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examining Textbooks as a Gender Text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s

        정진주(Pearl Jinjoo Chung)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미래교육학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 실과교과서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을 살펴보기 위해, 실과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화보를 분석하고 그 안에 내재된 성역할 고정관념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첫째, 실과교과서의 화보를 분석하여 다양한 그림과 사진이 묘사하고 있는 성역할 고정관념을 분석하고, 둘째, 직업과 관련된 화보를 점검하고 성역할 고정관념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과 여성의 화보 출현비율은 비슷했으나, 남자는 남성다움을 드러나거나 활발한 운동을 하는 것으로 표현되었고, 또한 집안의 경제원을 갖고 있는 회사원으로 묘사되었다. 반면, 여자는 애정을 주는 부모의 역할로 표현되거나 여자 아이들은 자신의 외모에 신경 쓰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남녀 성역할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가사활동 및 학교활동에 평등하고 균형적인 남녀 화보가 제시될 필요가 있다. 또한, 실과교과서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직업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남성이 공학이나 의사 등 전문적인 직업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성은 패션과 관련된 직업이 가장 많이 출현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사회활동 및 직업적인 영역에서도 남녀 화보를 결정하는데 있어 더 깊은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representations of gender stereotypes in 5th and 6th grade Practical Arts textbooks used in Korea, and identify undergirded conceptions that influence students’ formation of gender roles. For this research, 5th and 6th grade Practical Arts textbooks from Gyo-hak-sa and Chun-jae Education, a total of 4 textbooks are examined in the following areas: 1) frequency of male and female depictions in textbooks, 2) portrayal of gender stereotypes in illustrations, and 3) gender stereotypes depicted in vocations. From this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made. First, the number of male and female illustrations are almost identical. However, more males are represented as masculine and active who financially support a family while females are portrayed as care-providers and nurturers. Second, more males are projected to have higher status jobs in the fields of engineering and medicine whereas more females are illustrated in fashion and beauty related fields. As a result, a balanced delineation as well as careful selections of male and female illustrations are necessary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gender roles, identity, and gender equity in the future.

      • KCI등재

        캐나다의 여성건강 기반 구축 현황

        정진주(Chung, Jinjoo) 한국여성연구소 2014 페미니즘 연구 Vol.14 No.1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과는 달리 여성의 요구와 젠더 관점을 수용한 건강정책이 매우 부족한 것이 한국의 현실이다. 젠더관점의 건강정책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여성(젠더)건강의 인프라 구축이 필요한데, 한국의 경우 그 인프라는 취약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선진국의 여성건강 기반 구축의 경험을 살펴보아 한국의 미래 청사진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여성건강 인프라 구축과 정책실행이 상대적으로 잘 수행된 경험이 있는 캐나다를 사례로 선정하여 여성건강 기반 구축 현황을 검토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캐나다의 여성건강정책에 대한 기존문헌 및 인터넷 자료의 검토, 캐나다 현지 기관 방문 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캐나다의 인프라 구축에서 정부 단위의 여성건강 전략 및 종합계획의 수립 및 실행, 여성건강정책의 사회적 모델 채택, 여성건강 예산의 확보, 여성건강 담당부서와 인력 마련, 여성건강 정보생산 및 모니터링 체계마련, 여성건강연구 지원의 확대, 여성건강에 대한 지식통역과 교육, 여성건강네트워크의 형성 등이 중요하다고 판단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사회에서의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에 대해 정리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foundation of women’s health policy and infrastructure in Canada. While the Korean government has not actively prepared for women’s health policy,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Canadian case to understand components and porcess of women’s health infrastructure. Literature review and 10 days of visit to Canadian organizations related to women’s health help to grasp the nature of structural formation of women’s health policy. Korean government should provide women’s health plan and budget for women’s health policy, adopt social model of health policy and increase women’s health research, women’s health network and educational programs.

