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수몽山水蒙’괘의 재해석

        정재걸(Jung Jae-Geol) 동양사회사상학회 2008 사회사상과 문화 Vol.17 No.-

        이 연구는 주역의 산수몽괘를 교육학적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산수몽괘는 전통적으로 아동교육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괘로 이해된다. 이 연구에서는 몽괘를 미발지성未發之性을 함양하는 성인聖人교육의 출발로 보고, 각 효를 성인교육을 위한 단계와 각 단계에서의 유의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This study aims at reinterpreting Meng in I Ching which symbolize the education of children in traditional society. I interpreted Meng as Unrevealed Truth(未發之性) that can make children to become a Saint(聖人). And the commentary on the individual lines of Meng as the stage to become a Saint and as the alerts at dangers on every stages.

      • KCI등재

        죽음교육에 대한 일 연구 - 화엄의 사사무애법계事事無碍法界를 중심으로 : 죽음교육에 대한 일 연구

        정재걸(Jung Jae-Geol) 동양사회사상학회 2006 사회사상과 문화 Vol.13 No.-

        탈근대의 새로운 문명을 위한 청사진을 마련하는 것은 우리 시대, 우리들의 과업이다. 그리고 탈근대 교육의 청사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나와 존재계의 근원적 통일성을 깨닫는 깨달음 교육이다. 전근대교육에서 깨달음 교육은 주로 종교교육이 담당하였다. 그러나 소수의 진실한 사제들을 제외하고는 종교는 대다수의 민중에게는 하나의 지배이데올로기와 신분적 족쇄로 작용하였다. 근대에 이르러 종교교육은 교육의 세속화라는 이름으로 공교육에서 제외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죽음교육은 깨달음 교육의 유일한 수단일지도 모른다. 화엄의 사사무애법계는 죽음교육의 단계를 잘 표현하고 있다. ‘죽음이 없다’라고 하는 이법계의 논리를 통해 죽음을 삶의 끝이라고 보는 사법계, 즉 근대적 죽음관을 극복하도록 하고, 그러한 이법계의 죽음 없음이 사법계의 죽음 있음과 걸림 없음을 보여 준다. 최종적으로 삶과 죽음이 지금, 여기서 걸림 없이 존재함을 깨닫도록 하는 것이 바로 죽음교육이다. 이러한 죽음교육을 통해 우리는 우리의 삶이 삶과 죽음이라는 한 토막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님을 깨달을 수 있고, 나아가 삶과 죽음이라는 양 둑을 사이에 두고 사랑의 강이 끝없이 흘러가는 삶=죽음을 살아=죽어가게 될 수 있을 것이다. A very significant task given to people living in this age is to make a blueprint for a new civilization transcending the modern one. Located in the center of this blueprint is the need to educate people to realize the fundamental unity between the self and the universe. In the pre-modern age, religion took responsibility for helping people to realize this unity, but in too many cases religion worked as an ideology for governing people and a shackle for maintaining the existing social hierarchy. In the modern age, education through religion was seperated from the public education under the name of popularizing education. Shin Shih Wu Ai(事事無碍) in Hua-yen(華嚴) shows the steps of death education clearly. Death education refers to the following three steps: first, to make people overcome the modern view of death with the theory of a world of Li(理法界) which says there is no death; second to make people understand that the theory of a world of Li(理法界) can, without contradiction, work together with that of a world of Shih(事法界) which says there is death; third, to make people realize that death and life do exist here and now without contradiction. Through this death education we will be able to see that we don"t live a life as one of the two separate entities, life and death but live a life like a river flowing endlessly between the two banks of life and death.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의 가족과 불교의 수행공동체

        정재걸 ( Jung Jae-geol ) 동양사회사상학회 2018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3

        이 논문은 인공지능 시대의 가족은 수행공동체가 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수행공동체로서의 가족이 되기 위해 살펴보아야 할 기본적인 조건들을 불교의 승가공동체에서 찾아본 것이다. 2장에서는 수행공동체로서의 가족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가족 구성원의 자기실현 혹은 개성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살펴보았고, 3장에서는 불교의 수행공동체인 승가의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4장에서는 승가가 수행공동체로서의 가족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았고, 마지막 5장에서는 오늘날의 수행공동체와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This thesis aims at searching the basic conditions for the AI period family to become a cultivating community. In chapter 2 I sought the premise that the family should go through the Self-realization or Individualization. In chapter 3 I found out the peculiarity the buddhist community and in chapter 4 I looked for the implication which the buddhist community could teach the AI period family community. In chapter 5 I searched for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cultivating community in these days.

