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흙의 물 빠짐’과학 활동에서 경험귀납적, 가설연역적 방법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신은수(Eunsoo Shin),정현빈(Jeong Hyun Been),영미(Jung Young Mi) 한국육아지원학회 2015 육아지원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흙의 물 빠짐’ 과학 활동에서 경험귀납적, 가설연역적 방법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저소득층에 속하는 인천시 G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유아 40명(만 4세 20명, 만 5세 20명)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중상류층에 속하는 서울시 B대학 부속유치원의 유아 40명(만 4세 20명, 만 5세 20명) 총 80명의 유아들로 선정하여 유아의 연령,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교수학습 방법에 따라 집단을 구성하였다. 경험귀납적 방법을 적용한 집단은 자유 실험 및 탐색(가설검증), 교사와의 대화(가설설정), 적용(가설적용)의 3단계로 활동을 진행하였으며, 가설연역적 방법을 적용한 집단은 교사와의 대화(가설설정), 자유 실험 및 탐색(가설검증), 적용(가설적용)의 3단계로 활동을 진행하였다.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 평가는 적용(가설적용) 단계에서 유아가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관찰을 통하여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 및 삼원변량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자유 실험 및 탐색을 강조한 경험귀납적 방법이 가설연역적 방법보다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연령과 사회경제적 지위가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pirical-inductive and Hypothetical-deductive Method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The subjects were total of 80 young children consisting of 40 children (20 children of 4-year-olds and 20 children of 5-year-olds) from a kindergarten attached to the G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so called low class areas in Incheon and the other 40 children (20 children of 4-year-olds and 20 children of 5-year-olds) from a kindergarten attached to the B University in Seoul so called mid-high class areas in Seoul. The science activities of ‘soil drainage’ were used to assess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The activities were based on empirical-inductive methods. They are conducted in three phases; 1) free experimentation and exploration, 2) talking with teachers and 3) applicati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were assessed by observation when they were doing the scientific task in the third phase of activities. The observational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three-way repeated ANOVA analysis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depending on young children’s age, their socioeconomic statu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age and their socioeconomic status need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young childre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serve special needs of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 KCI등재

        경험 귀납적 방법과 가설 연역적 방법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물” 과학 활동을 중심으로-

        신은수 ( Eun Soo Shin ),영미 ( Young Mi Jung ),정현빈 ( Hyun Been Jeo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물’과학 활동에서 경험 귀납적 방법과 가설 연역적 방법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 기술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B대학 부속유치원의 유아 40명(만 4세 20명, 만 5세 20명)과 인천광역시 G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유아 40명(만 4세 20명, 만 5세 20명) 총 80명의 유아들로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물에 뜨는 것과 가라앉는 것’ 과학 활동을 구성하여 경험 귀납적 방법을 제시한 집단은 자유 실험 및 탐색(가설검증), 교사와의 대화 (가설설정), 적용(가설적용)의 3단계로, 가설 연역적 방법을 제시한 집단은 교사와의 대화(가설설정), 자유 실험 및 탐색(가설검증), 적용(가설적용)의 3단계로 활동을 진행하였다.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 평가는 적용(가설적용) 단계에서 유아가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관찰을 통하여 이루어 졌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 -검증 및 이원변량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물’ 과학 활동에서 경험 귀납적 집단이 가설 연역적 집단보다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유아의 자유 실험 및 탐색을 통한 경험 귀납적 교수학습 방법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pirical-inductive and Hypothetical-deductive Method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The participants were 80 children including 40 of 4-year-olds and 40 of 5-year-olds from B University kindergarten in Seoul and G Public kindergarten in Incheon.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2 groups consisting of 20 of 4-year-olds and 20 of 5-year-olds respectively. The Empirical-inductive group applied the following steps which were the phase of free experiment and exploration (hypothesis verification), the phase of talking with teachers (hypothesis setting), and the phase of application (hypothesis application). The Hypothetical-deductive group followed the phase of talking with teachers (hypothesis setting), the phase of free experiment and exploration (hypothesis verification), and the phase of application (hypothesis application). Two-way ANOVA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each teaching strategy group’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This study showed, at the phase of application (hypothesis application), that the Empirical-inductive Methods showed the higher scientific process skills than the Hypothetical-deductive Methods and the Empirical-inductive Methods showed the higher problem solving skills than the Hypothetical-deductive Methods. From these results, it was able to be concluded that the Empirical-inductive Methods possessed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 KCI등재

        유아의 사회적 기술,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적 놀이 행동 간의 관계

        신은수 ( Eun Soo Shin ),권미경 ( Mi Kyung Kwon ),정현빈 ( Hyun Been Jeo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기술,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적 놀이 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I 광역시 공립유치원 4기관에 재원하는 만 5세 유아 82명을 연구대상으로 사회적 기술,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대한 교사 평가를 실시하고, 유아의 사회적 놀이를 자유선택활동시간에 관찰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 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사회적 놀이 행동의 하위요인에서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혼자놀이는 자기통제, 대인관계 기술, 언어적 주장과 부적 상관이, 내재적 문제행동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협동놀이는 언어적 주장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학구적 행동은 외현적 문제 행동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적 놀이 행동의 하위요인에서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혼자 놀이는 놀이 상호작용과는 부적 상관, 놀이 단절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협동 놀이는 놀이 상호작용과 정적 상관, 놀이 단절과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학구적 행동은 놀이 방해, 놀이 단절과 모두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비놀이 행동은 놀이 상호작용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기술과 사회적 놀이 행동의 관계에서는 언어적 주장이 혼자놀이를 부적으로, 협동놀이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적 놀이 행동의 관계에서는 놀이 단절이 혼자놀이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으로, 놀이 방해가 학구적 행동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kills, peer play interactions and social play behaviors. The subjects were 82 public kindergarten children in I city. The social skills and peer interactions was rated by their teachers using the SSRS(Social Skills Rating System) of Fantuzzo, Manz, et al. and PIPPS(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of Fantuzzo, Coolahan, et al. Children`s social play behaviors were observed during free play time and coded by criteria of Robinson et al. and Parten. The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by Pearson r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kills and social play behaviors, and between peer play interactions and social play behaviors. Second, verbal assertion was negative factor in predicting solitary play and positive factor in predicting collaborative play. Third, play connection was positive factor in predicting solitary play and play disruption was negative factor in predicting academic behavi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