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정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제11조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준선 ( Jeong Jun Seon ),김선일 ( Kim Sun Il ) 한국경찰법학회 2021 경찰법연구 Vol.19 No.3

        제20대 국회는 마지막 본회의에서 집회·시위의 장소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결정을 반영하여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제11조를 개정하였다. 개정 법률안은 ‘원칙적 금지, 예외적 보장’이라는 헌법재판소 결정의 취지를 반영하여 국회의사당, 국무총리 공관, 각급 법원 및 헌법재판소를 집회·시위 금지장소에 포함하되, 예외적으로 집회·시위를 할 수 있는 경우를 각각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제20대 국회에서 발의되었던 집회·시위 장소에 관한 법률안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집회 장소 선택권을 적극적으로 보장해야 한다’는 방안부터 ‘헌법재판소 결정 취지에 따르면 충분하다’는 방안까지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국회는 헌법재판소의 결정 취지에 천착하여 집회 금지 대상기관의 범위를 축소·폐지에 관한 논의를 일축하고, 집회 금지 대상기관을 유지하는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집회 장소 선택권의 관점에서 대상기관이 적절하게 설정되었는지, 규율 방식을 ‘원칙적 금지, 예외적 허용’ 또는 ‘원칙적 허용, 예외적 제한’ 가운데 어떠한 태도를 보일 것인지, 개정 법률안에서 제시한 예외 사유의 성격은 무엇인지 등에 관한 논의의 여지를 남겼다. 집회 장소 선택권은 헌법상 기본권인 집회의 자유를 보장하는지를 판단하는 결정적 요소이다. 따라서, 집회·시위 금지 대상기관은 최대한 축소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집회·시위의 장소적 제한을 규율하는 방식도 ‘원칙적 보장, 예외적 제한’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고, 개정 집시법 제11조의 예외 사유도 예시 규정으로 보아 ‘대상기관의 기능과 안녕을 침해할 우려가 있는지’를 기준으로 금지 여부를 결정하여 평화적 집회의 자유를 실질적으로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At the last plenary session, the 20th National Assembly revised Article 11 of the Law of Assembly & Demonstraion, reflecting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to disagree with the Constitution on the place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The revised bill reflected the purpose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of 'prohibition in principle, exceptional guarantee'. Specifically, the National Assembly building, the Prime Minister's official residence, courts at various levels,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were included in the places prohibited from assembly and demonstration, and exceptional cases were presented. This study analyzed the bill on the venue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proposed by the 20th National Assembly. As a result of the study, various opinions were suggested, ranging from "the right to actively guarantee the choice of venue for assembly" to "it is sufficien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However, the National Assembly dismissed the discussion on the reduction and abolition of the scope of institutions subject to assembly prohibition and passed an amendment to maintain institutions subject to assembly prohibition. Accordingly, there is still room for discussion; whether the target institution is properly establish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ight to choose the venue of the assembly, what will be the attitude between "Prohibition in Principle, exceptional permission" or "Guarantees in principle, exceptional restraints", and the nature of the reasons for exception presented in the revised bill. The right to choose a meeting place is a decisive factor in determining whether the law guarantees freedom of assembly, which is a fundamental right under the constitution. Therefore,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try to reduce the number of institutions subject to prohibition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as much as possible. The method of regulating the place restrictions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should also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principle guarantees, exceptional prohibitions'. The reasons for the exception to Article 11 of the revised Law of Assembly & Demonstraion should also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re is a risk of infringing on the function and well-being of the target institution" as an example regulation. Through this, it should be possible to substantially guarantee freedom of peaceful assembly.

      • KCI등재

        경찰리더십 연구동향 분석 연구

        정준선(Jeong, Jun Seon)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9 경찰학연구 Vol.19 No.4

