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경(趙絅)의 한시에 나타난 대청인식과 북벌의지

        정해출 ( Hae Chul Jeong ) 민족어문학회 2012 어문논집 Vol.- No.66

        본고는 龍洲 趙絅(1586-1669)의 대청인식과 북벌의지가 그의 한시에 어떻게 투영되어 나타나고 있는지에 초점을 두고 연구된 논문이다. 주지하듯 조경은 병자호란을 맞아 청과의 화친을 강고하게 거부했던 대표적인 척화파의 한 사람이다. 중원에서는 明과 淸이 교체되는 변화가 일어났는데 이즈음에 조선은 청의 침입을 두 차례나 받고 치욕적인 굴복을 하게 되었다. 그 동안 조선이 야만시한 오랑캐에게 굴복하게 됨으로써 엄청난 문화적, 민족적 자존심의 파괴와 굴욕감을 가질 수밖에 없었는데 이것은 그 어떤 것으로도 보상할 수 없는 치욕으로 간주되었다. 조경은 자신의 세계관과 大義에 어긋난다고 판단되면 과감하게 자리를 던져버리고 떠나곤 했다. 利보다는 義를 선택했던 시대가 필요로 하는 진정한 선비였던 것이다. 조경의 시는 자연에 머무르면서 감회를 읊은 시와 역사적 인물에 대한 회고시, 청나라의 무도함과 雪恥에 대한 대청의식을 읊은 시가 주종을 이룬다. 조경에 대해서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의 시대적 배경을 精緻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역으로 호란기의 시대 상황을 면밀히 살펴보기 위해선 조경의 생애와 교유, 그리고 문학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그의 생애에서 양대 호란은 매우 중요한 지점이 된다. 척화 10신으로 지목되기도 했고 병자호란이 종결되고 청나라에 올린 表文이 빌미가 되어 그 책임을 독담하여 白軒 李景奭(1595-1671)과 함께 義州 白馬山城에 위리안치되기도 하였다. 미개국으로 인식되었던 청에 대한 굴욕을 몹시 상심해하기도 했던 것이다. 그는 누구보다도 당시의 정세를 비교적 정확하게 진단하고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었던 인물 중의 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임금에게 올렸던 상소를 통해 여실히 확인하게 된다. 그가 제시하는 대안은 매우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것이었기에 이 시기의 정세를 파악하고 살피는데 있어 긴요하다고 하겠다. 본고에서는 당시에 창작된 그의 시를 통해 양대 호란기의 시대적 배경과 작자의 내면의식에 대해서 고찰하는데 목적을 둔다. 그의 시세계를 세 범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대명의리와 우국충절을 주제로 한 시, 대청인식과 북벌의지에 대한 시, 그리고 인조조의 정국과 비판을 읊은 시 등으로 나누어 각 시세계의 특징을 보기로 하겠다. 이러한 작업이 앞으로 진행될 조경의 삶과 문학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의 단초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나아가 17세기 초·중반 동아시아의 정세를 파악하는데 있어서도 일정 부분 기여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Yong-Ju(龍洲) Jo Kyung (1586-1669), the first son of Jo Ik-Nam, was born in the administrative area of Heungdukdong, Sungkyobang in Hanyang. By the time Yong-Ju had reached the tender age of twenty, he had already gained recognition as a talented writer, winning praise from renowned figures such as Baek-Sa(白沙) Lee Hang-Bok and Oh-San(五山) Cha Cheon-Ro. In 1609 (the first year of Kwanghaekun`s regime), Yong-Ju received tutelage under Weol-Jeong (月汀) Yoon Keun-Soo. In 1613 he passed the Samasi, the state exam for recruiting government officials, and entered Sungkyunkwan, the foremost educational institution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he decided to forgo the chance to work in the government after witnessing the corruption of Kwanghaekun and the tyranny of Lee Ih-Cheom. In 1623 (the first year of King Injo`s rule), he ranked first in the Jeung kwang state examination, assuming government posts such as Jungun, Kyolee, and Jungrang. Moreover, in 1629 (the seventh year of King Injo), Yong-Ju entered a sabbatical period at Hodang, an educational facility for young government officials. Fourteen years later, he was dispatched to Japan as an envoy. From that point on, however, he declined the higher government posts suggested by the King such as Daesaheon, Daesaseong, and Daejehak, as well as that of Minister of Justice, Minister of Culture and Education, and Minister of the Interior. Furthermore, he rejected a post offered by the Bukin faction in the regime of Kwanghaekun, retiring instead to a hermitage in Geochang for nearly ten years until returning to the government as a new royal counselor after King Injo`s restoration to the throne. At the time, he garnered a reputation for his fierce criticism against the greed, tyranny, and power monopoly of vassals who had gained power through a coup. The range of Yong-Ju`s social exchange not only encompassed the pro-Namin scholars but also the pro-Seoin scholars. This extensive exchange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he had been a pupil of Han-Gang(寒岡) Ku Jung, Mo-Gye(茅溪) Moon Wui, and Yoon Kun-Soo, who studied under Sa-Seo(沙西) Kim Sik. As can be seen from such relationships, it is apparent that Yong-Ju established himself as a distinguished political leader who led the Namin faction with Heo Mok. Judging by the above-mentioned chronological list, Yong-Ju could also be described as representative of the Sarim, a powerful literati faction, and as a civil servant who served in a wide range of crucial government posts in the middle Joseon Dynasty. Moreover, he was among the ranks of the leaders of the Namin faction, along with Go-San(孤山) Yoon Sun-Do, Mi-Soo(眉?) Heo Mok, and Baek-Ho(白湖) Yoon Hyu. Given the extent of Yong-Ju`s contribution to the academic world, it is regrettable that a study of his life has yet to be conducted in earnest. Even research on his Chinese poetry has made very little progress. Yong-Ju would boldly leave government posts if they did not come in line with his view of the world and greater cause. Such decisions show that he was a truescholar of the era who chose justice over personal gain.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his poems were his first contribution to academia, this study briefly examines Yong-Ju`s life and reflects on his poetic world through domains divided by his consciousness as a writer. The study approaches Yong-Ju`s poetic world through the constructs of pure and noble principles, integrity, the enjoyment of nature, paradoxes in real life and Taoistic transcendentalism. Research of this kind is integral to an overall depiction of Chinese litera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study also aims to become the starting point of future in-depth research on Yong-Ju`s life and literature.

