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4차 산업혁명 시대, 배우예술의 영역과 그 경계

        정하니 한국연기예술학회 2018 한국연기예술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예술 분야도 장르의 경계가 갈수록 모호해지고 더불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면서 인공지능이라는 개념과 함께 로봇 배우가 공연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내고 있다. 배우예술의 영역에서 과연 로봇 배우와 인간 배우의 경계선을 앞으로 우리는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 것인가? 그 갈림길에서 우선, 배우예술 안에서 과연 로봇 배우의 연기를 우리는 진정한 연기 예술로 받아들이고 그 영역과 경계를 구분해야 할 것 이다. 제미노이드 에프(F), 에버(EveR), 라오라(RAoRA)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로봇 배우들이 다양하게 등장 하고 있다. 더 이상 인간만이 할 수 있다고 믿었던 배우예술의 영역도 인공지능한테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의미한다. 미래 사회의 산업 지형을 우리는 완벽하게 예측할 수는 없지만, 연구와 분석을 통해 공존 방법을 모색해야한다. 가까운 미래에서 요구하게 될 새로운 배우예술의 영역과 그 경계에 대하여 논하고자한다. 이를 위한 본 논문의 구성은 크게 세부분으로 나뉜다. 먼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입을 통해 달라진 시 대적 현황을 살펴본다. 그리고 4차 산업시대의 혁명으로 배우예술의 혁신적 영역에 부분에 대한 사례들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로봇 배우와 인간 배우의 영역의 경계에 대하여 어떻게 구분하고 바라볼 것인 가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본 논고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 배우예술의 영역과 그 경계 배우예술 논의는 기 존 논의들에서 고찰된 개념들을 보강하면서 새로운 시각에서 그 영역의 경계를 바라보고자 한다. 본 논고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이르러 달라진 배우예술의 현황과 그로인해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로봇 배우들의 사례를 통해 특징을 알아보고 인간 배우와 로봇 배우의 경계선과 그리고 앞으로의 발전 가능 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에서의 효과적인 연기지도방법 연구

        정하니 한국연기예술학회 2019 연기예술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 연극교육의 대상자에 따른 공연과정 중심의 연기지도방법을 알아보고 효과적으로 차용되고 있는 국어 교과 안 문학적 텍스트의 공연 텍스트 이해와 지도방법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그리스 시대의 연극은 단순한 오락의 수단으로만 생각한 것이 아니라, 그들의 역사를 알고 인간을 배우는 수단으로 작용했다. 오늘날의 연극, 특히 학교 안에서 이루어지는 연극을 통해 배우는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그리스 시대 국민 상호 간의 친화력을 기르고, 더 나아가 협동 정신을 고취하는 수단으로 활용된 연극은 오늘날까지도 그 맥락을 이어받아 직·간접적인 수단으로, 교육의 매개체로 응용되고 있다(이근삼, 2007). 2000년대 이후, 연극이 초·중·고등학교 교육 현장 안팎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이밖에도 학교폭력·성폭력 예방, 인성·다문화 이해 등의 부문에서도 문화예술교육이 효과적인 수단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이 학교 교육 안에서 다양하게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만큼, 그 교육의 방법이 공연제작과정을 통해 연령에 따라 어떻게 적용하고 지도할 것 인가에 대해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교육연극은 새로운 결과물 창출보다는 만들어가는 그 과정 안에서 형성되는 교육적 측면이 주목된다. 오늘날, 다양한 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실태와 현황들을 살펴보고, 나아가 연극교육 안에서 공연제작과정의 적용 범위와 대상자에 따른 공연적용 양식에 대한 효과적인 방법론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 고든 크레이그의 연극 예술론

