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PS 모형을 활용한 효과적인 역할 분담 아이디어 발상 프로세스 제안

        정글지(Gulji Chung),김아현(Ahhyun Kim),성주현(Juhyun Sung),강수영(Suyoung Kang),최진솔(Jinsol Choi)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2

        신사업 발굴 및 차별화된 아이디어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이에 대하여 창의력이 요구되는 아이디어 발상법이 주목 받고 있다. 다양한 사용자 참여적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고 있지만, 초, 중, 고 교육 분야에 치중되어 있으며 실제 업무에서 활용할만한 적절한 프로세스가 부족하다. 또한, 창의성이 요구되는 아이디어 발상에 대한 문제는 개인을 넘어서 집단 구성원 간의 협력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PS (creative problem solving) 모형을 바탕으로 참여자들의 적절한 역할분담을 통해 구체적이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발상할 수 있는 프로세스와 물리적 Tool-Kit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new business development and differentiated ideas. Therefore, much attention is focused on methods of idea generation, which requires creativity. Although research is in process regarding various user-participating methodologies, these studies are concentrated on the field of primary/secondary education and there is a lack of processes appropriate for actual business affairs. Also, idea generation requiring creativity can achieve synergy effect through cooperation of group members. Thus, in this research, I would like to propose, based on CPS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a process where participants can generate specific and creative ideas through appropriate role sharing and a physical Tool- Kit.

      • 인공지능 윤리(AI Ethics) 원칙 기반의 윤리적 UX 콘텐츠 사례 연구

        정글지(Gulji Chung),정재민(Jaemin Chung),송채은(Chae eun Song),전수진(Soojin Jun)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정보 격차가 가속화됨에 따라 차별, 혐오와 같은 무형의 사회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디지털 환경에 대한 윤리적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AI Ethics(인공지능 윤리) 연구들이 국제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AI 가 윤리적이어야 한다는 사회적 동의는 충분히 이루어졌지만, 이 추상적인 개념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구체화해야 할지 논의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디지털 서비스를 중심으로 사례 조사를 진행하였다. 사례 조사를 통해 윤리적 영역에 포함되는 콘텐츠를 발굴하고 이를 UX 관점으로 재정의하여 인공지능 윤리의 실질적 적용 원칙을 인터페이스 설계 관점의 키워드로 발굴했다.

      • 프라이버시 데이터 수집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감정적 비교: UX 디자인 관점에서의 분석

        정글지(Gulji Chung),김하연(Hayeon Kim),전수진(Soojin Jun)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최근 기업은 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각종 데이터를 수집한다. 사용자는 서비스 이용을 위해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개인의 데이터 수집을 허용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서비스 사례 중 프라이버시 데이터와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시각적 표현 양식에 따라 4 가지 유형으로 구분했다. 그리고 유형에 따른 사용자 감정 경향을 조사하였다. 인터페이스 시각화 방식은 사용자들 간에 다른 감정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결과는 개인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로 구현할 때 고려해야 할 디자인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기여한다.

      • 디자인 시스템 맥락에서의 기능 중요도에 따른 UX 라이팅 사례 연구

        정주미(Jumi Jeong),정글지(Gulji Chung),송수진(Sujin Song),전수진(Soojin Jun)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고도화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업하며 하나의 공통된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그리고 그것을 규격화하여 일종의 매뉴얼로 제안하는 형태로 디자인 시스템이 발전되어왔다. 디자인 시스템은 사용자의 경험을 더 나은 형태로 제공하기 위해 특정 상황에서 가장 적합한 UI 컴포넌트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와 함께 인터페이스에 표기되는 모든 언어적 표현을 말하는 UX 라이팅의 역할 또한 함께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시스템 차원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UX 라이팅을 유형화하여 일관되고 효율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도록 돕는 데 있다. 이를 위해, UX 라이팅의 사용자가 당면한 작업을 완료하도록 돕는 관점에 집중한다. 화행의 종류가 사용자의 작업수행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디자인 시스템에서 기능 중요도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사례를 분석하여 기능 중요도와 직간접화행을 연결 지어 UX 라이팅을 유형화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유형화한 내용을 검증하며 추가논의 사항을 도출했으며, 향후 기존 디자인시스템의 발전과 함께 진행할 수 있는 UX 라이팅 전략을 정립하는 연구를 진행해보고자 한다.

