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앙상블 기법을 이용한 가뭄지수 예측

        정지현,차상훈,김묘정,김광섭,임윤진,이경은,Jeong, Jihyeon,Cha, Sanghun,Kim, Myojeong,Kim, Gwangseob,Lim, Yoon-Jin,Lee, Kyeong Eun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7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8 No.5

        가뭄의 심도와 빈도가 강해지는 상황에서 가뭄예측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가뭄현상의 시간적 변동이 비선형적이며 복잡하여 단일 모형만으로 예측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상가뭄지수인 표준강수지수 (SPI)와 세계기후지수, 날씨 관련 변수 등과 같은 다양한 설명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할 선행 모형과 가법 모형을 먼저 구축한 후 앙상블 기법 중 확률 기울기 하강 (stochastic gradient descent; SGD) 방법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설정하는 결합모형을 구축하였다. 우리나라 14개 지역에 대한 1954년 ~ 2013년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을 구축하고 2014년 ~ 2015년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14개 지역 중 8개 지역에 대하여 개별 모형에 비해 결합모형의 성능이 좋았으며 가뭄 예측이 개선되었다. In a situation where the severity and frequency of drought events getting stronger and higher, many studies related to drought forecast have been conducted to improve the drought forecast accuracy.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dict drought events using a single model because of nonlinear and complicated characteristics of temporal behavior of drought events. In this study, in order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he single model approach, we first build various single models capable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and other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world climate indices. Then, we developed a combined models using Stochastic Gradient Descent method among Ensemble Learnings.

      • KCI등재

        포토텔링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리터러시 경험의 의미

        정지현 ( Jeong Jihye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4

        이 연구는 포토텔링을 활용한 문화 리터러시 교수·학습을 소개하고, 문화수업에 참여한 한국어 학습자의 경험의 의미를 통하여 문화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실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I대학교 언어교육원 6급에 재학 중인 한국어 학습자 8명은 2017년 3월 31일 `전주한옥마을` 문화수업에 참여하였다. 한국어 학습자들은 `가장 흥미 있는 문화`, `고향의 문화와 유사한 문화`, `고향의 문화와 다른 문화`, `새로 알게 된 문화`에 대하여 포토텔링하였다. 그리고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복을 통해 보다 가까워진 한국 문화`, `고향의 정취를 느끼게 해 준 한옥마을`, `전주에서 배워서 알게 된 조선의 역사`라는 한국 문화 리터러시에 대한 경험의 의미를 생성하였다. 연구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교육적 실천 방안으로 문화수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eaching and learning of cultural literacy using photo-telling and to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cultural literacy through the meaning of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Field Trip. Eight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were attending the 6th grade of the I University Language Education Center, participated in the "Jeonju Hanok Village" in Field Trip on March 31, 2017, and they did photo-telling about `The most interesting culture`, `Culture similar to hometown culture`, `Culture different from hometown culture`, `Newly learned culture`. And through the focus group interviews, Korean language learners have created meaningful experiences on Korean cultural literacy such as `Intimacy of Korean culture through Hanbok`, `Hanok Village with a feeling of hometown`, and `History of Chosun learned in Jeonju`. This study suggests that a systematic consideration is necessary to more effectively utilize Field Trip as an educational practice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enhancement of cultural literacy.

      • KCI등재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체험활동 참여시간과 진로정체감 관계에서 삶의 목표의 매개효과

        정지현 ( Jeong Jihyeon ),김순규 ( Kim Soongyu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2 청소년복지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체험활동 참여시간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두 변수의 관계에서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삶의 목표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ㆍ청소년 패널조사(KCYPS)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조사 자료 중 6차년도(2015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가구소득의 하위 25% 이하 집단을 저소득가정으로 추출하여 총 453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2.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청소년의 삶의 목표가 체험활동시간과 진로정체감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체험활동 참여시간과 삶의 목표는 진로정체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체험활동 참여시간과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삶의 목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갖으며,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저소득 청소년의 체험활동 참여시간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보다 삶의 목표를 경유하여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이 더욱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과 발달을 위해 대상의 집단별 배경과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지원정책이 제공되어야하며 체험활동을 제공하는 전달체계의 전문성이 강화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goa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time in experiential activities and the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from low-income families. To this end, the sixth-year data (2015) from the elementary school fourth-grade panels of the KCYPS 2010 were used, and a total of 453 participants were analyzed. SPSS 22.0 and AMOS 23.0 programs were used,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data. Bootstrapping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time in experiential activities among low-income adolescents and life goals directly influenced the career identity. Second, it showed that not only did life goal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participation time in experiential activities and the career identity among low-income adolescents, but also it completely mediated its relation. Namely, it was identified that the indirect impact of participation time in experiential activities among low-income adolescents via life goals on career identity was much more evident than its direct effect on career identity. Based on these results, it suggests that the customized policy on career support, considering background and trait by group of low-income adolescents should be provided to shape and develop career identity among low-income adolescents. Plus, it implies that the expertise on the system serving experiential activities to low-income adolescents should be reinforced.

