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금강경의 무아사상과 교육

        정재걸(Jung, Jae-geol) 동양사회사상학회 202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4

        제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의 발달에 따라 인류는 급격한 변화를 겪게 될 것이다. 그 변화 중 한 가지는 노동의 종말과 한계비용 제로 사회에 따른 교육의 변화이다. 즉 앞으로는 지식과 기능의 습득이라는 현대교육의 기능이 더 이상 존속할 수 없다는 것이다. 지식과 기능의 습득을대신하는 교육은 어떤 모습일까? 나는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이 무아교육이라고 생각한다. 인류는 더 이상 개별의식의 차원으로는 살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 불교 경전 중 무아사상의 가장 중요한 경전은 금강경이다. 금강경에서는 ‘나’라는 개별의식의 극복이 수행의 궁극적 목적임을 잘 보여주고있다. 개별의식은 오직 인간만이 가지고 있다. 동물들은 변연계의 시상이 외부 자극을 수용한 뒤 편도체로 이동하여 감정으로 구성되고 바로행동으로 나타난다. 반면 인간은 감정이 해마에 의해 전두엽으로 이동한뒤 과거의 경험과 학습에 의한 예측을 통해 ‘나’의 느낌으로 감지된다. 개별의식을 극복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개별의식을 지켜보는 것이다. 이를 주시자의식이라고 한다. 주시자는 대상이나 감각 혹은 생각 등모든 것을 아는 자이다. 물론 주시자의식이 궁극적인 목표는 아니다. 주시자는 주시하는 ‘나’가 있고 주시의 대상인 객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주시하는 ‘나’가 곧 대상이 될 때 그것을 합일의식이라고 한다. 즉 나와주시의 대상인 객체가 하나 되는 것이 주시의 목적인 것이다. 개별의식을 극복하는 또 한 가지 방법은 경계를 없애는 것이다. 페르조나와 그림자의 경계를 없애고, 몸과 마음의 경계를 없애고, 나와 대상의 경계를 없애서 마침내 우주 전체와의 경계를 없애면 합일의식에 도달할 수 있다.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능을 뛰어넘어 인간이 인공지능이 하는 일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특이점(singularity)이 곧 도달할 것이며, 이런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아 육체적 질병을 극복하고 새로운 장기를 이식하여 영생을 누릴 수 있게 될 인간을 트랜스휴먼이라고 부른다. 반면 메타휴먼은 우리가 경험하는 현실은 우리 스스로가 만든 가상현실에 지나지 않음을 깨닫고 물리적 실재라고 생각하는 바깥 세계나 그 세계와 분리되어 그 세계를 경험한다고 생각하는 나의 몸과 마음은 모두 의식이 스스로 만들어낸 구조물에 지나지 않음을 깨달은 무아의 존재다. 우리가 만든 가상현실에서 벗어나면 오직 존재하는 것은 순수의식이고 모든 것이그 순수의식 무한한 허공 속에서 끊임없이 생성하고 소멸하고 있음을알게 된다. 우리가 깨어나면 빅뱅에서부터 인공지능의 출현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의식의 창조물임을 알게 된다. 인공지능 시대를 목전에 두고현대 교육은 기로에 놓여있다. 트랜스휴먼을 지향할 것인가, 아니면 메타휴먼을 지향할 것인가? With the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mankind will undergo rapid changes. One of the changes is the change in education according to the end of labor and a society with zero marginal cost. In other words, the function of modern educatio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s, can no longer survive. What does education look like instead of acquiring knowledge and skills? I think it’s non-self education. This is because mankind can no longer live on the level of individual consciousness. The most important sutra of non-self-thought is the ‘Geumgangsutra’. In ‘Geumgangsutra’, it shows well that overcoming the individual consciousness of ‘I’ is the ultimate goal of meditation. Individual consciousness is possessed only by humans. In animals, the thalamus of the limbic system receives external stimuli and then moves to the amygdala, which is composed of emotions and immediately manifests as actions. On the other hand, in humans, emotions are moved to the frontal lobe by the hippocampus and are perceived as ‘me’ through predictions based on past experiences and learning. One way to overcome individual consciousness is to watch it. This is called the observer consciousness. The observer is the one who knows everything, whether it is an object, a sense, or a thought. Of course, watcher consciousness is not the ultimate goal. This is because the observer has the ‘I’ who is watching, and the object of the gaze is the object. When the observing ‘I’ becomes the object, it is called the consciousness of unity. That is, the purpose of attention is to become one with the object that is the object of attention. Another way to overcome individual consciousness is to remove boundaries. By removing the boundary between the persona and the shadow, removing the boundary between the body and the mind, and removing the boundary between me and the object, finally removing the boundary with the entire universe, consciousness of unity can be reached. A singularity will soon be reached where AI will surpass human intelligence and humans will not understand what AI is doing. Humans who will be able to enjoy them are called transhumans. On the other hand, metahuman realizes that the reality we experience is nothing more than a virtual reality we create ourselves, and the outside world, which we think is a physical reality, and our body and mind, which we think are separated from the world and experience the world, are all conscious of ourselves. He realized that he was nothing more than a structure he had created. When we get out of this virtual reality, we come to know that the only thing that exists is pure consciousness, and everything is constantly being created and destroyed in the infinite void of pure consciousness. When we wake up, we know that it is consciousness that creates it, and that everything from the Big Bang to the adv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creation of consciousness. Modern education is at a crossroads. Will you aim for transhuman or metahuman?