      • KCI등재

        탈현대 사회와 교육에서의 종교성 회복

        정재걸(Jung, Jae-Geol) 한국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 Vol.42 No.-

        This study aims to explain why we must recover religionship education for after-modern society. The modern civilization built on three foundations. Those were individual as atomic particles, reason as the most strong power every individual could exercise, and the work which give to the worker their ego-identity. But the information revolution in this era result in breaking these three foundations. If we can see this changes at optimistical view, we can make a new civilization which Buddha, Jesus, and Confucius wanted us to mak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make the new civilization is to find a new self-identity according to disappearing the ego-identity which accompanied by his work. We can give a new self-identity to new generation by religionship education. Through religionship education we can give away the concept of individual as separate and independent particles. Then we can get a cosmetic self-identity in which everything in this cosmos connected each other as the Indra net.

      • KCI등재

        『주역』 화천대유괘火天大有卦의 교육학적 의미 : 버림 교육을 위한 시론試論

        정재걸(Jung, Jae-Geol) 東洋社會思想學會 2011 사회사상과 문화 Vol.23 No.-

        이 연구는 주역周易의 화천대유괘火天大有卦를 교육학적으로 해석한 것이다. 대유괘는 큰 소유를 말한다. 큰 소유란 많이 가지는 것이 아니라 부족함이 없는 충만함이다. 그리고 그러한 충만함은 버림을 통해 가능하다고 한다. 지난 50여 년 간 우리나라는 서구 근대 문명이 수 백년에 걸쳐 달성한 정치적 민주화와 경제 발전을 압축적으로 이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압축 성장의 과정에서 생긴 압축 모순이 세계에서 가장 불행한 국민을 만들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버림을 통해 진정으로 큰 소유를 획득하는 것을 배우는 것이다. 이 글은 화천대유괘를 통해 버림 교육을 위한 기본적인 구상을 시도해 본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reinterpreting Ta Yu(大有) in I Ching(易經). Ta Yu can be interpreted as possession in great measure by throw away. Then what is the meaning Ta Yu gives to us? In these 50 years Korean established political democracy and economic growth that western countries did in 3 or 4 hundred years. We call it condensing growth. But in the process of condensing growth we captured by condensing conflict. One of the results of conflicts is the most miserable olds in the worlds. But this circumstance is a great chance to be master of freedom. As Ta Yu teaches us the great possession can be accomplished by throw away. In reinterpreting Ta Yu I can sketch a throw away education.

      • KCI등재

        청소년 죽음교육을 위한 예비적 고찰 -중,고등학생의 죽음관을 중심으로-

        정재걸 ( Jae Geol Jung ),이현지 ( Hyun Ji Lee ),이승연 ( Sung Yean Lee ),백진호 ( Jin Ho Ba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3 중등교육연구 Vol.61 No.3

        1960년대, 미국이 처음으로 죽음교육을 학교 현장에 도입한 이래, 유럽, 일본 등을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는 죽음교육의 교육적 의미에 주목하고 이를 시행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여 왔다. 우리나라도 2000년대에 들어 죽음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자살, 존속살인 등, 생명의 가치를 훼손하는 반인륜적 범죄의 증가가 생명의 존엄성을 재인식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동시에 우리의 학교 교육을 반성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죽음 자체에 대한 철학적 고찰과 더불어 죽음교육을 인성교육의 일환으로 보고 그 의의를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도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죽음교육은 여전히 학교 현장에 도입되지 못하고 있다. 그것은 우리 교육의 척박한 현실 때문이기도 하지만 실제로 현장에서 시행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여전히 개발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 글 역시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 것은 아니다. 다만 그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청소년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죽음교육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해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우리의 교육현실에 적합한 죽음교육의 형태를 전망하고자 한 것이다. United States firstly introduced death education in school in 1960s. Since then, many countries including Europe countries and Japan have paid attention to the meaning of death education and operated diverse death education programmes. In Korea, concerns to death education has increased since 2000s. Crimes against humanity occurred and they provided chances to reflect the school education. Finally the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has been recognized. But in spite of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it has not been introduced to school education. The main reason is that death education program for Korean students has not been developed yet. This paper is a basic work for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program. For the purpose, in this paper, the views of deaths of Korean adolescents and the problems of the views have been analysed, and the proper type of death education in Korea has been discussed.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과 청소년 마음교육 프로그램 개발: 영혼의 돌봄을 중심으로

        정재걸 ( Jung Jae-geol ),홍승표 ( Hong Seung-pyo ),이승연 ( Lee Seung-yean ),백진호 ( Baek Jin-ho ),이현지 ( Lee Hyun-ji ) 동양사회사상학회 2020 사회사상과 문화 Vol.23 No.1