        경찰은 시민사회의 중심에서 수많은 상황에 직면하지만, 이를 현장에서 이끌어가는 리더에 대한 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체계적인 경찰리더십 연구와 현장 중심 교육을 수행하기 위하여 2018년 5월에 ‘경찰대학 리더십센터’를 설립하였다. 본 연구는 ‘경찰대학 리더십센터’의 연구 · 교육 방향을 모색하고, 경찰리더십 연구을 위한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경찰’ 및 ‘리더십’을 키워드로 검색된 289편의 학위 · 학술논문 가운데 109편을 선정하여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다시 중복문헌을 배제한 94편을 대상으로 리더십이론, 연구대상, 연구방법 등 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리더십 연구는 일반적인 리더십 연구 동향과 유사한 흐름으로 행정학 · 정책학 관점에서 경찰리더십에 접근하였으며, 리더십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는 없었고, 다수 연구가 단발성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경찰리더십 연구는 통합적 접근방식에 따라 일대일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대상은 경찰공무원 또는 경찰 업무 전체를 대상으로 중간관리자 또는 최고관리자의 리더십의 부하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넷째,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에 편중되었다. Police face many situations at the heart of civil society. However, the education of the leaders who lead the situation in the field is not properly performed. For this reason, the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Leadership Center’ was established in May 2018 to conduct systematic police leadership research and field-based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education of the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Leadership Center and to suggest a developmental direction for the study of police leadership. For research purposes, 109 of 289 degrees and academic papers searched under keywords for ‘police’ and ‘leadership’ were selected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nalyzed. Next, internal characteristics such as leadership theory,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were analyzed for 94 books that excluded duplicate tex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olice leadership research tended to be similar to general leadership research, and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academic papers approaching police leadership from an administrative and policy perspective. No research has been approached from a leadership perspective, and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a single fashion. Second, the study of police leadership was focused on the one-to-one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integrated approach. Third, the research target was focused on the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the leadership of the mid-level or top-level managers on the overall performance of police officers and police affairs. Fourth, the research method was concentrated on quant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 and education directions of the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Leadership Center”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basic research on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police leadership should precede. Second, qualitative and longitudinal research that reflects the police offic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n leadership is necessary. Third, research on competency models for police leadership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based on field cases are necessary.

      • KCI등재

        정보경찰의 유래에 관한 고찰 - 임시정부 시기 경찰활동을 중심으로 -

        정준선(Jeong, Jun Seon)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9 경찰학연구 Vol.19 No.2

        최근 정보경찰이 과거 정부에서 있었던 불법적인 행위로 비판을 받고 있지만, 정보경찰의 시작을 일제강점기 고등경찰로 상정하여 비난하는 것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정보경찰의 유래에 관한 연구가 사료(史料)의 부족으로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던 상황에서, 임시정부 시기 경찰활동에 관한 자료가 다수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밝혀진 사료와 문헌을 기초로 일제강점기 고등경찰에서 정보경찰이 유래하였다는 견해를 재고찰하는 한편, 정보경찰의 유래에 임시정부 시기 경찰활동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일제강점기 고등경찰은 일본인에 의해, 일본을 위하여 이루어진 경찰활동으로 대한민국 정보경찰의 유래가 될 수 없었지만, 임시정부 시기 경찰활동은 법적․제도적 근거를 갖추고 실질적인 활동을 수행하였으며, 오늘날 정보경찰의 임무 및 역할과 기능적으로 유사하였다. 형식적․조직적 측면에서도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밝힌 헌법 前⽂의 해석을 통해 간접적으로 임시정부 시기 경찰활동과 오늘날 정보경찰의 연결점을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임시정부 시기 경찰활동에서 오늘날 정보경찰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정보경찰의 자존감을 회복하는 한편, 과거의 잘못된 행태를 반복하지 않기 위한 정신적 토대로 자리잡기를 바란다. Recently, the intelligence police have been criticized for their illegal activities in past governments. However, the origin of the intelligence police is ‘Japanese occupation Kōtō Keisatsu’, to denounce the police is a problem. The study of the origin of the intelligence police was conducted on a limited basis due to a lack of historical data. However, a number of data on police activities during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were re-examined. In this study, based on historical data and literature, ‘Japanese occupation Kōtō Keisatsu’ identified the origins of the intelligence police claims were reviewed. Then, we found out if the origin of the intelligence police could be seen as a police activity during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s a result of the review, ‘Japanese occupation Kōtō Keisatsu’ could not be the origin of the intelligence police of the Republic of Korea, because it was a police activity that the Japanese performed for Japan. However, police activities during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were carried out with legal and institutional basis and were functionally similar to the duties and roles of the current intelligence police. In terms of form and organization, we could indirectly find the link between the police activities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intelligence police of today by interpreting the text of the Constitution that stated that it inherits the rule of law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Now, the police activity during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s the origin of the intelligence police. This will serve as the basis for restoring the pride of the intelligence police and not repeating past wrongdoings.

      • KCI등재

        집회·시위 관리정책에서 ‘한국형 대화경찰’ 제도의 의미

        정준선(Jeong, Jun Seon)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0 경찰학연구 Vol.20 No.2