      • KCI등재

        극기克己와 무아無我의 교육학

        정재걸(Jung Jae Geol)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1

        이 연구는 극기克己와 무아無我가 새로운 교육학의 목표가 되어야 함을 밝힌 것이다. 직업교육으로서의 현대교육은 인공지능의 발달에 따른 노동의 소멸로 그 길을 잃었다. 그럼에도 우리의 교육은 아이들에게 열심히 공부해서 좋은 직업을 가져야 한다고 강요한다. 직업교육의 기본 패러다임은 이익과 손해의 패러다임이다. 즉 모든 인간은 자신의 이익추구를 위해 살아간다는 기본 전제에서 인간과 세계를 바라보는 것이다. 유학에서는 이익과 손해의 패러다임이 아닌 인의仁義의 패러다임이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인의의 패러다임은 나를 극복[克己]하고 나를 버림[無我]으로써 실현된다. 극기와 무아의 구체적인 방법은 생각과 감정을 놓아버리는 것이다. 극기와 무아를 통해 우리는 사랑의 존재로 새롭게 태어날 수 있으며 이것이 우리의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at overcoming and emptying ego must be a goal of new era education. The modern education get lost between vocation education and disappearing of jobs that came from automation. Yet our education couldn t come out from the paradigm of benefit and loss. In Confucianism there were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paradigm. In this paradigm overcoming and emptying ego is absolutely necessary. To overcome and empty the ego we must let go all our thoughts and emotions. The letting go of thoughts and emotions will lead us to new human beings, that is love being. This is the road that our education aims to.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의 세계시민교육

        정재걸(Jung, Jae-geol) 동양사회사상학회 202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3

        코로나19 팬데믹이 남긴 가장 중요한 교훈은 지구라는 자연적 조건을 매개로 한 인간적 삶의 깊은 상호의존성과 연결성이다. 이 상호의존성과 연결성은 지금까지 인간의 삶의 사회적 차원에서 가장 중요한 규정 인자로 인식되곤 했던 국민국가라는 차원을 근본적으로 뛰어넘는다. 코로나 위기 같은 지구적 문제들은 단지 ‘세계시민’임을 자각한 사람들이 지구적 수준에서 협력하고 연대하여 대처할 수 있을 때만 최소한 그 해결의 실마리라도 찾을 수 있다. 세계시민교육의 최대 걸림돌은 민족국가이다. 이 논문에서는 민족국가의 형성과 그 극복 가능성을 살펴보고 세계시민교육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국가 단위의 애국적 시민교육을 넘어서는 진정한 세계시민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살펴보았다. 세계시민교육은 교육을 통해 개인이 인류의 일원으로서 연대의식을 갖고 지구촌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존중과 평화의 가치를 실현하여 공존공영을 모색하는 노력의 집약이다. 코로나 팬데믹이 아니더라도 인공지능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의 삶, 우리의 직업, 우리가 먹는 음식, 그리고 공동체의 발전은 상호연결성의 심화에 영향을 받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코펜하겐에 있는 뤼센스텐 고등학교 3학년 과정에서 시행하고 있는 ‘세계시민의식’이라는 과목을 통해 세계시민교육의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밀레니얼 세대의 다음인 Z세대는 컴퓨터와 인터넷이 제공하는 무한한 기회와 함께 자라났기 때문에 이들은 훨씬 자유롭게 국경을 넘나들고, 지구 반대편에 있는 사람들과도 친구가 된다. The most important lesson left by the COVID-19 pandemic is the deep interdependence and connectivity of human life mediated by the natural condition of the earth. This interdependence and connectivity fundamentally transcends the dimension of the nation-state, which has so far been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determining factor in the social dimension of human life. Global problems such as the Corona crisis can only be found at least when people who are aware of being ‘global citizens’ can cope with it in cooperation and solidarity at the global level. The biggest obstacle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the nation-state. This paper examines the formation of a nation-state and the possibility of its overcoming, and examines the need for tru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at goes beyond national-level patriotic citizenship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 be possibl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the culmination of efforts to seek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by realizing various values of respect and peace based on an accurate awareness of the global situation through education through which individuals have a sense of solidarity as a member of the human race. Even if it is not the corona pandemic,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our lives, our jobs, the food we eat, and the development of our communities are being affected by the deepening of interconnectedness. In this thesis, a specific cas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examined through a subject called ‘Global Citizenship’, which is being implemented in the third year course of Ruesensten High School in Copenhagen. Generation Z, the next generation of millennials, have grown up with the endless opportunities computers and the Internet offer, so they can cross borders more freely and make friends with people on the other side of the world.