      • KCI등재

        [특집/동강댐의 환경사회학]환경분쟁에 있어서 지역운동사의 전개 - 동강댐 건설을 중심으로

        정진주(Jinjoo Chung) 한국환경사회학회 2001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 No.-

        동강댐 건설에 관한 논쟁은 지역주민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과 활동을 확산시킨 계기가 되었다. 또한 다양한 이해 당사자가 개입하여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하고 조직적이고 구제적인 활동을 한 환경사안으로 역사적 획을 긋게 된다. 공동조사단의 결정으로 일단은 댐의 백지화라는 결론이 내려진 이 시점에서 본 논문은 지난 10년간의 동강댐에 관한 역시를 4시기로 나누어 지역주민의 댐 논의를 운동사적인 측면에서 살펴본다.<br/> 1990년의 홍수로 댐의 필요성이 제기된 이래 동강댐에 관한 논의는 4시기로 구분될 수 있다. 199 년-1996년 시기에는 동강댐의 영향권에 있던 영월과 정선에서 각기 댐 건설에 관한 상반된 입장을 갖게 된다. 영월에서는 홍수로 인한 피해가 심했던 만큼 댐 건설의 필요성이 댐의 안정성 문제나 자연적 가치에 대한 중요성을 제기한 소수의 의견에도 불구하고 지배적이었다. 정선은 댐의 안정성과 군의 침몰이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어 지역유지를 중심으로 주민이 참여하여 결사적인 반대운동을 거치게 된다. 하지만 96년 후반과 98년 초반에는 각 지역 에서 댐 건설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입장이 양극화되어 갈등적이고 대립적인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양분화는 수자원공사의 댐 예정지 고시와 함께 사업단의 영윌 진출에 따라 댐 건설이 확실시되는 가운데 수몰민 지역주민은 경제적 보상에 대한 우려로 기존의 반대의 입장에서 댐 건설 찬성으로 선회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각 이해당사자는 투쟁위원회를 구성하여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조직적인 기반을 다지게 된다. 또한 이 시기는 환경단체가 댐 건설 반대운동에 적극적으로 연합하기 위한 전초전을 갖게 된다.<br/> 제 3시기인 98년초반 99년중반에 이르면 특히 영월지역의 반대운동은 환경단제의 적극적인 개입, 전국적인 시민의 동조, 이에 따른 군과 도의 정치적 차원의 댐 건설 반대의 공식적 선언으로 운동이 최고지점에 이르게 된다. 반면 수몰민 중심의 댐 건설 찬성 입장은 반대운동과의 선을 명확히 긋지만 계층적인 한계와 생태가치를 주요 운동가치로 내세우는 반대운동의 수세에 몰리게 된다. 전반적으로 댐 건설 반대운동이 우위를 점하면서 마지막 단계에서는 이제까지 소외되었던 수몰민의 보상, 지역경제의 활성화 등이 다시 해결되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일기 시작하면서 조사단의 결정으로 댐 건설은 백지화된다. 댐은 백지화되 었지만 그동안의 논쟁으로 지역공동체는 결렬되었고 향후 동강의 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가느냐는 아직도 미해결의 과제인 셈이다.<br/> <br/> <br/> <br/> <br/> The environmental movement against the construction of Dong-Gang Dam has gamed national attention, thereby helping Koreans to become more aware of environmental Issues Various interest groups m the affected area held different views about the proposed construction of the dam, organizing themselves in support of or opposition to the plan. This paper analyzes the values, organization and strategies of the movement at the local level as well as examining the nature of conflict among the interest groups m the area.<br/> The flood in 1990, which marks the beginning of the debate over the dam, provoked different reactions from the people living m the area Many people were in support of the dam since they thought the dam would prevent future floods Those hying m the area that Will be submerged upon the construction of the dam also welcomed the proposed construction, demanding appropriate economic compensation in return. Campaigning against these advocates of the dam were those who opposed m the belief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land m the area was not stable enough to build a dam. The opponents of the dam also argued that the dam would leave people With nothing Due to such divergent views about the dam, the two parties were m serious conflicts for a long time Breaking such stalemate was the involvement in the matter by national and regional environment groups Their Involvement generated interests among urban residents, turning what was once a local and non-environmental Issue into a national and environmental one In the process, the party that opposed the building of the dam earned support from indirect interest groups, and subsequently, public opinion favoring the preservation of the area won, at least for now, because the plan has been put on hold<br/>