      • KCI등재

        龍洲 趙絅의 詩世界

        정해출(Jeong Hae-Chul) 대동한문학회 2012 大東漢文學 Vol.37 No.-

        본고는 龍洲 趙絅(1586∼1669)의 내면의식이 그의 작품 속에서 어떻게 투영되어 구현되고 있는가에 대해서 연구된 논문이다. 조경은 유년시절부터 여러 문사들에게 문학적 성취를 인정받았다. 약관의 나이에 五山 車天輅, 月沙 李廷龜, 白沙 李恒福 등으로부터 재주를 인정받을 만큼 文名이 있었다. 그의 나이 24세에 尹根壽의 문하에 나아가 학문의 차서와 방법에 대한 훈도를 받았으며, 거창 은거시절에는 寒岡 鄭逑의 학문을 계승한 茅溪 文緯로부터 경학을 전수받았다. 27세 때 사마시에 급제하여 성균관에 입학하였으나 광해군의 亂政과 李爾瞻의 횡포를 보고 과거를 단념하게 된다. 1623(인조 1)년 증광시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정언, 교리, 정랑을 지냈고 인조 1629(인조 7)년 湖堂에서 賜暇讀書하였으며, 1643(인조 21)년 통신부사로 일본에 사행하였다. 이후 대사간과 대사헌 , 대사성과 대제학, 형조•예조•이조판서에 제수되었으나 상소를 올려 사양한 것이 여러 차례였다. 광해군 때 북인의 출사 요구를 뿌리치고 거창•함양(안의) 등지에서 10여 년간 은거생활을 하였으며, 인조반정 이후 新進言官으로 조정에 出仕하였다. 당시 격렬한 언론활동으로 反正功臣들의 권력독점과 탐학을 공격하여 명망이 높았다. 조경의 교유인사를 보면 남인계를 비롯하여 서인계 인사에 까지 그 범위가 넓었다. 이는 조경이 鄭逑로부터 文緯를 잇는 학맥과 沙西金湜에 연원하는 윤근수의 문하에도 출입한데서 그 배경을 살필 수 있다. 이 같은 교유관계에서 나타나듯 조경은 정치적으로 許穆과 함께 남인계를 주도해 나갔던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이상의 간략한 서술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의 일생은 실로 淸要職을 두루 거친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사림의 전형이었다. 뿐만 아니라 孤山 尹善道, 眉叟 許穆 그리고 白湖 尹鑴와 함께 경화 남인의 주도적인 위치에 있었다. 이런 점에서 조경에 대한 연구가 현재까지도 본격적으로 진행되지 못하는 것은 아쉬운 감이 있다 그나마 한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진한 형편이다. 조경의 시는 자연에 머무르면서 감회를 읊은 시와 역사적 인물에 대한 회고시, 청나라의 무도함과 雪恥에 대한 대청의식과 북벌의지를 읊은 시가 주종을 이룬다. 본고에서는 그의 시세계를 세 범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그의 시를 소재와 주제에 따라 志操와 節義를 주제로 한 시, 遊玩과 自樂을 읊은 시, 그리고 養生과 超越에 대한 시 등으로 나누어 각 시세계의 특징을 보기로 하겠다. 이러한 작업이 앞으로 진행될 조경의 삶과 문학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의 단초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Yong-Ju(龍洲) Jo Kyung (1586~1669), the first son of Jo Ik-Nam, was born in the administrative area of Heungdukdong, Sungkyobang in Hanyang. By the time Yong-Ju had reached the tender age of twenty, he had already gained recognition as a talented writer, winning praise from renowned figures such as Baek-Sa(白沙) Lee Hang-Bok and Oh-San(五山) Cha Cheon-Ro. In 1609 (the first year of Kwanghaekun's regime), Yong-Ju received tutelage under Weol-Jeong (月汀) Yoon Keun-Soo. In 1613 he passed the Samasi, the state exam for recruiting government officials, and entered Sungkyunkwan, the foremost educational institution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he decided to forgo the chance to work in the government after witnessing the corruption of Kwanghaekun and the tyranny of Lee Ih-Cheom. In 1623 (the first year of King Injo’s rule), he ranked first in the Jeung kwang state examination, assuming government posts such as Jungun, Kyolee, and Jungrang. Moreover, in 1629 (the seventh year of King Injo), Yong-Ju entered a sabbatical period at Hodang, an educational facility