        정하니 한국엔터테인먼트협회 2018 엔터테인먼트연구 Vol.1 No.1

        예술 장르의 경계가 갈수록 모호해지고 관객이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제4의 창조자로서 또는 수행 자로서 역할이 확대되고 있는 시대와 더불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공지능이라는 개념과 함께 로봇 배 우가 공연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내고 있는 현실을 살아가고 있다. 비재현적 연극들이 다양하 게 시도되고 있는 요즘, 과거 재현과 비재현의 경계사이, 과도기를 겪은 과정의 경계선을 허물어버린 대 표주자가 바로 고든 크레이그라 할 수 있다. 텍스트 중심의 전통적 희곡 개념을 거부하고 공연텍스트라 는 새로운 의미 창출과 ‘연출’이라는 개념과 중요성을 적극 활용 한 그를 통해 오늘날의 ‘연출’이라는 개 념의 의미를 다시금 새겨 볼 수 있다. 오래된 역사를 형성해온 연극, 특히 르네상스 이후 현실의 재현을 향한 발전의 서구 근대 연극사에서 고든 크레이그는 자연주의 연극과 계몽주의적이며 합리주의적 원칙 에 반기를 들며 저항하였다. 사실주의를 거부하고, 연극을 일상적 존재의 현실을 넘어선 현실의 표현을 위한 매개체로 변형시키고자 노력한 크레이그는 상징주의에 속하지는 않지만 상징주의 전통 안에 있었 다. 이처럼 비재현적 연극에 대하여 이론적 체계를 부여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한 크레이그는 자신의 혁 명적인 사상을 많은 저서를 통해서 독자들로 하여금 연극예술을 재평가하도록 하였다. 연출가로서 뿐만 아니라 연기자, 미술가, 작가, 그리고 무대디자이너였던 그는 상징주의적 양식무대의 초석을 만들어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새로운 현대적 무대 미학을 확립한 연출가, 고든 크레이그의 생애와 작품활동, 연극예 술론의 특징들에 대하여 알아보고 오늘날 공연예술분야에서 그가 가지는 의미와 앞으로의 오늘날의 무 대 발전 가능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A theatre has been forming a long history, especially since Renaissance, western modern theatre has been in constant and reverse progress of reproducing reality. It reaches its peak when it comes to realism theatre. However, a dream of the reproducing reality ran into strong resistance by theatrical reformers who were against the principle of naturalism theater in early 20th century. Craig who tried to refuse the realism and transform the theatre into medium for expressing the reality beyond the ordinary reality is not sorted as symbolists but in traditional symbolism. Thus, Craig who is with respect to give a theoretical system of non-representational theory of theatre, he shocked people by writing a lot of books with his revolutionary ideas for re-evaluating the theatre arts. He advanced symbolic stage as a director, actor, writer, designer and artist. Through his concept of ‘space-light-movement-theatre’ and ‘space-light-direction’, Craig is beyond the naturalistic drama which focuses on a literal analysis. His interest is to form the visualization of the na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musical composition. He checked an artistic characteristic of the theatre once again and criticized Europe drama that had lost its own artistic character at that time. Also he questioned of the nature of the drama in directing to improve the situation in Europe. He emphasized the direction because of the down grading the importance of text, created a new theory of the future that is the movement concept centered and directed by the director. Although his theory remains only drawing or idea, yet it can be said that the idea is alive and has great significance because they help establish other theatrical theory or give an inspire to the other artist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배우예술의 영역과 그 경계

        정하니,유주연 한국연기예술학회 2018 연기예술연구 Vol.13 No.3

        오늘날 예술 장르의 경계가 갈수록 모호해지고 더불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면서 인공지능이라 는 개념과 함께 로봇 배우가 공연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내고자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배우 예술의 영역에서 과연 로봇 배우와 인간 배우의 경계선을 앞으로 우리는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 것인가? 그 갈림길에서 과연 로봇 배우의 연기를 우리는 진정한 연기 예술로 받아들여야만 한다면 그 영역과 경 계를 어떻게 구분해야 할 것인가? 대표적으로 제미노이드 에프(F), 에버(EveR), 라오라(RAoRA)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로봇 배우들이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다. 더 이상 인간만이 할 수 있다고 믿었던 배우예술의 영역도 인공지능한테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의미한다. 미래 사회의 산업 지형을 우리는 완벽하게 예측할 수는 없지만, 연구와 분석을 통해 공존 방법을 모색해야한다. 미래에 요구하게 될 새로운 배우예술의 영 역과 그 경계에 대하여 논하고자한다. 이를 위한 본 논문의 구성은 크게 세부분으로 나뉜다. 먼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입을 통해 달라진 시대적 현황을 살펴본다. 그리고 4차 산업시대의 혁명으로 배우예술의 혁신적 영역에 부분에 대한 사례 들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로봇 배우와 인간 배우의 영역의 경계에 대하여 어떻게 구분하고 바라볼 것 인 가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본 논고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 배우예술의 영역과 그 경계 배우예술 논의는 기존 논의들에서 고찰된 개념들을 보강하면서 새로운 시각에서 그 영역의 경계를 바라보고자 한 다. 결과적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이르러 달라진 배우예술의 현황과 그로인해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로봇 배우들의 사례를 통해 특징을 알아보고, 인간 배우와 로봇 배우의 경계선과 그리고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Today, as the boundaries of artistic genre become increasingly vague, and with the society fac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obot actors are out there to create new performing art paradigm in various ways along with the concep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field of acting art, how do we look at the boundaries between human actors and robot actors? Standing at the crossroad, how do we classify the fields and the boundaries, if we accept the robot acting as true? From the Geminoid F, EveR and to RAoRA, there are many robot actors making an appearance on the stage. It means that the area of the acting arts which was believed only human to be able to perform, no longer free from the AI. We cannot predict the precise form of the industrial geography in the future yet,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we will be able to seek the way to co-exist.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discuss the fields and the boundaries of new acting arts that will be required in the future. The composition of this paper is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look through the current situation that has changed ever since society enter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n, examine the example of the innovative part of the acting arts because of the Revolution. Finally, discuss how to divide and look at the boundaries between robot actors and human actors. In this paper, I will reinforce the previous debate about the acting arts and their own fields and the boundaries, while examining them with a new perspective. As a result, we will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ing arts that have chang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the cases and examine the boundaries between human actors and robot actors and of its possibility of future development.