      • 관계에 따른 한국어 특성을 반영한 UX writing framework

        송수진(Sujin Song),정글지(Gulji Chung),정주미(Jumi Jeong),전수진(Soojin Jun)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UX 라이팅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UX 라이터들은 서비스가 어떠한 보이스톤으로 말하고 어떠한 단어와 표현을 사용할지 고려해야 하며, 이는 기업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형성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 이미 해외에서는 전략적 보이스톤 구축을 위한 가이드라인과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언어의 차이 때문에 해외 사례를 국내에 바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사유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시장에 적용할 수 있는 한국어 UX 라이팅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관계에 따라 사용하는 화법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서비스와 사용자가 맺는 관계 정의가 필요하다. 대인관계 이론에 대한 기존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서비스와 사용자 간의 관계를 2 차원 형태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서비스와 사용자 간의 관계를 정의하고 보이스차트 프레임워크에 대입하였다. 본 연구의 프레임워크는 한국어의 언어적 특성을 문법, 어휘, 화행, 음운 관점에서 반영한 것으로 특히 높임법 표현에 주목하여 구성되었다. 또한 기존의 언어 형식외 이모지, 해시태그와 같은 ‘디지털 언어’도 추가하였다. 전문가들은 프레임워크를 통해 한국어 서비스 UX 라이팅 업무 시에 관계에 따라 달라지는 높임법이나 공손 표현 사용 여부를 보다 쉽고 체계적으로 설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Octopus Launcher: 중증 지체장애인을 위한 전동 휠체어 조이스틱 기반 스마트폰 컨트롤 솔루션

        안현진(Hyunjin Ahn),이승현(Seunghyun Lee),정글지(Gulji Chung),강호민(Homin Kang),박철준(Cheoljun Park),조영록(Youngrok Cho)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손이 불편한 중증 지체 장애인의 경우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는데 반해, 이에 대한 뚜렷한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증 지체 장애인에 대한 사용자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도출한 Design implication 을 통해 전동 휠체어 조이스틱을 이용한 스마트폰 컨트롤 솔루션인 Octopus Launcher 를 제안한다. Octopus Launcher 는 전동휠체어와 스마트폰을 연동하기 위한 에볼루션 박스와 Android OS 기반 Launcher 형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이스틱 조작 방식에 최적화된 UI 를 제공한다. 본 연구를 통해 손이 불편한 중증 지체 장애인들의 정보 격차를 해소하고 이를 통해 장애인의 사회참여를 보다 용이하게 할 것이다. The Motor impairments who have problem with using their hands are unable to use touch screen interface well but, there"s no proper actions for them. In this study, we implement the user ability test and found out the design implication. By this, we suggest the smart phone control solution which control by the joystick on an electric wheelchair, "Octopus Launcher". The "Octopus Launcher" is made up with evolution box which helps interwork with smartphone and wheel chair, and the Launcher application based on Android OS and it provide the user interface which is optimize with the way of controlling the joystick. By this study, it will reduce the digital divide to the motor impairments who are unable to use their hands well. And also, it will help disable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society.

      • DOWELL: 상지운동장애인을 위한 Dwell 기반 스마트폰 조작 솔루션

        안현진(Hyunjin Ahn),윤재석(Jaeseok Yoon),김기범(Kibum Kim),정글지(Gulji Chung),최현빈(Hyunbin Choi),마지연(Jiyeon Ma)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2

        몸의 움직임이 불편한 장애인들은 자신들의 장애유형에 맞는 특수한 보조기구를 통해 컴퓨터를 사용해왔다. 그들 중에서도 손/팔의 움직임이 불편한 상지장애인은 버튼의 누르는 동작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보조기구와 함께 Dwell-time 방식 등의 버튼 대체 소프트웨어를 사용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스마트폰에 맞는 버튼 대체 소프트웨어가 없어 상지장애인이 스마트폰을 사용할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지운동장애인을 위한 Dwell 기반 스마트폰 조작 솔루션인 DOWELL 을 소개한다. 기존에 사용하던 컴퓨터용 보조기구를 스마트폰에 연결하고 DOWELL 을 실행하면 버튼 없이 일정시간 멈추는 동작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다. DOWELL 은 동작 정확도가 떨어지는 장애인을 위해 네 방향 모서리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또한 스마트폰의 작은 화면 특성을 감안하여 펼침 메뉴를 사용하였고 다양한 입력 제스쳐를 제공하여 제약 없이 일반인처럼 스마트폰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DOWELL 을 통해 상지운동 장애인들도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장애인의 자립심 증대 및 정보격차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disabled who cannot as easily move their bodies have used the computer with assistance devices specially developed for their type of disability. Among the disabled, people with upper limb disorders, who have difficulties moving their hands and arms, have used button substitution software such as Dwelltime with assistance devices since they cannot press the button. However, these people cannot as of yet use smartphones because there is no button substitution software for smartphones. In this research, I would like to introduce DOWELL, a smartphone control solution based on Dwell for people with upper limb disorders. If a person with upper limb disorders connect the assistance device that already use to the smartphone a nd activate D OWELL, heors he will be able to use the smartphone without buttons by just stopping movements for a predetermined time. DOWELL has built its interface using fourdirection corners for the disabled who lack movement accuracy. Also, considering the small-sized screen of smartphones, we have used pop-up menus and provided various input gestures so that the disabled can use all functions that people without disabilities can use. With DOWELL, people with upper-limb movement disorder will be able to use smartphones, which will contribute to an increase in the disabled people’s sense of independence and a reduction of information ga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