for young government officials. Fourteen years later, he was dispatched to Japan as an envoy. From that point on, however, he declined the higher government posts suggested by the King such as Daesaheon, Daesaseong, and Daejehak, as well as that of Minister of Justice, Minister of Culture and Education, and Minister of the Interior. Furthermore, he rejected a post offered by the Bukin faction in the regime of Kwanghaekun, retiring instead to a hermitage in Geochang for nearly ten years until returning to the government as a new royal counselor after King Injo’s restoration to the throne. At the time, he garnered a reputation for his fierce criticism against the greed, tyranny, and power monopoly of vassals who had gained power through a coup. The range of Yong-Ju’s social exchange not only encompassed the pro-Namin scholars but also the pro-Seoin scholars. This extensive exchange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he had been a pupil of Han-Gang(寒岡) Ku Jung, Mo-Gye(茅溪) Moon Wui, and Yoon Kun-Soo, who studied under Sa-Seo(沙西) Kim Sik. As can be seen from such relationships, it is apparent that Yong-Ju established himself as a distinguished political leader who led the Namin faction with Heo Mok. Judging by the above-mentioned chronological list, Yong-Ju could also be described as representative of the Sarim, a powerful literati faction, and as a civil servant who served in a wide range of crucial government posts in the middle Joseon Dynasty. Moreover, he was among the ranks of the leaders of the Namin faction, along with Go-San(孤山) Yoon Sun-Do, Mi-Soo(眉叟) Heo Mok, and Baek-Ho(白湖) Yoon Hyu. Given the extent of Yong-Ju’s contribution to the academic world, it is regrettable that a study of his life has yet to be conducted in earnest. Even research on his Chinese poetry has made very little progress. Yong-Ju would boldly leave government posts if they did not come in line with his view of the world and greater cause. Such decisions show that he was a truescholar of the era who chose justice over personal gain.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his poems were his first contribution to academia, this study briefly examines Yong-Ju’s life and reflects on his poetic world through domains divided by his consciousness as a writer. The study approaches Yong-Ju’s poetic world through the constructs of pure and noble principles, integrity, the enjoyment of nature, paradoxes in real lifeand Taoistic transcendentalism. Research of this kind is integral to an overall depiction of Chinese litera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study also aims to become the starting point of future in depth research on Yong-Ju’s life and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