        이 논문은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청소년 마음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현재 독일에서 활용되고 있는 영혼의 돌봄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영혼의 돌봄의 핵심이 무엇인지 살펴 본 것이다. 독일의 영혼의 돌봄 프로그램은 기독교 문화에 기반한 일종의 마음치유 프로그램이다. 독일에서는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종 심리적인 문제에 시달리고 있는 사람들의 영혼을 종교적인 특성을 활용하여 치유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영혼의 돌봄을 ‘목회상담’으로 번역하여 주로 종교단체에서 신자들을 대상으로 인간의 영성 회복에 강조점을 두어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독일의 영혼의 돌봄 프로그램과 우리나라의 목회상담은 상담자와 상담 기법에 초점을 두고 있어 진정한 의미에서의 영혼의 돌봄이 되지 못하고 있다. 영혼의 돌봄은 스스로 자기 자신의 영혼을 살피고 돌보는 것이 되어야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영혼의 의미를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현대 뇌과학자들이 주장하는 영혼-물질주의와 전통적인 영혼의 개념을 주장하는 영혼-참나주의로 나누어 각각의 입장에서 주장하는 영혼의 지도를 그려보고 또 영혼의 지도에 따른 영혼의 돌봄이 어떤 것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영혼-물질주의자들이 말하는 영혼은 인간의 지적 능력과 다르지 않다. 그들은 신기술을 활용하여 인간의 생물학적 두뇌를 사이버 마음으로 대체할 수 있다고 보고 탈신체화를 추구한다. 몸과 마음의 이원론을 비판하며 모든 것을 물질로 환원하려했던 영혼 - 물질주의자들은 아이러니컬하게도 영혼과 육체 이분법을 받아들여 육체를 무가치한 것으로 보고 영혼을 컴퓨터에 업로드하여 영혼의 불멸성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영혼-참나주의에서는 영혼이란 의식과 무의식을 포함한 정신 전체의 중심으로 본다. 그런 의미에서 영혼은 동양사상에서 말하는 본성과 다르지 않다. 그리고 영혼이 정신 전체의 중심이라면 영혼의 돌봄은 깨달음을 위한 다양한 노력과 같다. 즉 자각 혹은 의식화 작업이 영혼을 돌보는 핵심적인 방법인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Seelsorge in German education for adopting it to youth mind education confront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eelsorge in German society used as the christian mind cure program in several parts. In our country the Seelsorge translated as pastoral counselling and used as recovering the spiritualism in belief. We analysed the spirit as two different concepts. One is that the spirit is no more than the brain functions. We call it as the spirit-materialism. The other is that the sprit is the Self which could be revealed when we awaken the true image of this world. We call it as sprit-Selfism. The sprit-materialist said that the sprit can not be different from intellectual power and the new technology will uproad the contents of brain and we can live forever. The sprit-Selfism said that the sprit is the center of all mind which contain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 Seelsorge in this position means the self awakening or conscientization.

      • KCI등재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정재걸(Jung Jae-Geol) 동양사회사상학회 2007 사회사상과 문화 Vol.16 No.-

          이 연구는 죽음을 앞둔 노인들로 하여금 죽음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평화롭고 행복하게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노인들은 죽음을 앞두고 육신이 극도로 쇠퇴하여 두려움과 고통 속에서 죽는다. 이것은 죽음에 대한 준비는 전혀 없이, 삶을 욕망 충족의 장으로 간주하는 근대문명의 필연적인 결과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죽음준비교육은 우리의 삶에 죽음이라는 잣대를 들이대고, 삶에 있어서 무엇이 중요한 것인지 새롭게 판단하도록 종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죽음준비교육은 어둠을 통해 빛을 강조하는, 즉 죽음을 통해 더 좋은 삶을 사는 것을 권고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죽음을 삶의 절정, 삶의 완성으로 만드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으로 ‘지켜보기’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at peaceful and happy dying for old people. These days most old people are dying in afraid and pain with withdrawal of body. This is the consequence of modern civilization which regards life as for the fulfillment of desire. In death education programs for old people in Korea they were taught which is important in life by the measurement of death. But these programs limited themselves to live the better life by memorizing death.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make life perfect by one"s death. It is possible only by watching their own death. And death watching is possible by to exercise watching themselves, especially their mind in life.

      • KCI등재

        자연현상으로서의 도와 교육

        정재걸 ( Jung¸ Jae-geol ) 동양사회사상학회 202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1

