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도덕과 교육과정에 관한 문제제기-Kohlberg와 Dewey의 관점

        정해일 ( Hae Il Jeong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1 초등도덕교육 Vol.0 No.35

        7차 교육과정과 개정교육과정은 통합적 인격교육론을 표방하면서 도덕과 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정 때마다 도덕과의 존폐논란이 제기되어 왔는데 과연 이런 논란에 일일이 대응하는 것이 과연 필요한 것인지 묻고 있다. 그리고 지나치게 덕교육의 관점을 강조하는 통합적 인격교육론에 치우친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다는 점,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습관화를 강조하는 것에 대한 이론적 정당화가 취약하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또한, 어린이 철학의 관점이 도덕과의 정체성 확립에 필요하다고 보며, 이는 Kohlberg의 이론과 배치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Kohlberg와 Dewey의 관점으로 이러한 문제제기에 대한 나름의 시사점을 찾고 있으며, 동시에 그들의 관점은 여전히 우리 현장의 도덕교육에서 유효하며 교육과정 개정 작업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고 본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some problems of the recent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school, and take Kohlbergian approach and Deweyan ethical thought as its context for argument. What gose wrong in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Firstly, Whenever curriculum is revised, it has been raised that moral subject retain or quit. But, in this study, its argument is not useful for children`s Moral education. Secondly, The integrated approach to character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too severely and exaggerated in 7th and `07 revised moral subject curriculum. Thirdly, It is not justified theory that should be stressed on habituation for you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ral education. Forthly, A new approach for identification of moral subject in view of hilosophy for children is recommended in the Korean school moral education. It wouldn`t run counter to the Kohlbergian approach.

      • KCI등재

        이해로 가르치기: 현준이의 집단따돌림 경험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정해일 ( Hae Il Jeong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4 교육인류학연구 Vol.17 No.2

        현준이는 2012년 필자가 담임을 맡고 있던 6학년 교실에서 집단따돌림을 당하던 한학생이다. 이 논문은 현준이와 교사가 존재론적 탐구를 통해 집단따돌림 문제를 해결한 경험을 묘사한 이야기이다. 당시 집단따돌림에 관한 문제 혹은 이슈를 다루는 광범위하고 다양한 연구들이 있었지만, 그런 연구나 문헌들의 대다수는 사회적 제도적 관점의 영역에서 집단따돌림에 관한 원인과 처방에 관련된 것들이었다. 그러나 이 존재론적 탐구는 교실에서 현준이의 집단따돌림 경험에 관한 존재론적 이해를 통한 대화적 교육과정구성을 지속해 왔다는 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탐구를 진행하는 동안 교사와 현준이는 저널을 지속적으로 써왔다. 저널쓰기의 목적은 첫째로는 집단따돌림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었고 둘째로 그 경험과의 관련 속에서 나는 누구인지 반성적 성찰을 위한 것이었고 셋째로 각자 생각에 대한 대화적 공유를 위한 것이었다. 연구기간 동안 우리는 집중적인 인터뷰와 관찰, 인공물 분석의 방법으로 끊임없이 또 다른 타자의 목소리를 이해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러한 과정에서 집단따돌림의 문제는 개인적 차원의 문제도 있고 마찬가지로 광범위화고 다양한 사회적 차원의 문제가 혼재되어 나타나는 복합적인 문제라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연구가 진행되고 어느 정도 시간이 흘렀을 때, 현준이를 따돌리던 다른 학생들이 대화적 교육과정 만들기의 공동체 경험 속으로 빠져들었고 집단따돌림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하게 되었다. 그런 상황은 교실의 모든 참여자들 사이의 적극적인 반성적 성찰과 대화를 촉진하도록 만들었다. 이는 궁극적으로 교실을 대화적 배려 공동체로 만들어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었다. 이러한 대화적 의미 만들기 과정을 통해 현준이와 교사 그리고 다른 학생들은 지적, 사회적, 심리적, 도덕적으로 성장할 수 있게 되었다. Hyun-Jun is a student who was bullied in the classroom during the academic year of 2012. This paper is a storied account describing the problem-solving experiences of Hyun-Jun and his teacher created through ontological inquiry. While there has been a wide variety of research dealing with such problems or issues, majority of the literature is geared to the causal or preventive explanation of bullying in the realm of socio-institutional perspectives. However, this ontological inquir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the teacher continued to shape a dialogical curriculum-making from the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Hyunjun`s bullying experiences in the classroom. While engaging in the inquiry, both the teacher and Hyun-jun kept a journal. The three main purposes of the journal writing was, first, to understand the bullying experiences, second, to reflect on who the teacher was in relation to the experiences, and third, to dialogue with each other. During the study period, teacher and student constantly engaged in listening to the other``s voice by using intensive interviews, observation and artifact analysis. In doing so, they came to the understanding that bullying problems contained a wide variety of social problems as well as personal problems. As time went on, other students were gradually involved in the dialogical curriculum-making experiences and came to solve the bullying problems. This situation promoted the active reflection and dialogue among all the participants in the classroom, which ultimately helped in shaping the classroom into a caring community. Throughout the dialogical meaning-making process, Hyunjun, the teacher, and other students were able to grow intellectually, socially, psychologically and morally.

