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 지역축제에 관한 연구경향 분석: 2002년-2014년 사회과학분야 논문을 중심으로

        김미현 ( Mi Hyeon Kim ),정명은 ( Myung Eun Jeong ),태지호 ( Ji Ho Tae ),정헌주 ( Heon Joo Jung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5 地方行政硏究 Vol.29 No.2

        본 연구는 한국 지역축제 연구경향 분석을 통해 지역축제에 대한 해석과 학문적 접근의 다각화를 제안하였다. 2002년부터 2014년까지 지역축제를 연구한 25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학문적 관심의 양적 성장, 지역축제의 의의에 대한 관점과 분석수준, 방법론적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2010년까지는 현황분석 중심의 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이후에는 처방 중심의 연구가 다수 등장하여 현상에 대한 진단과 처방의 학문적 균형이 나타났다. 둘째, 선행연구에서 지역축제가 경제적 기능을 강조하는데 초점을 두었다고 지적한 바와 달리, 지역축제의 경제적 가치창출과 사회적 의미형성이라는 두 가지 의의를 균형있게 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전형적인 연구설계 전략은 특정 1-2개 지역축제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만족도를 설문조사하는 것이었다. 향후에는 분석수준 및 방법론의 다각화, 융합학문적 접근, 실패사례를 통한 학습 등을 수행하여 한국 지역축제의 발전을 추동하는 학문적 연구가 필요하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the study of South Korea’s local festivals and suggests diversification of the ways in which local festivals are interpreted and studied academically. More specifically, it analyzes 252 articles published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between 2002 and 2014, focusing on an overall research pattern, various roles of local festivals, levels of analysis, and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st prevalent purpose of research up until 2010 is to analyze local festivals per se while many works published thereafter stress policy recommendations, showing both diagnosis and prescription with regard to local festivals are presented. Second, unlike previous works on trends in the study of local festivals that find most works emphasize their economic functions, this article finds that papers in social science overall stress both economic value-creation and social meaning-formation of local festivals in well-balanced ways. Third, it also finds that a typical article published in social science employs a survey method to examin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one or two local festivals. It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needs to diversify levels of analysis and research methods, adopt inter-and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and learn from failed cases, which positivel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South Korea’s local festivals.

      • KCI등재

        한국인의 대일본 감정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경험적 분석 : 일본의 군사대국화, 경제협력, 그리고 정체성

        최종호(Jongho Choi),정한울(Han-Wool Jeong),정헌주(Heon Joo Jung)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4 국제관계연구 Vol.19 No.1

        한국에서 반일감정(anti-Japanese sentiment)의 기원과 발전은 복합적이며 다층적인 현상이다. 즉, 한국인에 일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과거 일제 강점기에 대한 역사적 경험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해방 이후 한일 관계의 전개에 따라 대일감정의 정도는 변화하여 왔던 것 역시 사실이다. 최근에는 일본의 우경화와 군사대국화, 독도 영토갈등, 역사교과서 왜곡, 일본군 위안부 배상문제와 같은 갈등적 요인들이 한국인의 대일감정에 부정적의 추진, 한국의 일본 문화 개방과 한류(韓流)를 통한 상호 이해의 확대는 반일감정을 완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논문은 반일감정을 주어진 것(given)으로 가정하지 않고, 역사 인식 이외의 요인들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가정하에, 군사적 요인, 경제적 이해관계, 그리고 폐쇄적 정체성과 개인적 경험이 대일감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경험적 분석 결과 일본의 군사대국 시도를 우려하는 한국인들과 한일 FTA와 같은 경제협력 확대를 반대하는 한국인들은 일본에 대한 감정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폐쇄적 정체성이 클수록 일본에 대해 반감이 높았다. 다만 일본방문 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Anti-Japanese sentiment among South Koreans has been taken as given and fixed due to negative collective memory of Japanese colonial rule. Recently, Japan’s remilitarization, territorial disputes over Dokdo, history textbooks, and “comfort women” controversies have exacerbated negative attitudes toward Japan. In contrast, growing economic interdependence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two countries have mitigated anti-Japanese sentiment. Instead of assuming Korean attitude toward Japan as given, this paper empirically tests how other factors such as security concerns, economic interests, national identity and personal experience play a role in shaping Korean attitude toward Japan. An examination of a 2011 survey conducted by East Asia Institute and Asiatic Research Institute shows that South Koreans who feel threatened by remilitarization of Japan, oppose free trade agreement with Japan, and have strong national identities are more likely to have anti-Japanese sentiment. Personal experience such as visit to Japan, however, is foun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Control variables such as sex, age, education, income, and party affiliation also affect Korean attitude toward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