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온도와 수분 확산에 따른 Hydroxyl-terminated Polybutadiene 기반 복합소재의 기계적 특성 평가

        정재희(Jaehee Jeong),김일현(Ilhyun Kim),문성욱(Sungwook Moon),최병호(Byoung-Ho Choi) 대한기계학회 2021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45 No.3

        접착제나 추진제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사용되는 HTPB(hydroxyl-terminated polybutadiene) 기반 복합소재에 대하여 저장환경을 고려하여 온도와 습도 조건에 대한 노화 물성을 평가하였다. MIL-STD-810G를 참고하여 상온(23°C), 45°C, 64°C에서 확산 실험과 각 온도 조건에 상대습도를 변화시켜서 노화시킨 후 인장시험을 하였다. 그 후 FT-IR과 XPS 분석을 통해 열화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온도가 증가할수록 수분의 확산계수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온 환경에서 강성이 증가함을 보였으며, 특히 고습 환경에서 기계적 물성의 급격한 감소를 확인하였다. 습도와 온도 조건에 의한 노화 현상으로 HTPB 기반 복합소재의 물성 저하를 통해 자연환경에서 저장 시 수분의 확산과 온도에 의한 산화 현상에 의해 최종 제품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aging properties of hydroxyl-terminated polybutadiene (HTPB), which is used in various industrie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Diffusion tests were performed at various temperatures based on the MIL-STD-810G specification, and tensile tests were performed under each temperature with different relative humidity conditions. The degree of degradation was quantitatively analyzed through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water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Moreover, the stiffness increased under a higher temperature condi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decreased rapidly in a high-humidity condition. Structural defects may occur as a result of hygrothermal degradation of HTPB-based composite from moisture diffusion and temperature-induced aging. Therefore, research on aging of HTPB-based composite under various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is quite important practically to predict the precise lifespan of industrial products made of HTPB-based composite.

      • KCI등재

        국내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프로토타입 활용 현황과 사용자 참여 프로토타입 테스트 개선 방안

        정재희 ( Jaehee Chung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1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5 No.1

        연구배경 최근 들어 혁신의 핵심 요소로서 프로토타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무에서 프로토타입은 제한적으로 활용되며, 그에 관한 연구도 미비하다. 본 연구는 기업의 프로토타입 제작과 활용의 현황을 살펴보고, 프로토타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다양한 규모의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평균 경력 12년의 디자이너 8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심층 인터뷰는 프로토타입 종류, 목적, 중요도, 개선점에 관한 설문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문제 탐색, 해결책 도출, 표명, 의사소통, 필터, 평가의 목적으로 프로토타입을 활용하였다. 기술의 발달로 기존보다 더 빈번하게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활용함에도 불구하고, 디자인 초기 문제 탐색의 단계에서 프로토타입 활용은 미흡하였다. 또한 혁신에서 강조하는 사용자 참여 프로토타입 테스트는 조직, 시스템, 프로세스의 문제로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초기 기획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프로토타입 툴의 개발과 사용자 참여 프로토타입 테스트의 활성화를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결론 프로토타입을 제한적으로 활용하는 기업의 조직과 시스템의 문제를 살펴봄으로써, 프로토타입 테스트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운영 전략과 구체적 개선 방안을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Background In recent years, despite th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prototypes as a key element of innovation, prototypes are limited in practical use, and research on them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company's prototype production and use, and to propose an improvement measures to use prototypes more effectively.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designers with an average of 12 years of experience working in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companies of various sizes. The in-depth interview consisted of a questionnaire on type, purpose, importance, and improvement measures of prototypes. Results Both manufacturing and service companies used prototypes for the purposes of problem discovery, solution derivation, presentation, communication, filter, and evaluation. Although prototypes were produced and used more frequently than before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use of prototypes was insufficient in the early stage of design. In addition, the user participation prototype test emphasized in innovation was not sufficiently implemented due to organization, system, and process issu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totype tool that can be used in the early stage and to establish a system to reinforce user participation prototype test. Conclusion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operational strategy and concret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effective use of prototypes by investigating the problems of organizations and systems in companies with limited use of prototypes.

      • KCI등재

        사용자 참여 아이디에이션에 있어서 디자이너의 퍼실리테이터 역할이 아이디어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정재희 ( Jaehee Chung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0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4 No.2