        2016년의 촛불집회 이후 한국 경찰의 집회·시위 관리정책은 ‘자율과 책임에 기반한 평화적 집회·시위 보장 및 대응’으로 진화하였지만, 경찰개혁위원회에서 권고한 평화적·비폭력 집회·시위를 최대한 보장하기 위한 근본적인 변화를 달성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경찰은 집회·시위 현장의 소통 창구이자 갈등의 완충지대의 역할을 담당하는 ‘한국형 대화경찰’ 제도를 도입하였다. ‘한국형 대화경찰’ 제도는 2016년 촛불집회에서 시민은 집회·시위의 자유를 누리고 경찰은 이를 보호하는 이상적인 집회·시위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경험, 집회·시위 참가자를 이성적인 판단·소통이 가능한 집단지성을 소유하고 있어 대화를 통해 불법·폭력 상황을 스스로 자정할 수 있다는 신뢰를 바탕에 둔 이론적 기반의 전환, 시민 의식의 성장과 함께 변화하는 다양한 갈등 양상에 대해 인권과 안전의 관점에서 유연하게 대응할 필요성 등이 어우러져 만들어낸 새로운 형태의 집회·시위 관리정책이다. 집회·시위에서 대화와 조정의 역할을 담당하기 위하여 스웨덴의 대화경찰을 본받아 도입한 제도이지만, 그 발전적 철학과 장점은 수용하되 한국의 상황에 맞추어 개념과 역할을 재정립한 정보경찰 중심의 집회·시위 관리정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After the candlelight vigils in 2016, the Korean police’s policy of Managing Assembly and Demonstration evolved to ‘guarantee and respond to peaceful rallies and demonstrations based on self-reliance and responsibility’. However, there was a limit to achieving fundamental changes to ensure peaceful and nonviolent assembly and demonstration as recommended by the police reform committee. To compensate for this, the police introduced the “Korean Dialogue Police” system, which was responsible for providing communication channels and serving as a buffer zone for conflicts at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sites. The “Korean Dialogue Police” system is a new form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management policy created by combining the following three elements : (1) The experience that citizens enjoy freedom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in 2016 and the police can conduct ideal assembly and demonstration to protect them; (2) the conversion of theoretical bases based on the trust that they can self-correct illegal and violent situations through dialogue; and (3) the need to flexibly respond to various conflicts that change with the growth of civic consciousnes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ights and safety. The system was adopted after Sweden’s “Dialogue Police” to play the role of dialogue and coordination in assembly and demonstration. However, while embracing its advanced philosophy and merits, the concepts and roles were re-established to suit the situation in Korea.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Policy of Managing Assembly and Demonstration centered on intelligence police.

      • KCI등재

        경찰 디지털증거분석관 역량모델 개발

        오소정(Oh SoJung),정준선(Jeong JunSeon),조은별(Cho EunByul),김기범(Kim GiBum) 한국정보보호학회 2023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33 No.4

        범죄수사에서 디지털증거가 중요해지면서 법정에서 다툼이 많아지고 있다. 매체가 다양화되고 분석범위가 확장되면서 디지털포렌식에 대한 전문성 수준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디지털증거분석관의 역량을 정의하거나 전문성을 판단하는 역량모델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디지털증거분석관에게 필요한 역량을 도출한 일부 연구가 있었으나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FGI, 델파이 조사 등의 방법론을 활용해 총 9개의 역량군 25개의 역량평가 요소를 정의하였다. 구체적으로 디지털포렌식 이론, 디지털증거 수집 및 관리, 디스크포렌식, 모바일포렌식, 영상포렌식, 침해사고포렌식, DB포렌식, 임베디드(IoT)포렌식, 클라우드포렌식으로 규정하였다. 디지털증거분석관 역량모델은 향후 선발, 교육훈련, 성과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digital evidence becomes more important in criminal investigations, disputes are increasing in court. As media diversifies and the scope of analysis expands, the level of expertise in digital forensics is also increasing. However, no competency model has been developed to define the capabilities of digital evidence examiners or to judge their expertise. There have been some studies that have derived the capabilities necessary for digital evidence examiner, but they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25 competency evaluation factors in a total of 9 competency groups were defined using methodologies such as expert FGI and Delphi survey. Specifically, it was defined as Digital Forensics Theory, Digital Evidence Collection&Management, Disk Forensics, Mobile Forensics, Video Forensics, infringement forensics, DB Forensics, Embedded(IoT) Forensics, and Cloud Forensics. The digital evidence examiner competency model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recruitment, education and training, and performance evaluation in the future.

      • 한글 freeWAIS 구현

        김지승(Ji Seoung Kim),오정석(Jeong Seok Oh),정준선(Joon Sun Jung),이준호(Joon Ho Lee),이상호(Sang Ho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B

        정보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정보화 시대에 효율적인 한글 정보 검색 시스템에 대한 요구는 매우 절실하다. 또한 개인 정보 관리를 위한 한글 정보 검색 시스템의 부재는 일반인들이 다량의 개인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는데 난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freeWAIS의 기능 및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freeWAIS와 HAM의 형태소 분석 모듈을 결합하여 한글 freeWAIS를 구현하였다. 또한 freeWAIS로부터 클라이언트와 서버 환경에서 필요로 하는 프로토콜 관련 모듈을 제거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발이 용이하도록 검색관련 API를 재구축하여 개인용 정보 검색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