      • KCI등재

        교과서에 실린 예시 단어의 사용 빈도와 전형성 분석

        정지현 ( Jihyeon Jeong ),김승정 ( Seungjeong Kim ),신희성 ( Heeseong Shin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3

        이 연구에서는 2011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 14종을 대상으로 하여서 단어 형성법 단원 파생어 내용을 설명하면서 실린 예시 단어의 빈도와 전형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범위를 교과서 개념 이해 영역에서 다루어진 예시 단어로 국한하였다. 파생어 사용 빈도 분석 결과, 접두 파생어 중 사용 빈도가 높은 5개는 차례로 ‘치솟다(323), 맨발(221), 짓밟다(201), 한여름(195), 참기름(170)’이었고 사용 빈도가 0-2인 파생형이 ‘덧버선, 풋김치, 개철쭉’ 등 24개가 있었다.접미 파생어 중 사용 빈도가 높은 5개는 차례로 ‘손님(2500), 놀이(1613), 길이(1156), 높이(920), 날개(876)’이었고 사용 빈도가 0-2인 파생형이 ‘구두장이(2), 먹보(1), 잠보(1), 침질(1), 꾀보(0)’의 5개가 있었다. 전형성 분석 결과, 접사에서는 다른 범주와의 경계가 모호한 접두사로 ‘늦-’, ‘참-’이 있었고 다른 범주와의 경계가 모호한 접미사로 ‘-님’, ‘-기’가 있었다. 파생어에서는 공시적으로 ‘어근+접사’ 구성이 아닌 파생어 ‘풋내기’가 교과서에서 사용되었음이 밝혀졌다. 빈도와 전형성 분석 결과 빈도에 따라 예시 단어가 재검토되어야 하고 이때 접사 빈도와 파생어 빈도뿐만 아니라 어근 빈도 또한 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이 논의되었고 빈도와 전형성에 있어 그 정도가 불일치하는 단어의 경우 개념 이해 단계가 아닌 탐구 단계에서 다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frequency and typicality of example words used in textbooks. We use 14 textbooks corresponding 2011 educational curriculum for analysis and the unit we examined was about word formations, especially derived word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areas of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The result of analysis of derived words is summarized as follows. Top5 derived words by prefix on frequency were ‘치솟다(323), 맨발(221), 짓 밟다(201), 한여름(195), 참기름(170)’, and ‘0-2’ frequency were 24 words included ‘덧버선, 풋김치, 개철쭉’ etc. Top 5 derived words by suffix on frequency ‘손님(2500), 놀이(1613), 길이(1156), 높이(920), 날개(876)’, and ‘0-2’ frequency were ‘구두장이(2), 먹보(1), 잠보(1), 침질(1), 꾀보(0)’. The resultof analysis of typicality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prefixes which blur the boundaries were ‘늦-’, ‘참-’, and the suffixes were ‘-님’, ‘-기’. Also, There is a ‘풋내기’ which was not composed of ‘root+affix’ synchronically. We discussed about result of analysis of frequency and typicality. 1) Example words used textbook must be reexamined on results of analysis of frequency. 2) The root frequency is also concerned. 3) Words which have the discrepancy between frequency and typicality are included in areas of inquiry learning not understanding of concepts.

      • KCI등재

        시간 표현 교육 내용의 의미적 다양화를 위한 연구1 -2011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 검토를 중심으로-

        정지현 ( Jeong Jihyeon ),하빛나 ( Ha Bitna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6 문법 교육 Vol.27 No.-

        This study aims to suggest advanced contents for education of time expressions. We think one of the most important goal of grammar education is to develop linguistic sensibility. For this purpose, The 13 textbooks of middle school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sis of show that contents for time expression education have some problems. It is not emphasized that a grammatical form of time expression have a variety of meanings about tense, aspect, modality. So, We guess that students can not be aware of a different phenomenon of language in the real world, even though they studied with the textbook. We emphasized that the meaning of time expression should be diversified for those problems and proposed the list of a variety of meaning of time expression.