      • KCI등재

        여성의 일과 건강

        정진주(Chung Jinjoo) 한국여성학회 2002 한국여성학 Vol.18 No.1

        사무직은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은 직종이나 이 집단의 건강에 대한 실태파악이나 정책은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사무직의 노동환경은 전통적인 물리적, 화학적 요인과는 다른 요인이 더욱 중시되고 장기간 누적되어 나타나는 직업성 질환이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무직 여성노동자의 건강현황을 파악하고 사무직 여성노동자의 건강권 확보를 위한 방향제시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사무직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인구, 사회적 요인, 작업환경의 제반 요인과 근골격계질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비작업적 요인을 포함한 질문지를 작성, 872부의 질문지를 대상으로 집단간 교차비(odds ratio)를 분석하였다. 미국산업안전보건기구가 규정하고 있는 기준에 따를 때 전체 응답자의 62.5%인 545명이 질환을 호소하였다. 근골격계질환 발생과 관련된 요인은 평균근무시간, 잔업/특근 여부, 작업 중 휴식시간, 작업량 조절가능, 작업강도, 직무의 요구량, 동료와 상사로부터의 정서적인 지원, 스트레스, 피로, 음주회수로 나타났다. 근골격계질환을 호소함에도 불구하고 문제의 해결을 위해 질병을 보고하지 않은 사람은 83.4%였고, 근골격계질환에 관한 교육을 받아본 적이 없는 노동자가 95%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사무직 여성노동자의 심각한 근골격계질환발생의 감소를 위해서는 현재의 근골격계질환 예방대책을 권고수준에서 사업주의 강제사항으로의 변경과 성인지적 관점에서 성별 노동환경과 질환에 대한 자료 구축, 보건관리의 혜택이 성평등적으로 작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Concerns of women's health have mostly focused on women's pregnancy and childbirth and recently on women workers working in the manufacturing sector. Women's absorption into clerical work has rapidly increased, yet their health conditions in relation to working environment have not been paid much attention. In fact, clerical workers work in the different working environment from what traditional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law has covered. In the office working setting, physical and chemical risk factors are not so much important as factories and occupational disease, not injuries, recognized after long-term, is preval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onditions of female clerical worker's health paying special attention to musculoskeletal disorders(MSDs) and suggest a way to improve health of those workers. To understand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MSDs among female clerical workers, we used a questionnaire containing demographic and social factors, various dimensions of working environment and non-occupational variables. 87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odds ratio was obtained to understand group difference by each variable. According to NIOSH definition of MSDs, 62.5% of workers had symptoms at least one part of body. Workers had the most severe symptoms on shoulder and hick, wrist/hands/fingers, knee/ankle/, ann/elbow in order. Factors affecting prevalence of MSDs were average working hours, overtime work, duration of break time during working time, possibility of accommodating job demand, labour intensity, social support, stress, level of tiredness and alcohol drinking. In spite of recognizing MSDs, 83.4% of workers did not report their symptoms to the company or trade union. Thus workers did not have opportunities to have appropriate treatment and ask for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In addition, 95% of workers have never had education on MSDs. Since many female clerical workers had MSDs, several measures should be suggested. First, currently Korean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OHS) law regulates MSDs only through various recommendations that company owner should take. Thus the recommendations should be at the level of law giving more responsibility of company owner to take substantial actions at the workplace. In addition to the reform of law, every workplace should establish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to analyze health problems, make changes and evaluate those changes for the following changes of working environment. Through these measures, clerical workers could have education on work-related diseases and make changes of various dimensions of the working environment.

      • KCI등재
      • KCI등재

        노인 학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학대의 유형과 중복 경험,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박금령 ( Park Gum Ryeong ),정진주 ( Chung Jinjo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3