        연구배경 4차 산업혁명과 함께 서비스업은 중요한 산업 분야로 인식되며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다. 서비스 디자인의 차별점 중의 하나는 참여 디자인이다. 참여 디자인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역량과 효과적인 협업이 중요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아이디에이션 단계에서 참여 디자인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디자이너가 어떠한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디자이너 12명과 사용자 12명이 6팀으로 나뉘어 세가지 디자인 과제를 대상으로 20분씩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은 1)아무 역할도 하지 않는 경우, 2)참여자의 의견을 통합하는 경우, 3)사용자의 입장을 강조하는 경우의 세 가지 방법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세 가지 방법론 모두 아이디어의 독창성, 유용성, 다양성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 아이디어 중 최상위 아이디어 대부분은 디자이너가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을 수행한 경우에서 도출되었다. 전체 결과를 종합하면, 참여 디자인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사용자가 자신의 입장에서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결론 본 연구는 서비스 디자인 아이디에이션의 참여 디자인에 있어서 효과적인 세부 협업 방법을 살펴보았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참여자의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서로 다른 세부 설정과 환경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Background Along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ervice industry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industry field and is receiving interest and attention. One of the differences in service design is participatory design. In order for the participatory design to be effective, individual competence and effective collaboration are important and som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kind of facilitator's role a designer should play in order for the participation design to be effective in the ideation phase. Methods 12 designers and 12 users formed six teams and conducted an ideation for 20 minutes on three different tasks. The facilitator's role is divided into three ways:1)no role, 2)integrating the opinions of participants, and 3)emphasizing the user's perspective. Results All three methodologi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originality, usefulness and diversity of ideas. But most of the top ideas come from the case where the designer acted as a facilitator. Putting the overall results together, the most effective way to participatory design is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users can derive ideas from their own perspective.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examined effective collaborative methods in the participatory design of service design ideation.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subsequent studies on different detailed settings and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will be continued.

      • KCI등재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에 있어서 문제 정의의 유형이 디자인 결과물에 미치는 영향 ; 자율주행 자동차 디자인을 중심으로

        정재희 ( Jaehee Chung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9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3 No.2

        디자인 씽킹 방법론에서 고객 조사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분류하여 상위 개념으로 유형화하는 문제 정의의 단계는 디자이너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문제 정의의 단계는 디자인 해결책의 방향성을 결정짓는 단계로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도르스트(Dorst)가 주장한 문제 정의의 두가지 프레이밍인 귀추법 1과 귀추법 2가 디자인 결과물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귀추법 1은 고객 가치와 작동 원리가 주어졌을 때 대상을 창조하는 것으로, 현재의 조건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개선된 제품 또는 서비스를 디자인하는 것이고, 귀추법 2는 고객 가치만 주어졌을 때 그것의 대상과 작동 원리를 모두 다 새롭게 창조하는 것으로, 전혀 새로운 혁신적 디자인 해결책을 도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은 산업디자인학과 3~4학년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자율주행 자동차 관련 디자인”을 주제로 4회의 아이디에이션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귀추법 1과 귀추법 2의 문제 정의의 방식을 사용하여 총 163개의 아이디어를 도출하였고, 도출된 아이디어를 유창성, 유연성, 희귀성, 독창성, 유용성의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결론적으로 귀추법 2는 귀추법 1보다 더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는데 유리하였다. 본 연구는 독창적인 디자인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한 효과적인 문제 정의의 방식을 증명해 보임으로써 디자인 씽킹의 방법론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In the define phase of the design thinking process, designers classify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consumer research into abstract themes using their subjective judgment. Although problem definition is a strategically important activity tha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design solution, research on this topic has been minimal, until recently. This study examined how Abduction-1 and Abduction-2, two alternate approaches to problem definition formulated by Kees Dorst, can affect the quality of design outcomes. On the one hand, Abduction 1 is the approach to create objects when customer values and operating principles are given, deriving relatively improved products or services while accepting the current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Abduction 2 is the approach to create both objects and working principles when only customer values are given, deriving completely new innovative design solutions. The author conducted four ideation workshops with 25 thirdand fourth-grade students, majoring in industrial design. A total of 163 ideas were derived from the ideation workshop using Abduction-1 and Abduction-2. The ideas were then evaluated in terms of fluency, flexibility, infrequency, subjective originality, and usefulness. In conclusion, Abduction-2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Abduction-1 in deriving more original ideas. This study concluded that Abduction-2 is the more effective approach to problem definition for better design outcomes and also contributed to the elaboration of design thinking methodology.

      • KCI등재

        2030세대가 중시하는 공예의 속성

        정재희 ( Jaehee Chung ),박새봄 ( Saebom Park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0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4 No.2