        인공지능 시대에 진입하여 인류는 생명공학, 사이보그 공학, 그리고 나노 공학을 통해 스스로를 신으로 업그레이드하려 하고 있다. 기술공학을 맹신하는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특이점을 지나면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지능을 가진 인공지능이 인류가 직면한 모든 문제를 해결해줄 것이라고 믿고 있다. 또한 이런 기술공학을 통해 자연 진화에 기초한 호모 사피엔스는 사라지고 실리콘으로 구현되는 완전히 새로운 생명이 시작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불멸, 행복, 신성을 추구하는 트랜스휴머니즘은 궁극적으로 분리 독립된 개체로서, 생명, 행복, 힘을 신성시하는 휴머니즘의 연장선 상에 있다. 이러한 인간관 속에는 나는 정자와 난자의 우연한 결합에 의해 생겨난 무의미한 생명체로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소멸할 존재라는 인식이 전제되어 있다.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피부경계선을 기준으로 그 안쪽만을 ‘나’라고 생각한다. 이를 ‘피부 밑 자아(skin-encapsuled ego)라고 부른다. 피부경계선 안쪽이 내 몸이고 내 몸 안에 내 몸을 작동시키는 주체가 있다고 여긴다. 그 주체가 바로 뇌다. 그러나 내 몸은 내가 아닌 모든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 몸 안에는 나를 조종하는 어떤 주인공도 존재하지 않는다. 내가 ‘나’라고 생각하는 것은 부모와 학교와 매스컴과 인터넷과 그리고 SNS 등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다. 장자는 만들어진 ‘나’로 살아가는 사람을 본성을 잃은 삶을 사는 것이라고 하였다. 장자가 말하는 본성은 태어난 그대로의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그것은 있는 그대로 완전하며 어떤 경계도 갖지 않는다. 이러한 자연현상으로서의 도를 배우기 위해서는 무엇을 덧붙이거나 주입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나’라는 껍질에서 벗어나 자기 자신을 텅 비워야 한다. 도를 배우는 공부는 지식의 습득이 아니라 내가 전체이고 전체가 나임을 아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장자의 교육은 학생이 가지고 있는 재능과 잠재력을 개발하고 발현시키는 ‘유위(有爲)의 소극적 교육’이 아니라 학생의 본성을 해치는 환경을 제거해주는 ‘무위(無爲)의 소극적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트랜스휴머니즘이 가지고 있는 생명과 진리의 준거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서 장자가 제시한 자연현상으로서의 진리와 그 진리를 어떻게 배울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The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upgrade human-beings to homodeus by the bio-technology, cyborg-technology and nano-technology. The trans-humanists believed that geometrically increa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resolve all difficult problems which human-beings had been confronted with. Also with these process, nature based homo-sapiens will disappear and silicon-based new lives will begin. The trans-humanists who pursue the immortality, happiness, sacred include the human-views that all human-beings are separated individuals who seek life, happiness and power. This human-views assumed that I am a meaningless something which appeared by the combination of a sperm and egg, and will disappear in time. The trans-humanists assert that I am skin-encapsuled ego and the outside of my skin is not I. And inside of my body the brain manipulates my body. But my body composed with all things which are not I. Also there are no master in my body. What I think I am is made by my father and mother, schools, masscommunications and SNS. Chuang-tzu said that who lived the other’s lives losed the their own nature. Chuang-tzu’s nature is perfect as it is and no boundary. We can learn Chuang-tzu’s nature by abandoning the knowledge and breaking the boundary of I. This study aims to examine critically the criteria of the trans-humanism and to suggest the Chuang-tzu’s Tao as an alternative. Also I showed Chuang-tzu’s Tao as natural phenomenon and how to learn it.

      • KCI등재

        한국 청소년 죽음교육 모형 개발:

        정재걸(Jung Jae Geol),이승연(Lee Sung Yean),이현지(Lee Hyun Ji),백진호(Baek Jin Ho)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2

        Death Education was started in 1960s in United States as the education to prepare death. Nowadays it has been spreaded to Europe and Asia. The contents of death education are also expanded to life respect education,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and introspection of life through death. In Korea, death education has received attention since 2000. Recently arguments that death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to youth has been raised. But the research of death education for Korean youth is very poo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 One is to develop death education for Korean youth. Second is to find the way of application of the model to school. 1960년대 미국에서 죽음준비교육으로 시작된 죽음교육은 이제 유럽, 아시아 등으로 확산되는 한편, 그 내용에 있어서도 생명존중교육, 자살예방교육, 또는 죽음을 통한 삶의 성찰이라는 철학적 사유로까지 그 영역이 확대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0년대에 들어 죽음교육의 필요성에 주목하기 시작했고, 최근에는 노인이나 시한부 환자를 넘어 청소년에게로 죽음교육의 대상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죽음교육의 구체적인 내용이나 방법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진척되지 않았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에 착안한 것으로 도덕수업과 죽음교육의 접목을 시도하여 학교현장에서 죽음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보고자 한 것이다. 만약 죽음교육이 죽음준비교육을 넘어, 생명존중교육, 더 나아가 죽음에 대한 철학적 사유까지 포함한다면 그것이야말로 도덕교육의 중요한 구성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특히 이 글에서는 일본 죽음교육 사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소개하였는데, 이는 일본이 죽음교육을 도덕수업의 주요 테마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선행 사례는 우리 죽음교육, 더 나아가 도덕교육에도 새로운 시사점을 던져 줄 것이라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