      • KCI등재

        차례 : 동양교육사상의 관점에서 본 가르치기 어려운 시대의 교육

        정재걸 ( Jae Geol Jung ) 한국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 Vol.46 No.-

        This study aims to explain why teaching became difficult in this era and how to solve this problem at the perspectives of oriental education thought. The modern civilization built on three foundations, They were individual as atomic particles, reason as the most strong power every individual could exercise, and the work which gave to the worker their ego-identity. But the information revolution in this era result in breaking these three foundations, If we can see this changes at the optimistical view, we can make a new civilization which Buddha, Jesus, and Confucius wanted us to mak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build the new civilization is to find a new self-identity according to diminishing the ego-identity which accompanied by his work. We can give a new self-identity to new generation by ego-diminishing education. Through ego-diminishing education we can give away the concept of individual as separate and independent particles. Instead we can get a cosmetic self-identity in which everything in this cosmos connected to each other as the Indra Net.

      • KCI등재

        우리 안의 미래교육을 위한 시론試論

        정재걸(Jung Jae- Geol) 동양사회사상학회 2012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

        현대문명은 막다른 골목에 이르렀다. 그렇지만 어디를 둘러보아도 탈출구는 보이지 않는다. 어쩌면 인류는 더 궁지에 몰려야 할지 모른다. 우리가 이 막다른 골목에서 벗어나려면 우리의 존재 자체가 근본적으로 변화해야 한다. 그리고 인간 존재의 근본적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교육이라고 한다면 인류에게 남아있는 유일한 희망은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인류가 교육이라고 하는 것을 시작한 뒤 지금까지의 교육은 인간 이성의 계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성을 통해 자연을 개발하고 이성을 통해 도덕적 선의지를 기르는 것이 교육의 목표였다. 최근에 우리교육을 지배하고 있는 창의 인성교육 역시 이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현대 인류가 궁지에서 벗어날 수 있는 교육은 이성의 계발이 아니라 본성의 발견이다. 인간의 마음속에는 무한한 용량을 가진 사랑의 샘이 있다. 본성의 발견이란 이 사랑의 샘을 막고 있는 바위를 치우는 것이다. 이 바위의 이름은 ‘나’이다. 이것만이 인류가 지구상의 모든 생명과 함께 공멸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다. At last the human-being confront a blind alley. There are no exit around them. They struggle with each other in a sinking boat which was named earth. Of course not only human-being but also all other lives are on the boat. The only way to convert the boat from danger is fundamental change of their mind. If we can call it a education, education is the last hope of human-being. But the education of human has been focused on development of reason. They thought that reason can make material fertilization and can raise moral judgement. We call it a originality and morality education. The only exit of human-being is the education to discover human nature. Every human has a immense fountain of love in their mind. But a heavy rock stop up a hole where the water can flow out. The name of the rock is ‘I.’ When we can remove the rock, we can recover the nature of love.