      • KCI등재후보

        탐구 학습 현장화를 위한 대안적 탐구 활동 설계 연구

        정지현 ( Jeong Jihyeon ),신희성 ( Sin Huiseo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7 한국어문교육 Vol.22 No.-

        이 연구는 탐구 학습 현장화를 위하여 새로운 탐구 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법 교육에서 학습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언어적 민감성을 발달시키는 것이라고 보고 이 목적을 실제로 실현시키기 위하여 탐구 학습을 교실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발전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기존의 탐구 학습과 동일한 철학적 지향점을 가지고 있는 문법 학습 모형을 분석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하여 단어 `사랑`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탐구 학습의 복잡한 절차를 단순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이를 `사랑`의 의미 분석작업에 적용시켜 새로운 탐구 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학습자들은 이 모형에 의한 학습을 통해 제시된 몇 가지 질문에 답하면서 언어의 실재 세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현상들에 대하여 인식할 수 있다. 결과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단어의 의미에 대한 탐구가 현장에서 탐구 학습을 현실화하는 데에 중요한 부분임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dvanced content for education so that it can be used for Inquiry Study. We think one of the most important goals in teaching grammar is developing linguistic sensitivity. In order to realize this, we need to develop models for inquiry study. In this study, models for studying grammar, directed toward the same philosophical goals conventional inquiry study, have been analyzed and in order to apply the result, the meaning of the word, `love(sarang)` has been analyzed. The analysis shows there could be possibility of simplifying inquiry process. So we applied this process to our new inquiry study model. With this new model, students can recognize various linguistic phenomena in the real world by answering some questions. We emphasized that Inquiry about meaning of word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realizing inquiry study in schools.

      • KCI등재

        초등학교 교과서의 순화 대상어 선정과 교과서 어휘 순화의 방향 - 국어 · 수학 · 사회 · 과학 · 도덕 교과를 중심으로

        이관규 ( Lee Kwankyu ),정지현 ( Jeong Jihyeon ),신희성 ( Shin Heeseo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9 한국어문교육 Vol.28 No.-

        본 연구는 대규모의 말뭉치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과서의 순화 대상어 선정 작업을 소개하였다. 이는 국어 순화 운동의 맥락과 초등학교 교과서 어휘 연구의 맥락을 한데 다룬 것이다. 국어 순화 운동은 1948년 시작되어 현재까지도 국립국어원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초등학교 교과서 어휘 연구는 종합적 연구와 더불어 개별 교과들에서 교육 내용에 대한 검토로 이루어지고 있다. 초등학교의 국어, 수학, 사회, 과학, 도덕 교과서를 바탕으로 순화 대상어를 선정하였다. 선정은 교과서 말뭉치에서 어휘 추출, 추출 어휘에서 순화 대상어 선별, 순화 대상어에 대한 전문가 평정의 단계를 거쳤다. 그 결과 총 1,341개의 순화 대상어와 가장 순화할 필요가 있는 4등급 259개를 필두로 3등급 309개, 2등급 427개, 1등급 346개 어휘가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각 교과별로 순화 대상어 선정 양상을 질적으로 살핀 결과 초등학교 교과서 어휘의 순화 방향에 있어 크게 두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먼저 국어과와 수학과의 경우 실제성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자료들은 순화 대상어를 수정하는 것으로 교육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사회과와 과학과의 경우 학습 내용어 중 순화 대상어가 되는 것들이 많아 이독성의 문제나 학습자 오개념 형성과 관련해서 전문가와의 협업을 필요로 한다. This study introduces the selection of target words to refine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based on a large corpus. This is a combination of the context of the Korean language purification movement and the context of studying vocabulary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arget words to refine were extracted from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hose subjects included Korean language, mathematics, social studies, science and ethics. The selection went through the following steps: extracting vocabulary from the corpus of textbooks, selecting target words from the extracted vocabulary, and experts’ evaluation and selection of target words to refine. As a result, 1,341 target words were selected. Qualitative review of the selection of the target words to refine in each subject gave two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for purifying the vocabulary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First of all, materials used for authentic purposes in subjects like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can have enhanced educational value if refined words are used. Social studies and science departments need to work with experts on the issues of readability and formation of the misconception of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