      • 학생의 흥미에 기초한 도덕과 프로젝트 방법 개발

        정해일 ( Jeong Hae-il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

        본 논문은 도덕수업의 존재 이유를 다시 성찰하고 그 존재 이유에 부합하도록 학생의 흥미에 기초한 프로젝트 수업 방법을 고안하기 위한 것이다. 필자는 도덕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로서 학생과 교사들에게 도덕수업이 그들에게 어떤 의미인지 인터뷰를 해 왔다. 그 과정에서 `도덕수업은 왜 존재하는가?` 하는 존재론적 의문을 품었다. 도덕수업은 여러 가지 존재 이유가 있을 수 있겠지만, 첫째로는 현실 생활에서 발생하는 도덕적 문제를 해결하고 실천한다는 실용적 측면의 존재이유를 충족해야 하고, 둘째로는 도덕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도덕적 추론능력, 덕목개념의 탐구라는 학문적 존재이유를 충족해야 한다고 본다. 그러나 교실의 도덕 수업은 그러한 존재 이유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에 필자는 도덕 수업의 존재의의에 부합하는 발현적 교육과정 재구성에 의한 프로젝트 수업을 고민해 보았다. 필자의 도덕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생활에서 직접 부딪히는 문제를 도덕수업에서 다루었고, 이 과정에서 발현적 프로젝트 수업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다. 1년간 초등학교 6학년2개 반에서 운영해 본 결과를 토대로 발현적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프로젝트 수업의 절차를 소개하고 있다. In this paper, I, firstly, reflects on the ontological justification of moral education teaching in schools, and, secondly, develops my reflections into a teaching methodology which is responsive to student`s interest. As a moral education teacher in an elementary school, I have interviewed many students and teachers in order to understand how meaningful moral education lessons are to them. During the process, I came across an ontological question of `Why should moral education exist as a curricular subject in schools?` Among the many reasons, I found two most important reasons. The first should satisfy the practical reason that moral education helps students to solve their moral issues and problems they encounter in daily life. The second should satisfy the academic reason that it helps students both to reason rationally and inquire into the virtue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Unfortunately, however, it is a pity that moral education classes hardly satisfy the above-mentioned reasons of moral education teaching. As the response to the above issues, I delved into the development of an emergent curriculum which is responsive to student`s interest. In my moral education classes, I dealt with the concrete issues or topics which students directly experienced in their real life situations, which naturally led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an emergent project teaching. This paper introduces the process of the whole project in a well-designed procedural format so that moral education teachers can meaningfully relocate the methodological ideas in this paper into their own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