      • KCI등재

        주역과 마음교육

        정재걸 ( Jae Geol Jung ) 한국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 Vol.51 No.-

        This study aims at reinterpreting I Ching(易經) as a text of Mind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focused on 3 themes. 1)Difficulty is a good chance. 2)Awaken your mind 3)Escape from ``I``. In I Ching(易經) there are many hexagrams concerning these 3 themes. But I catched out 8 hexagrams about these themes. For 1) I analysed K`an(坎), Chien(蹇) and K`un(困). For 2) I analysed Yu(豫), Kuan(觀) and Ken(艮). For 3) I analysed Hsaio(小蓄) and Shih Ho(筮蛤).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의 가족과 불교의 수행공동체

        정재걸 ( Jung Jae-geol ) 동양사회사상학회 2018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3

        이 논문은 인공지능 시대의 가족은 수행공동체가 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수행공동체로서의 가족이 되기 위해 살펴보아야 할 기본적인 조건들을 불교의 승가공동체에서 찾아본 것이다. 2장에서는 수행공동체로서의 가족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가족 구성원의 자기실현 혹은 개성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살펴보았고, 3장에서는 불교의 수행공동체인 승가의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4장에서는 승가가 수행공동체로서의 가족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았고, 마지막 5장에서는 오늘날의 수행공동체와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This thesis aims at searching the basic conditions for the AI period family to become a cultivating community. In chapter 2 I sought the premise that the family should go through the Self-realization or Individualization. In chapter 3 I found out the peculiarity the buddhist community and in chapter 4 I looked for the implication which the buddhist community could teach the AI period family community. In chapter 5 I searched for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cultivating community in these days.

      • KCI등재

        자연현상으로서의 도와 교육

        정재걸 ( Jung¸ Jae-geol ) 동양사회사상학회 202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1

        인공지능 시대에 진입하여 인류는 생명공학, 사이보그 공학, 그리고 나노 공학을 통해 스스로를 신으로 업그레이드하려 하고 있다. 기술공학을 맹신하는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특이점을 지나면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지능을 가진 인공지능이 인류가 직면한 모든 문제를 해결해줄 것이라고 믿고 있다. 또한 이런 기술공학을 통해 자연 진화에 기초한 호모 사피엔스는 사라지고 실리콘으로 구현되는 완전히 새로운 생명이 시작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불멸, 행복, 신성을 추구하는 트랜스휴머니즘은 궁극적으로 분리 독립된 개체로서, 생명, 행복, 힘을 신성시하는 휴머니즘의 연장선 상에 있다. 이러한 인간관 속에는 나는 정자와 난자의 우연한 결합에 의해 생겨난 무의미한 생명체로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소멸할 존재라는 인식이 전제되어 있다.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피부경계선을 기준으로 그 안쪽만을 ‘나’라고 생각한다. 이를 ‘피부 밑 자아(skin-encapsuled ego)라고 부른다. 피부경계선 안쪽이 내 몸이고 내 몸 안에 내 몸을 작동시키는 주체가 있다고 여긴다. 그 주체가 바로 뇌다. 그러나 내 몸은 내가 아닌 모든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 몸 안에는 나를 조종하는 어떤 주인공도 존재하지 않는다. 내가 ‘나’라고 생각하는 것은 부모와 학교와 매스컴과 인터넷과 그리고 SNS 등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다. 장자는 만들어진 ‘나’로 살아가는 사람을 본성을 잃은 삶을 사는 것이라고 하였다. 장자가 말하는 본성은 태어난 그대로의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그것은 있는 그대로 완전하며 어떤 경계도 갖지 않는다. 이러한 자연현상으로서의 도를 배우기 위해서는 무엇을 덧붙이거나 주입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나’라는 껍질에서 벗어나 자기 자신을 텅 비워야 한다. 도를 배우는 공부는 지식의 습득이 아니라 내가 전체이고 전체가 나임을 아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장자의 교육은 학생이 가지고 있는 재능과 잠재력을 개발하고 발현시키는 ‘유위(有爲)의 소극적 교육’이 아니라 학생의 본성을 해치는 환경을 제거해주는 ‘무위(無爲)의 소극적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트랜스휴머니즘이 가지고 있는 생명과 진리의 준거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서 장자가 제시한 자연현상으로서의 진리와 그 진리를 어떻게 배울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The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upgrade human-beings to homodeus by the bio-technology, cyborg-technology and nano-technology. The trans-humanists believed that geometrically increa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resolve all difficult problems which human-beings had been confronted with. Also with these process, nature based homo-sapiens will disappear and silicon-based new lives will begin. The trans-humanists who pursue the immortality, happiness, sacred include the human-views that all human-beings are separated individuals who seek life, happiness and power. This human-views assumed that I am a meaningless something which appeared by the combination of a sperm and egg, and will disappear in time. The trans-humanists assert that I am skin-encapsuled ego and the outside of my skin is not I. And inside of my body the brain manipulates my body. But my body composed with all things which are not I. Also there are no master in my body. What I think I am is made by my father and mother, schools, masscommunications and SNS. Chuang-tzu said that who lived the other’s lives losed the their own nature. Chuang-tzu’s nature is perfect as it is and no boundary. We can learn Chuang-tzu’s nature by abandoning the knowledge and breaking the boundary of I. This study aims to examine critically the criteria of the trans-humanism and to suggest the Chuang-tzu’s Tao as an alternative. Also I showed Chuang-tzu’s Tao as natural phenomenon and how to learn it.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과 청소년 마음교육 프로그램 개발: 영혼의 돌봄을 중심으로