        경제성장과 기술발전으로 기대 수명이 증가하고 양질의 삶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노인의 건강 수준을 위협하는 학대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노인 학대와 건강 수준의 관계를 각 학대의 유형별로 살펴보고, 각 유형의 학대 경험들이 중복되었을 때 나타나는 건강 결과의 젠더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지난 1년간 전체 노인의 10%가 학대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그 경험은 우울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정서적 학대로 인한 우울 효과는 남성과 여성에서 동일했으나, 경제적 학대로 인한 우울 효과는 남성에서, 돌봄에 대한 방임으로 인한 우울 효과는 여성에서 뚜렷했다. 마지막으로 학대 경험의 중복과 우울증상과도 유의한 관련성은 여성에서 유의했다. 가부장적 사회와 문화 속에서 독립적 의사결정과 경제생활이 어려웠던 여성 노인은 학대를 경험했을 때에도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웠으며 그 결과가 우울로 나타났을 수 있다. 또한 전통 사회에서 가구 소득에 있어 큰 역할을 수행해 온 남성 노인의 상대적 박탈감이 경제적 학대와 우울 증상 간의 관계를 해석하는데 중요 요인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신고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제도로 인해 보고되지 않은 노인 학대 경험은 더 많을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학대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제고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향후 연구에서는 노인 학대를 사전에 예방하는 기전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학대 경험이 불건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정책적 개입을 고민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젠더 관점의 연구와 정책은 필수적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elderly abuse and depressive symptoms in South Korea. For our analysis, we used the 2014 Survey of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which was conducted of 10,267 older Koreans. Elderly abuse was measured by asking the respondents, “Have you ever experienced neglect of physical, emotional, or financial care, or neglect of financial support over the past 12 months?” Depressive symptoms as a dichotomous variable was measured using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For statistical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was applied. Our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approximately 9% of the elderly experienced abuse, and elderly abus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Koreans after adjusting for covariates. Second, emotional abuse, neglect of care, and neglect of financial care were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The odds ratio of having depressive symptoms was the highest among women with the experience of having been neglected of care (OR: 5.72, 95% CI: 1.19, 27.41) and among men with experience of having been financially abused (OR: 5.11, 95% CI: 1.10, 23.93). Third, the odds ratio for depressive symptoms in both men and women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types of abuse experienced. The incremental effect of having been abused on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was much stronger in women than men. In conclusion, the association between elderly abuse and depressive symptoms was different between in men and in women. Active policy intervention to prevent elderly abuse is needed focusing the gender difference.

      • KCI등재

        보육교사 건강문제 진단과 대안

        백경흔(Kyungheun Baek),정진주(Jinjoo Chung)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21 비판사회정책 Vol.- No.73

        보육교사는 열악한 노동조건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안녕이 위협받고 있다. 하지만, 어린이 안전과 아동학대 관련 문제가 부각되면서 다른 돌봄 노동과 마찬가지로 여성노동이라는 이유로 노동과 건강 양 측면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측면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 현장에서 유래하는 교사의 건강문제 현황을 진단하고 대안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2016년 1월부터 5년 동안 한국연구재단 등재지후보이상 논문과 보고서 등을 분석하고, 2010년부터 10년 동안의 근로복지공단 서울업무상질병판정위원회가 심의한 보육교사 산재판정 결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학술연구에서는 주로 직무 스트레스, 대인관계 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감정노동 및 정신건강 문제 등이 나타났고, 산재판정에서는 정신질환 이외에도 근골격계질환이나 이비인후과 질환 등의 업무상 질병이 주요한 산재로 인정되었다. 연구와 산재 인정 현황에서 보육교사 건강 의제가 다소 다르게 나타나, 현장의 목소리와 보육환경과 건강을 연계한 보육교사 건강문제가 보다 공적 건강 의제로 부각되어야 할 필요성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 건강증진을 위해 어린이집안전공제회와 산업재해보상보험의 이원화된 건강체계의 일원화, 지속적 모니터링을 위한 보육교사 건강 데이터 베이스 축적, 원장 책임성 강화, 교사 인력을 포함한 적정 근무환경 조성, 보육교사 건강교육과 건강연구의 활성화,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 조치 마련 등의 대안을 제시한다. Although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of childcare workers are threatened by poor working conditions, their health has hardly been a major academic agenda. Work of childcare workers is similar to other care work in which their work has long been gendered as women"s work in the private sector. However, as existing health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male labor, sufficient knowledge to explain women"s labor experience has not been accumulat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ealth problems of childcare workers and suggest alternatives to enhance their health. First, we analyze academic papers register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for the last 5 years from January 2016, and analyze data of the Seoul Committee on Occupational Disease Judgment for 10 years from 2010.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there is mismatch between findings of academic research and health agenda of childcare workers in terms of recognition of occupational diseases. It suggests that the health issues of childcare workers has not been properly addressed in the current public discussion. In addition, the mental health problem of childcare workers is very serious, and various diseases, accidents, and safety issues experienced by childcare workers, includ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need to be studied more actively in the future. Lastly, this study suggests alternative solutions as unification of the dual health system of the Daycare Center Safety Mutual Aid Association and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accumulation of health database to monitor their health, strengthen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workplace director and health education for childcare teachers, and further investigation of health research and development of measures to deal with childcare teachers" mental health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