 창의교육 효능감이 유의미하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생성망 학습과 스케치를 이용한 새로운 로고 제작 방안 연구

        정환희,김갑수,승도 제주대학교 지능소프트웨어 교육연구소 2023 지능정보융합과 미래교육 Vol.2 No.3

        회사의 로고는 회사의 이미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잘 제작된 로고는 지속적으로 회사의 이미지 를 제고하거나 기업의 홍보 및 광고 도구로써 매우 중요한 역할을 부여받는다. 실제로 대부분의 기업이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 회사를 대표하는 브랜드 로고를 만들고 있다. 그러나 전문 기관에 의뢰하여 로고를 제작하는 것은 많은 노력과 비용이 지출된다. 이러한 지출 은 스타트업 기업이나 신규 기업에게 있어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자동으로 새로운 로고 이 미지를 생성하는 방안에 대해 다룬다. 단순히 이미지 생성망을 이용하여 로고를 생성하는 경우 특정 모양이나 기업의 특색이 반영된 로 고가 생성되는 것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스케치를 입력하고 이를 반영한 로고를 생성할 수 있는 AI 기반의 로고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데이터 생성에는 인공지능 생성모델인 GAN을 활용하였다. 기존 의 GAN을 기반으로 스케치 영상을 함께 반영하여 생성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조의 모델을 구성했다. 로고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로 부터 스케치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스케치를 새로운 로고 생성을 위한 데이터 입력으로 활용하여 로고를 생성해준다. GAN 모델의 안 정적인 학습을 위해서 비용함수로는 와서스테인 거리(Wasserstein distance)를 이용했고, 데이터셋은 Large-Logo Dataset의 32x32 크기의 이미지 48000장을 사용하였다. 또한 파이썬 기반의 GUI를 이용해서 쉽게 사용자가 스케치 영상을 제작할 수 있도록 지 원하였다. 실험을 통해 주어진 스케치와 기존의 로고 데이터에 대한 학습 결과를 반영하여 스케치의 특징을 가지면서도 다양한 변화를 갖는 새로운 로고 이미지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 company's logo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elements to identify a company's image at a glance. A well-crafted logo is given a very important role as a company's promotional and advertising tool that continuously enhances the company's image. However, producing a logo through a professional organization requires a lot of effort and expense. In fact, most companies invest a lot of money to create a brand logo that represents the company. However, it is a very big burden for new start-up companies to spend the cost of brand logo production. In order to reduce this burden, this study deals with the method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 new logo image. When a logo is simply generated using an image generating network, it is difficult to expect a logo that reflects a specific shape or company's characteristics to be creat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research proposes an AI-based logo generation method that can create a logo that reflects the sketch which can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For data generation, GAN, an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ion model, was used. Based on the existing GAN, a model of network structure that can be generated by reflecting the sketch image together was constructed. To generate a logo, a sketch is input from the user, and a logo is generated by using the input sketch as data input for creating a new logo. For stable learning of the proposed generation model, Wasserstein distance was used as the cost function, and 48,000 images of 32x32 size of the Large-Logo Dataset were uses as the dataset. In addition, by using a GUI based on Python, users can easily create sketch images. Through extensive experiments, it was confirmed that a new logo image with various changes was generated while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ketch by reflecting the learning results on the existing logo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