        정재걸 ( Jung Jae-geol ),홍승표 ( Hong Seung-pyo ),이승연 ( Lee Seung-yean ),백진호 ( Baek Jin-ho ),이현지 ( Lee Hyun-ji ) 동양사회사상학회 2020 사회사상과 문화 Vol.23 No.1

        이 논문은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청소년 마음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현재 독일에서 활용되고 있는 영혼의 돌봄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영혼의 돌봄의 핵심이 무엇인지 살펴 본 것이다. 독일의 영혼의 돌봄 프로그램은 기독교 문화에 기반한 일종의 마음치유 프로그램이다. 독일에서는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종 심리적인 문제에 시달리고 있는 사람들의 영혼을 종교적인 특성을 활용하여 치유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영혼의 돌봄을 ‘목회상담’으로 번역하여 주로 종교단체에서 신자들을 대상으로 인간의 영성 회복에 강조점을 두어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독일의 영혼의 돌봄 프로그램과 우리나라의 목회상담은 상담자와 상담 기법에 초점을 두고 있어 진정한 의미에서의 영혼의 돌봄이 되지 못하고 있다. 영혼의 돌봄은 스스로 자기 자신의 영혼을 살피고 돌보는 것이 되어야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영혼의 의미를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현대 뇌과학자들이 주장하는 영혼-물질주의와 전통적인 영혼의 개념을 주장하는 영혼-참나주의로 나누어 각각의 입장에서 주장하는 영혼의 지도를 그려보고 또 영혼의 지도에 따른 영혼의 돌봄이 어떤 것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영혼-물질주의자들이 말하는 영혼은 인간의 지적 능력과 다르지 않다. 그들은 신기술을 활용하여 인간의 생물학적 두뇌를 사이버 마음으로 대체할 수 있다고 보고 탈신체화를 추구한다. 몸과 마음의 이원론을 비판하며 모든 것을 물질로 환원하려했던 영혼 - 물질주의자들은 아이러니컬하게도 영혼과 육체 이분법을 받아들여 육체를 무가치한 것으로 보고 영혼을 컴퓨터에 업로드하여 영혼의 불멸성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영혼-참나주의에서는 영혼이란 의식과 무의식을 포함한 정신 전체의 중심으로 본다. 그런 의미에서 영혼은 동양사상에서 말하는 본성과 다르지 않다. 그리고 영혼이 정신 전체의 중심이라면 영혼의 돌봄은 깨달음을 위한 다양한 노력과 같다. 즉 자각 혹은 의식화 작업이 영혼을 돌보는 핵심적인 방법인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Seelsorge in German education for adopting it to youth mind education confront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eelsorge in German society used as the christian mind cure program in several parts. In our country the Seelsorge translated as pastoral counselling and used as recovering the spiritualism in belief. We analysed the spirit as two different concepts. One is that the spirit is no more than the brain functions. We call it as the spirit-materialism. The other is that the sprit is the Self which could be revealed when we awaken the true image of this world. We call it as sprit-Selfism. The sprit-materialist said that the sprit can not be different from intellectual power and the new technology will uproad the contents of brain and we can live forever. The sprit-Selfism said that the sprit is the center of all mind which contain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 Seelsorge in this position means the self awakening or conscient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