      • KCI등재

        유사,명시적 학습 형태에 따른 럭비 캐치 기술의 학습효과

        정하니 ( Ha Ni Jeong ),최재섭 ( Jae Sub Choi ),홍석범 ( Seog Beom Hong ),육동원 ( Dong Won Yoo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4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5 No.2

        Purpose: It has been debated that which method of implicit or explicit learning on motor skills is more effective in the field of motor learn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alogy learning as a means of implicit learning in rugby ball catch. Methods: The task was to catch a rugby ball falling without spin from a building about 8m tall. In this study, male middle school students(N=30) who have never played the sport before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he analogy learning group, explicit learning group and control group. The analogy learning group was told to catch a baby doll, not a ball, falling from a building and read a news article describing that a person caught a baby falling from a building. They did not learn or receive any information regarding the rugby catching skill, but the participants of the analogy group had to cautiously catch the doll. On the other hand, the explicit learning group was provided with instructions and information regarding the skill and physical movement, and the participants in this group were asked to catch a rugby ball falling from the building. The control group was given no focus instructions. All participants practiced the task (8 times x 5 blocks) and performed a delayed retention test, delayed transfer test, and crossing task transfer test after two weeks. Results: Compared with the effects of explicit instructions and no instructions, the implicit instructions indicated that the analogy learning group enhanced learning on the delayed transfer test. The result means that it might be more beneficial than a direct explicit instruction focusing on physical movements of task itself. Conclusion: Thus, this study provided the evidence of the learning benefits of an implicit instruction for the rugby catching task.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coaches, instructors, and teachers apply a new method when teaching a novice as verbal instructions or directly teaching how to do it are not always necessary.

      • KCI등재

        예술활동의 사회적 인식변화를 위한 의미 탐색

        서상규(Sang-Gyu Seo),오광석(Kwang-Suk Oh),신대식(Dae-Sik Sin),홍세희(Sea-Hee Hong),성건제(Gun-Jae Sung),정하니(Ha-Ni Ju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9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3 No.5

        이 연구는 연기와 예술에 대한 사회적 의미와 시대적 변화에 따른 인식의 변화를 지적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한 질적 연구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 검토한 내용들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결론을 대신하고자 한다. 연기란 개인의 삶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예술이다. 따라서 개인의 생활은 연기를 통해 살아가면서 자신의 삶을 예술로 승화시키는 활동이다. 우리기 일상생활에서 행하는 모든 활동이 곧 연기이며, 이는 자신의 재능과 직결되어 있다. 즉, 재능 있는 사람은 훌륭한 배우로 인정받고, 재능이 부족한 사람은 엑스트라의 역할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재능은 노력에 의해 영향을 받고, 주어진 환경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즉, 개인의 재능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개인의 재능에 대한 변화가능성을 다루는 영역이 교육이다. 교육은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연기와 관련해서는 오랜 기간 동안 도제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20세기 접어들면서 서서히 시스템이 갖추어지기 시작하였으며, 최근에는 나라마다 다른 교육시스템을 갖추는 상황으로까지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일상적인 교육의 과정에서도 연기와 예술이 자연스럽게 적용되어 생활 속에서 접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대한 실천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This study aimed to point out the social meaning of acting and art and the change of perception according to the time change.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should be made. Acting is an art directly linked to the life of an individual. Therefore, the life of an individual is an activity that sublimates his or her life into art through acting. Every activity that we do in our daily life is acting,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our talents. In other words, a talented person is recognized as a good actor, and a person with a lack of talent plays the role of an extra person. However, talent is influenced by effort and is also influenced by a given environment. That is, an individual"s talent is not fixed bu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Education is the area that deals with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se talents. Education has been operating in a variety of ways, but with regard to acting, it has long been centered on apprenticeship education. However, as the 20th century began, systems gradually began to emerge, and in recent years, countries have developed into different educational syst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actice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various education programs so that the acting and the art are naturally applied in everyday education process and can be applied in daily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