        연구배경 최근 국내 공예 산업은 중장년층이 주요 고객이었던 장인 중심의 명품 공예에서 젊은 세대가 주축이 되는 현대적이고 일상적인 공예로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공예 산업이 지속적으로 부흥 발전하기 위해서는 고객 가치 중심의 디자인적 변화와 생산 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예 산업의 활성화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하여 2030세대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공예의 속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서 공예의 속성을 살펴본 후, 현대적 의미의 공예의 속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공예가와 소비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아홉 개의 속성을 도출하였으며, 2030세대 8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2030세대는 품질의 우수성과 마감의 우수성을 가장 중요한 공예의 속성으로 생각하였는데, 이는 공예 제품에서 고급스러움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오브제성과 실용성을 중시하였는데, 이는 제품의 기능적 측면을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독창적인 장식적 요소가 가미된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 외는 아날로그적 감성, 예술성, 지속가능성, 대중성, 유일무이성의 순으로 공예의 속성이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새로운 구매 계층인 2030세대가 공예에서 중요시하는 속성이 무엇인지를 규명함으로써 공예 산업이 추구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공예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소비자의 기대 가치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효율적인 생산, 유통, 판매 시스템에 대한 성공 사례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Background In recent years, the craft industry is expanding from craftsman-centered luxury crafts to modern. In order for the craft industry to revive and develop further, it is necessary to pursue customer-oriented design and to change production 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roperties of crafts that 2030 generations value. Methods First, after examining the properties of craft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craftsmen and consumers to understand them in a modern sense. The nine properties of crafts were finally drawn, and a survey was conducted for 88 people in 2030 generations. Results The 2030 generations considered quality and finish excellence as the most important, which is interpreted to consider high quality as the most important in crafts. Next, the emphasis was placed on objet and practicality, which is interpreted to favor the addition of original decorative elements,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unctionality. Others were in the order of analogue sense, artistry, sustainability, popularity, and uniqueness.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ed the direction that the crafts industry should pursue by identifying what properties the 2030 generations value in crafts.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the craft industry, various studies on the expected value of consumers and on efficient systems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ales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 IoT 디바이스 기반 공공서비스 데이터의 지능형 예측 모델

        정재희 ( Jaehee Jung ),지민근 ( Mingeun Ji ),이강만 ( Gangman Y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2

        수도, 전기, 가스와 같은 공공서비스의 과금을 위하여 전통으로 행해진 방문 검침 방법은 오류 및 과금 방식의 한계가 있다. 수동적인 검침 방법을 극복하기 위하여 계량기를 디지털화하여 원격 검침이 가능한 시대로 발전되고 있다. 원격 검침으로 쌓여진 데이터를 분석하여 누수, 누전과 같은 비정상적 상황에 대한 감지가 가능하면 공공서비스 수요 관리 및 대책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안하고자 하는 방법은 세대별 공공서비스 사용량에 대하여 각 세대별 분석을 위하여 각 세대나 업소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비정상적 사용 감지에 대한 예측 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 초음속 유동에서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금속 나노 입자의 생성

        정재희(Jaehee Jung),박형호(Hyungho Park),김상수(Sangsoo Kim) 대한기계학회 2004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4 No.4

        The effects of additive ions on the generation of metallic nanoparticles were evaluated using a corona induced supersonic nozzle. Applying the corona discharge to the nanoparticle generator, a tungsten needle and the supersonic nozzle are used as an anode electrode and a cathode electrode respectively. The corona ions act as nuclei for the silver vapor condensation. The ion density was controlled precisely as varying the applied voltage between electrode and nozzle. The mean diameter of the silver particle decreases as the ion density increases. However, the number concentration of the silver particle tended to increase with the ion density. The size distribution is more uniform as the ion density increases.

      • KCI등재

        디자이너의 공감 능력과 공감 시도가 디자인 결과물에 미치는 영향

        정재희 ( Jaehee Chung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9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디자인 씽킹 방법론의 세부 단계 중 공감의 단계가 디자인 결과물의 창의성과 유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험을 통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감은 디자인 씽킹 방법론에서 프로세스의 첫 단계로 강조되고 있지만, 고객에 대한 공감이 실제 디자인 결과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자는 25명의 산업디자인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실험 참가자의 공감 능력과 새로움 추구 성향을 측정하였다. 그 후 실험 참가자들은 각각 체험, 관찰, 인터뷰의 고객 조사를 진행한 후,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아이디어는 창의성(유창성, 유연성, 희귀성, 주관적 독창성)과 유용성을 기준으로 질적 방법과 양적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공감 능력은 아이디어의 유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나, 서로 다른 고객 조사 방법은 참여자의 공감 시도와 아이디어 결과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감 시도가 높고 새로움 추구 성향이 높을수록 아이디어의 창의성은 낮아졌다. 결론적으로 서로 다른 고객 조사 방법은 디자인 결과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디자이너의 공감 능력이 디자인 결과물의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나친 공감 시도는 디자인 결과물의 창의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디자이너가 디자인 문제의 조건과 상황에 맞는 다양한 고객 조사 방법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유용한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해 자신의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pathize phase i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on the creativity and usefulness of the design outcomes. Although empathy is emphasized as the first step i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ow empathy for consumers affects actual design outcome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included 25 industrial design students. Their empathy ability and novelty-seeking tendency were measured. Participants were asked to generate ideas after conducting consumer research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role playing, observation, and interview. The ideas were evaluat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based on creativity(fluency, flexibility, infrequency, subjective originality) and usefulness. The results showed that empathy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fulness of ideas. However, different consumer research method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articipants' empathy trial and ideas. Further, as empathy trials and novelty-seeking tendency increased, creativity of ideas decreased. In conclusion, different consumer research methods do not affect design outcome; however, the empathic ability of designers influences the usability of design outcomes. Additionally, excessive empathy trial may negatively affect the creativity of the design outcome. This study shows that designers should utilize various consumer research methods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condition and situation of the design problem and also ne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ir empathy ability in order to produce more useful design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